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8개월만의 5년만기 조정으로 유동성 공급 박차…1년만기 금리는 유지

중국 위안화.

중국 위안화.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베이징·서울=연합뉴스) 정성조 특파원 홍제성 기자 =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하락) 우려 속에 주택담보대출에 적용되는 사실상의 기준금리를 역대 최저치로 인하했다.

인민은행은 20일 홈페이지를 통해 사실상의 기준금리인 대출우대금리(LPR) 5년 만기를 연 3.95%로 인하하고 LPR 1년 만기는 연 3.45%로 종전과 같이 유지한다고 밝혔다.

LPR 5년 만기는 연 4.20%에서 0.25%포인트 대폭 낮아져 시장이 예상한 인하 폭을 훌쩍 뛰어넘었다.

중국이 LPR을 조정한 것은 지난해 8월 이후 6개월 만이며 LPR 5년 만기를 조정한 것은 지난해 6월 이후 8개월 만이다.

중국은 지난해 8월 21일 LPR 1년 만기를 2개월 만에 0.1%포인트 인하했고, 5년 만기는 동결하는 조치를 발표한 이후 9월부터 올해 1월까지 같은 수치가 유지돼 왔다.

1년 만기 LPR 3.45%는 인민은행이 LPR을 홈페이지에 고시하기 시작한 2019년 8월 4.25% 이래로 4년 만에 가장 낮은 금리다.

5년 만기 LPR은 2019년 8월 4.85%에서 지속해서 낮아져 지난해 6월 이후 6개월째 4.20%를 유지하다 이번에 3.95%로 낮아졌다.

2019년 제도가 도입된 이래 역대 최저치로 떨어진 것으로, 5년 만기 LPR이 4% 아래로 떨어진 것 역시 이번이 처음이다.

외신과 중국의 시장 전문가들도 중국의 LPR 5년 만기의 인하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한 바 있다.

특히 인민은행 산하 금융시보는 최근 위챗(微信·중국판 카카오톡) 계정에 "5년 만기 LPR 금리를 낮추면 신뢰 안정에 도움이 되고 투자와 소비가 살아나며, 부동산 시장의 건전한 발전도 도울 것"이라는 글을 올려 주목받았다.

이를 두고 중국 인민은행이 LPR 금리 가운데 5년 만기만 인하할 가능성을 예고한 것이란 평가가 나왔다.

로이터통신이 조사한 27명의 시장전문가 가운데 25명은 5년 만기의 인하 가능성을 예측하면서 인하 폭은 0.15%포인트가 될 것으로 전망했었다.

LPR은 명목상으로는 시중은행 우량 고객 대상 대출금리의 평균치이지만, 인민은행이 각종 정책 수단을 통해 결정하는 것이어서 사실상의 기준금리로 여겨진다.

1년 만기는 일반대출, 5년 만기는 주택담보대출의 기준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이 5년 만기 LPR을 인하한 것은 침체한 부동산 경기 살리기를 위해 유동성 공급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담은 것으로 풀이된다.

로이터는 "이번 조치가 당국이 신용대출 수요를 자극하고 부동산 시장 되살리기를 위한 노력을 강화하는 가운데 나왔다"고 평가했다.

중국 경제는 '위드 코로나' 원년인 지난해 기저효과 등의 요인으로 전년 대비 5.2%의 성장을 기록했지만, 부동산 경기 둔화와 지방정부 부채 문제, 소비부진, 디플레이션 우려 등으로 올해는 4%대에 머물 것이라는 전망을 낳고 있다.

중국에서 부동산은 GDP(국내총생산)의 20%를 훨씬 넘고 중국인 재산의 80%를 차지할 정도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지난해 중국의 부동산 개발투자는 전년 대비 9.6% 하락한데다 중국 24개 주요 부동산 개발업체들의 올해 1월 주택 판매가 전년 동월보다 45%, 전월보다 41% 급락했다는 보도가 나오는 등 침체한 부동산 경기는 여전히 회복될 조짐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

여기에다 빚더미에 앉은 중국의 대형 부동산 업체 헝다(에버그란데)에 대한 홍콩 법원의 청산 명령까지 나오면서 중국 부동산 시장의 악재는 계속되고 있다.

중국은 이달 들어 지급준비율(RRR·지준율)을 추가 인하하고 단기 정책금리인 7일물 역환매조건부채권(역레포) 금리(1.8%) 등을 통해 침체한 경기를 살리기 위한 유동성 공급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나온 금리 인하 조치가 침체한 부동산 경기를 되살리는 데 어떤 영향을 줄지 주목된다.

중국 LPR 추이

중국 LPR 추이

[중국 인민은행 캡처. 재판매 및 DB금지]

xing@yna.co.kr

jsa@yna.co.kr

출처:https://www.yna.co.kr/view/AKR20240220050752009?section=international/all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87 후티 반군 “예멘 영해로 진입하는 선박은 허가 받아야” Vyvy 2024.03.05 886
1786 中 “성장률 목표 5% 안팎” 지난해와 동일…국방비는 7.2% 증액 Vyvy 2024.03.05 57
1785 일본 어린이에 생체 폐·간 동시 이식 수술 성공…“세계 최초” Vyvy 2024.03.05 20
1784 일 기시다, 4월 11일 미 상하원 합동 연설…“미일 협력 한층 강화” Vyvy 2024.03.05 637
1783 이스라엘, 라마단 앞두고 서안지구 급습…팔 주민 유혈 진압 Vyvy 2024.03.05 1083
1782 영유권 분쟁 남중국해에서 중국과 필리핀 또 충돌 Vyvy 2024.03.05 718
1781 싱가포르, 2026년부터 정년 64세로 1년 연장 Vyvy 2024.03.05 51
1780 1월 일본 수산물 수출액 지난해보다 늘어…진주 홍콩 수출이 기여 Vyvy 2024.03.05 453
1779 퇴역 미군 중령, 이성교제 앱에서 우크라이나전 기밀 유출 Vyvy 2024.03.05 677
1778 “이란, 지난해 834명 처형…2015년 이후 최다” Vyvy 2024.03.05 1616
1777 “미국 상무부, AMD의 저사양 AI칩 중국 수출에도 제동” Vyvy 2024.03.05 46
1776 우크라이나, 러시아-유럽 연결 가스관 서비스 중단 예고 Vyvy 2024.03.05 43
1775 인근 변전소 화재로 독일 테슬라 공장 정전…“방화 여부 조사” Vyvy 2024.03.05 923
1774 하마스 "이스라엘 인질 생사, 휴전 이전엔 알 수 없어" Vyvy 2024.03.05 17
1773 IAEA "北영변 경수로 가동 정황 지속관찰…냉각수 배출" Vyvy 2024.03.05 340
1772 몰디브, '친중 행보' 속 군사협정까지 체결…주둔 인도군은 철수 Vyvy 2024.03.05 132
1771 '우크라전 중재'한다며 EU 간 中특사 "中기업 제재 풀라" 촉구 Vyvy 2024.03.05 741
1770 이스라엘 "유엔 구호기구에 테러단체 요원 450명" Vyvy 2024.03.05 561
1769 美텍사스 '불법이민자 체포법' 판단 대법원으로…항소심은 허용 Vyvy 2024.03.05 48
1768 이스라엘-UNRWA 비방전…"테러범 450명" vs "고문 자행"(종합) Vyvy 2024.03.05 73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153 Next
/ 15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