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조회 수 80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때 2조5천억 달러서 최근 5천억 달러 아래로…"연준, 긍정 평가"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차병섭 기자 =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다음 달 양적 긴축(QT) 속도 조절에 대한 심층 논의 의사를 밝힌 가운데, 미국 국채 시장에서 충격 흡수 역할을 해온 역레포(역환매조건부채권) 잔고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6일(현지시간) 연준 대차대조표 가운데 부채 항목에 속하는 역레포 잔고가 과거 한때 2조5천억 달러(약 3천327조원)에 달했지만, 최근 지속해서 감소해 5천억 달러(약 665조원) 아래로 내려갔다고 전했다.

역레포는 대형 금융기관이 연준에 잉여 현금을 맡기는 대신 우량 채권으로 받아 이에 대한 이자를 지급받는 식으로 작동한다. 시중 은행들의 유동성을 연준이 흡수하는 기능을 하며 연준의 자본조달 부담 완화에도 기여하는 측면이 있다.

시장 관계자 다수는 역레포 잔고가 계속 줄어들 전망이며 이로 인해 미 국채 시장에서 충격 흡수장치 역할을 해온 역레포의 기능이 제한될 것으로 보고 있다.

미 정부가 재정적자 증가 상황에서 자금을 조달하려면 더 높은 금리를 지급해야 하는 상황인데, 향후 역레포 잔고 감소에 따라 국채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고 국채 금리가 올라갈 수 있다는 것이다.

잘 알려져있지 않지만 역레포는 미국 경제와 금융시스템 작동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미 재무부가 역레포 시장 덕분에 최근의 국채 발행 증가에도 국채 금리를 비교적 낮게 유지할 수 있었다는 게 WSJ 설명이다.

다만 역레포 잔고 감소가 큰 문제가 아니라는 일각의 견해도 존재하며 BNY멜런의 제이슨 그라넷은 "설사 침체가 와서 정부 지출 수요가 늘어나더라도, 그러한 상황에서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미 국채를 더 원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러한 가운데 연준 인사들은 역레포 잔고의 감소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금융기관들이 여유자금을 연준에 맡기는 대신 시장에서 더 매력적인 곳에 투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준은 역레포 잔고가 마르면 연준 대차대조표상의 다른 부채 항목인 은행 지급준비금 감소로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과거에 늘어난 유동성을 흡수하는 양적 긴축 과정에서 단기 자금시장이 경색되자 2019년 이를 'U턴'했던 전례 등을 감안, 연준은 지급준비금이 과도하게 줄어드는 상황은 피하려 하고 있다.

지난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의사록에 따르면 다수 참석자가 다음 달 19∼20일 FOMC 회의에서 어떻게 양적 긴축을 결론 낼지에 대해 심층 토론을 시작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힌 바 있다.

그런 만큼 연준 내부적으로 다음 달 FOMC 회의에서 이에 대한 논의 속도가 빨라질 전망이지만, 양적 긴축 종료 시기에 대한 결정 등은 그보다 뒤로 미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이른바 '대차대조표 축소'라고 불리는 양적 긴축은 연준이 보유 중인 채권을 매각하거나 만기 후 재투자하지 않는 식으로 시중 유동성을 흡수하는 방식을 가리킨다. 그런 만큼 연준이 양적 긴축 규모를 줄일 경우 이는 금리 상승 압력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연준은 코로나19 확산 대응 과정에서 유동성 공급을 위해 국채·주택저당증권(MBS) 매입을 통해 보유 자산을 약 9조 달러(약 1경2천조원)로 늘렸지만, 2022년 양적 긴축 시작 이후 자산 규모를 7조7천억 달러(약 1경원) 수준으로 줄인 상태다.

bscha@yna.co.kr

출처:https://www.yna.co.kr/view/AKR20240227067500009?section=international/all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07 '친러' 슬로바키아·헝가리 "무기 지원보다 협상 우선" Vyvy 2024.02.28 480
1506 멕시코서 시장 예비후보 2명 7시간새 잇따라 피격 사망 Vyvy 2024.02.28 124
1505 러 "우크라에 유럽군 파병시 러-나토 충돌 불가피"(종합) Vyvy 2024.02.28 44
1504 프랑스 56년만에 교복 등장…"차별 없애" vs "군대화" 논쟁 Vyvy 2024.02.28 1129
1503 美 '중산층 상징' 메이시스 백화점 점포의 30%, 150개 폐쇄 Vyvy 2024.02.28 696
1502 꺼지지 않는 파병론…佛 "우크라서 지뢰제거 등 가능" Vyvy 2024.02.28 353
1501 美 옐런, 러 동결자산으로 우크라 지원 촉구…"필요하고 시급해" Vyvy 2024.02.28 502
1500 美대선서 불법이민 이슈 부상 가속…55% "미국에 중대 위협" Vyvy 2024.02.28 987
1499 뉴욕증시, 주요 지표 앞두고 혼조세로 출발 Vyvy 2024.02.28 319
1498 [美미시간 경선] 바이든, '아랍계 반발' 확인…중동전쟁 후폭풍 '비상' Vyvy 2024.02.28 311
1497 中 부동산 살리기 총력…부실업체까지 이달에만 대출 2조원 늘려 Vyvy 2024.02.28 518
1496 태국 전 경찰청장, 재벌가 '레드불' 뺑소니 사건 봐주다 피소 Vyvy 2024.02.28 592
1495 '하와이 이웃' 키리바시서 中 경찰 활동에 美 "긴장 조성 우려" Vyvy 2024.02.28 47
1494 '포스트 기시다' 여론 1위 후보 이시바, '의원 공부 모임' 재개 Vyvy 2024.02.28 933
1493 中, 진먼다오 어선 전복 사건에 '강공' 일변도… 대만은 '신중' Vyvy 2024.02.28 60
1492 점잖던 바이든이 달라졌다…공격형 전환으로 정면돌파 시도 Vyvy 2024.02.28 26
1491 북미정상회담 통역 이연향 "현실 아닌 듯…어느 회담보다 긴장" Vyvy 2024.02.28 55
1490 '日정부 주도' 라피더스, 반도체제조 첫 계약…2나노 AI칩 개발 Vyvy 2024.02.28 251
1489 미국만 그런게 아냐…지구촌 70대 정치인 전성시대 Vyvy 2024.02.28 34
1488 영국 왕실에 무슨 일…수술받은 왕세자빈 음모론 확산 Vyvy 2024.02.28 7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 153 Next
/ 15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