MENU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우크라전 최대 피해 기업…과거 유럽시장 회복 불능"

중앙아·중국·터키로 눈 돌려…"더는 권력 자금줄 안 될 것"

지난해 6월 러시아 소치 근교에서 만나 이야기를 나누는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왼쪽)과 알렉세이 밀러 가스프롬 CEO[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지난해 6월 러시아 소치 근교에서 만나 이야기를 나누는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왼쪽)과 알렉세이 밀러 가스프롬 CEO[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기성 기자 = 러시아 국영 에너지기업 가스프롬이 핵심 고객인 유럽의 판로가 붕괴되면서 고전하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가스프롬이 우크라이나 전쟁의 가장 큰 피해 기업 중 하나가 됐다며 과거와 같은 유럽 시장을 되찾기는 어렵고 당분간 실적 악화가 우려된다고 19일(이하 현지시간) 보도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해 말 가스프롬이 중국에 대한 기록적인 판매를 보고한 후 오랜 친분이 있는 알렉세이 밀러 최고경영자(CEO)에게 "훌륭하다"라며 치하했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 18일 자국 언론 인터뷰에서는 예전에 에너지 수출을 통해 더 많은 이익을 낸 것은 인정하면서도 사업 손실로 인해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는 점은 부인했다.

그는 "아마도 (이전에) 더 재미가 좋았을지 모르지만, 다른 면으로 우리 경제의 비에너지 부분이 성장하고 있어 에너지에 덜 의존할수록 더 좋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가스프롬의 속사정은 푸틴의 호언만큼 좋은 것은 아니다.

러시아는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 초기 유럽에 대한 가스 공급을 줄였고, 이는 가격을 끌어올려 수출 부진을 상쇄했다. 하지만, 그 효과는 오래 가지 못했다.

가스프롬은 세전이익이 2022년 상반기에 4조5천억 루블(66조5천억원)이라는 기록을 세웠지만, 1년 후에는 2조7천억 루블로 40% 감소했다. 순이익은 1조 루블(14조5천억원)에서 2천550억 루블로 4분의 1 수준으로 크게 줄었다.

국영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연구원들은 가스프롬이 2023년 전체로는 이익이 나질 않고, 2025년까지 순손실이 1조 루블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일부 전문가는 가스프롬으로서도 앞으로는 과거의 유럽만큼 큰 시장을 갖지 못할 것을 이해하고 있다고 말한다.

유럽연합(EU)은 예상과 달리 러시아산을 대체해 가스 조달처를 잘 찾아냈고, 그 사이 가격은 전쟁 초기 최고치에서 폭락했다.

EU 데이터에 따르면 EU의 가스 수입에서 러시아 비중은 2021년 40% 이상에서 지난해 8%로 축소됐다.

EU는 2027년까지 러시아 화석연료의 전면적인 수입 철폐를 목표로 한다.

반면, 가스프롬은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 고객과 함께 중국과 터키를 통해 공급을 늘렸지만, 이는 유럽시장 상실분의 5~10% 만회에 그칠 뿐이라고 러시아 에너지금융연구소의 마르셀 살리코프 소장은 전했다.

더욱이 중앙아시아에는 유럽보다 많이 싼 값으로 공급해 수익이 적다.

중국에는 지난해 220억 세제곱미터(㎥)를 수출했지만, 이는 전쟁 전 10년간 유럽으로 수출한 연평균 2천300억㎥의 일부에 불과하다.

유럽에 한때 공급했던 가스전을 중국으로 연결하는 3천550km의 '시베리아의 힘 2'(PS2) 건설에 합의하면 전망이 개선될 수 있으나, 설사 합의가 끝나더라도 건설에는 몇 년이 필요하다.

다만 석유 부문 자회사인 가스프롬 네프트가 좋은 실적을 보인 것은 가스프롬에는 다소 위안이 되는 부분이다.

가스프롬 네프트는 모회사의 주요 생명선이 됐는데, 지난해 상반기의 경우 매출의 36%, 순이익의 92%에 기여했다. 또 시장 가치는 지난해 모회사를 능가했다.

한편, 일부에서는 가스프롬이 푸틴 대통령의 친구 등 휘하 일당에게 이익을 넘겨주는 통로로 이용됐으며, 이런 내용은 러시아에서 터부시되고 있다는 비판을 하고 있다.

전 러시아 에너지부 차관인 블라디미르 밀로프는 FT에 "가스프롬은 결코 다시는 권력자들에게 큰 자금줄이 되지 않을 것"이라며 "막대한 이익을 내기는커녕 국고보조금을 받을 위험이 있다"라고 주장했다.

밀로프 전 차관은 2000년대 초 가스프롬 개혁의 설계자였으며, 이후 지난주 사망 소식이 전해진 푸틴의 최대 정적 알렉세이 나발니의 협력자가 됐다.

cool21@yna.co.kr

 

출처:https://www.yna.co.kr/view/AKR20240220053900009?section=international/all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88 아이티 치안 악화 ‘점입가경’…공항서 전쟁터 같은 총격전 Vyvy 2024.03.05 278
1787 후티 반군 “예멘 영해로 진입하는 선박은 허가 받아야” Vyvy 2024.03.05 897
1786 中 “성장률 목표 5% 안팎” 지난해와 동일…국방비는 7.2% 증액 Vyvy 2024.03.05 64
1785 일본 어린이에 생체 폐·간 동시 이식 수술 성공…“세계 최초” Vyvy 2024.03.05 30
1784 일 기시다, 4월 11일 미 상하원 합동 연설…“미일 협력 한층 강화” Vyvy 2024.03.05 844
1783 이스라엘, 라마단 앞두고 서안지구 급습…팔 주민 유혈 진압 Vyvy 2024.03.05 1093
1782 영유권 분쟁 남중국해에서 중국과 필리핀 또 충돌 Vyvy 2024.03.05 730
1781 싱가포르, 2026년부터 정년 64세로 1년 연장 Vyvy 2024.03.05 62
1780 1월 일본 수산물 수출액 지난해보다 늘어…진주 홍콩 수출이 기여 Vyvy 2024.03.05 459
1779 퇴역 미군 중령, 이성교제 앱에서 우크라이나전 기밀 유출 Vyvy 2024.03.05 686
1778 “이란, 지난해 834명 처형…2015년 이후 최다” Vyvy 2024.03.05 1625
1777 “미국 상무부, AMD의 저사양 AI칩 중국 수출에도 제동” Vyvy 2024.03.05 54
1776 우크라이나, 러시아-유럽 연결 가스관 서비스 중단 예고 Vyvy 2024.03.05 52
1775 인근 변전소 화재로 독일 테슬라 공장 정전…“방화 여부 조사” Vyvy 2024.03.05 930
1774 하마스 "이스라엘 인질 생사, 휴전 이전엔 알 수 없어" Vyvy 2024.03.05 34
1773 IAEA "北영변 경수로 가동 정황 지속관찰…냉각수 배출" Vyvy 2024.03.05 349
1772 몰디브, '친중 행보' 속 군사협정까지 체결…주둔 인도군은 철수 Vyvy 2024.03.05 137
1771 '우크라전 중재'한다며 EU 간 中특사 "中기업 제재 풀라" 촉구 Vyvy 2024.03.05 848
1770 이스라엘 "유엔 구호기구에 테러단체 요원 450명" Vyvy 2024.03.05 572
1769 美텍사스 '불법이민자 체포법' 판단 대법원으로…항소심은 허용 Vyvy 2024.03.05 5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153 Next
/ 15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