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조회 수 4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美재무 "우크라 지원에 쓰자"…佛재무 "법적 근거 없어" 공개 반박

러 동결자산 약 37조원…EU 집행위원장 "활용방안 논의 시작할 때"

브뤼노 르메르 프랑스 재무장관

브뤼노 르메르 프랑스 재무장관

(상파울루 EPA=연합뉴스) 브뤼노 르메르 프랑스 재무장관이 28일(현지시간) 브라질 상파울로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회의를 계기로 열린 기자회견에서 말하고 있다.
2024.2.28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정은 기자 = 최근 우크라이나 파병 문제로 대(對)러시아 전선에 균열을 드러낸 서방이 이번에는 러시아 동결 자산 사용을 놓고 충돌했다.

28일(현지시간) 미국 일간지 뉴욕타임스(NYT)와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전날 재닛 옐런 미국 재무부 장관은 동맹국들에 각국이 동결한 러시아의 금융자산을 활용해 우크라이나를 지원할 방법을 서둘러 찾아야 한다고 주문했다.

옐런 장관은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회의 참석차 찾은 브라질 상파울루에서 한 기자회견에서 "동결 자산의 가치를 해제해 우크라이나의 계속되는 저항과 장기 재건을 지원할 방법을 찾는 게 필요하고 시급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를 추진하기 위한 국제법적, 경제적, 도덕적 근거가 탄탄하다고 생각한다"면서 "이것은 세계의 안정을 전례 없는 수준으로 위협하는 러시아에 대한 결정적인 대응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다음날 브뤼노 르메르 프랑스 재무장관은 러시아 동결 자산 압류는 국제법 위반이 될 것이라면서 이 같은 주장을 공개적으로 반박했다.

르메르 장관은 이날 G20 장관회의에 앞서 진행된 주요 7개국(G7) 장관 회의 뒤 "우리는 동결 러시아 자산을 압류할 법적 근거가 없다"면서 국제법과 법치를 따르는 것이 아니라면 절대 행동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르메르 장관은 "우리는 G20 국가 간에 어떠한 분열도 가중시켜서는 안 된다"면서 "만약 법적 근거가 부족할 경우 우크라이나 지원을 위해 더 단합해야 할 시기에 분열을 더 야기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이같이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데는 매우 강력한 법적 근거가 필요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면서 동결 러시아 자산 압류는 G20의 지지를 얻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르메르 장관의 의견은 G20에는 러시아도 포함돼 있다는 점에서 비현실적인 문턱을 제시한 것이라고 NYT는 설명했다.

재닛 옐런 미국 재무부 장관

재닛 옐런 미국 재무부 장관

(상파울루 EPA=연합뉴스) 재닛 옐런 미국 재무부 장관이 27일(현지시간) 브라질 상파울루에서 브라질 환경기후변화 장관과 만나고 있다.
2024.2.27 photo@yna.co.kr

현재 주요 7개국은 각국 금융기관에 동결된 러시아 자산으로 우크라이나를 지원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서방 각국은 2022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 제재의 일환으로 해외 은행에 예치된 러시아 중앙은행의 외화보유고를 포함해 러시아의 주요 자산을 동결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G7 회원국, EU, 호주에 러시아 자산 2천820억달러(약 375조원) 상당이 증권과 현금 등의 형태로 동결돼 있으며 이 가운데 3분의 2 이상이 EU에 있다.

이들 국가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전쟁 피해를 보상하지 않는 한 자산을 러시아에 돌려주지 않는다는 데는 합의했지만, 자산을 몰수해 우크라이나를 지원하는 방안에는 이견이 있다.

미국과 영국은 G7 동맹들에 러시아 자산을 몰수하라고 촉구해왔지만, 프랑스와 독일 등은 법적인 부분과 유로화의 지위가 불안정해질 수 있다는 우려 등으로 반대하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이 28일 "이제는 러시아 동결자산의 초과 이익금을 우크라이나를 위한 군사장비 공동구매에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대화를 시작할 때"라고 제안하고 나서면서 러시아 동결 자산 사용 문제를 둘러싼 서방 내 논쟁은 계속될 전망이다.

서방은 지난 26일에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의 우크라이나 파병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는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발언으로 불협화음을 노출한 바 있다.

kje@yna.co.kr

출처:https://www.yna.co.kr/view/AKR20240229098700009?section=international/all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28 美, SK실트론 미국공장 생산 확대에 7천200억원 대출 지원 Vyvy 2024.02.23 966
1627 한미일 외교장관, 브라질서 회동…대북공조 논의 예상 Vyvy 2024.02.23 188
1626 중국·필리핀, 영유권 분쟁 남중국해 암초에서 일주일만에 또 마찰 Vyvy 2024.02.23 406
1625 중국 쑤저우에서 도로 얼어붙어 차량 100여대 추돌…“중상자는 없어” Vyvy 2024.02.23 57
1624 캐나다 소도시, 주민투표로 성소수 상징 '무지개 횡단보도' 폐지 Vyvy 2024.02.24 894
1623 말레이시아 링깃화 가치 급락…아시아 금융위기 이후 최저 수준 Vyvy 2024.02.24 50
1622 호주·인니, 새 안보협력 추진…"역대 가장 중요한 협정 될 것" Vyvy 2024.02.24 47
1621 조태열 외교장관 "북러 군사협력 강화, 한반도 안보에 위협"(종합) Vyvy 2024.02.24 409
1620 기시다 4월 방미 때 상하원 합동 연설…아베 이어 9년만 Vyvy 2024.02.24 393
1619 美대선 냉동배아 돌발변수…바이든 맹공에 트럼프 '역풍' 차단 Vyvy 2024.02.24 54
1618 [2주년 키이우에서] 상이군인 곁에는 쇼핑몰 성업…우크라, 긴장과 일상의 공존 Vyvy 2024.02.24 1090
1617 美, 대만 총통선거후 첫 무기판매…中 "심각한 주권침해" 반발 Vyvy 2024.02.24 65
1616 재래식 지뢰 부활…러시아·트럼프 공포에 동유럽 방어선 사수 Vyvy 2024.02.24 189
1615 [美공화경선] '이미 승리' 트럼프 시선은 본선…"바이든에 해고 통보할 것" Vyvy 2024.02.24 172
1614 '전쟁 2년' 푸틴 "국가 영웅" 격려…젤렌스키는 군사지원 호소 Vyvy 2024.02.24 382
1613 "베이조스·엔비디아, 'MS·오픈AI 투자' 피규어AI 펀딩 참여" Vyvy 2024.02.24 1229
1612 "美 무인우주선, 달 착륙때 넘어졌을 수도…표면에 누워 있는듯" Vyvy 2024.02.24 1615
1611 조태열, 유네스코 사무총장 면담…AI 윤리 등 협력 논의 Vyvy 2024.02.24 384
1610 美, 러 최대 국영해운사 제재…유조선 14척 제재 대상으로 명시 Vyvy 2024.02.24 40
1609 유럽, '전쟁 2년' 푸틴에 "독재" 규탄…우크라 자금·안보 지원 Vyvy 2024.02.24 40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153 Next
/ 15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