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조회 수 122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코로나19 기점으로 IT 일자리 확대·재택근무 활성화 영향

"법조계 등 타 업계와 비교하면 아직도 성별 격차 심해" 지적도

테크 업계에 종사하는 여성

테크 업계에 종사하는 여성

[타스통신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유한주 기자 = 남초 현상이 두드러지던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 테크 업계에서 여성 근로자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노동통계국에 따르면 미국에서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여성 근로자 비율이 2019년 31%에서 2023년 말 35%로 늘었다.

유럽연합(EU) 통계기구 유로스타트는 EU 회원국에서 컴퓨터 프로그래밍 및 관련 분야에서 일하는 여성 비율이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기준 23%에서 2023년 말 25.2%로 증가했다고 집계했다.

이 같은 증가세는 독일, 프랑스, 덴마크 등 EU 대부분 국가에서 나타났다.

영국에서도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여성 비율이 2019년 29%에서 지난해 32%를 넘어섰다.

대표적 IT 기업인 구글에서도 전체 여성 근로자 비율은 2018년 30.9%에서 2023년 34.1%로 뛰었다. 마이크로소프트(MS) 내 여성 비율은 2019년 29.2%에서 2023년 33.1%로 상승했다. 페이스북과 애플도 비슷한 추세를 보였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정보기술(IT) 일자리에 대한 전반적 수요가 늘어난 데 따른 결과라고 경제학자들은 분석했다.

예컨대 지난해 12월 미국에서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분야와 관련된 일자리 수가 2019년 동기 대비 15% 늘었다고 FT는 전했다.

EU에서도 컴퓨터 프로그래밍 관련 업계 종사자 수는 2016년까지만 해도 숙박업 종사자 수와 비슷했으나 지금은 숙박업 종사자 대비 2배 더 많은 수준인 것으로 집계됐다.

채용 분야 전문 기업 '헤이스' 소속 비앵카 스트링귀니는 은행, 소비재 회사 등 여러 기업이 "다양한 인재를 찾고 있다"며 "이 업계(기술)는 여전히 기술 부족 문제를 겪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미국에서 전통적으로 남성이 점유해온 사이버 위협 탐지 등 분야에서도 여성 근로자 비율이 높아졌다며 "시장이 성장하면서 기술 분야의 모든 영역에서 여성이 활약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기점으로 재택근무가 확대된 것도 여성의 기술업계 종사에 도움을 준 것으로 분석됐다.

디지털 서비스 컨설팅 기업 '내쉬 스퀘어드'는 일주일에 1∼2일 출근을 요구하는 기업은 주 5일 출근이 필수인 기업보다 여성을 27% 더 많이 고용한다고 분석했다.

다만 다른 업계와 비교하면 아직 성별 격차가 여전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미국에서 경영 컨설팅과 법률, 금융 서비스 분야에 종사하는 여성 비율은 각각 50.3%, 65.9%, 55.6%로 모두 절반을 넘었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소속 실험 물리학 명예교수 아테네 마거릿 도널드는 여성이 어렸을 때부터 남성보다 기술 관련 과목에 덜 접근하게 된다면서 "우리 사회는 사실상 태어날 때부터 여자아이들이 물리학이나 컴퓨터 등 과목을 듣지 못하게 한다"고 지적했다. 이것이 추후 진로 선택 때도 불리하게 작용한다는 설명이다.

그는 "우리는 인공지능(AI)과 관련해 중대한 시점에 서 있다"며 제대로 된 AI 개발을 위해서는 "더 많은 소수자, 여성, 유색인종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hanju@yna.co.kr

출처:https://www.yna.co.kr/view/AKR20240304109900009?section=international/all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68 “CIA국장, 가자 일시휴전·인질석방 협상 위해 파리행” Vyvy 2024.02.22 325
1367 유나이티드항공, 이스라엘행 운항 재개…미국 항공사 중 처음 Vyvy 2024.02.22 591
1366 미군, ‘물류동맥 위협’ 후티 대함미사일 등 폭격 Vyvy 2024.02.22 1219
1365 英 찰스 3세, 암 진단 후 버킹엄궁서 총리 첫 접견 공개 Vyvy 2024.02.22 117
1364 S&P "美 기준금리 인하 6월 개시 전망…연내 0.75%p 인하"(종합) Vyvy 2024.02.22 870
1363 G20 의장국 브라질 "국제분쟁 해결 못 하는 유엔 개혁해야" Vyvy 2024.02.22 965
1362 권도형 한국행 원했지만…몬테네그로 법원 美 송환 결정 배경은 Vyvy 2024.02.22 60
1361 美 엔비디아 또 '어닝 서프라이즈'…시간외거래 주가 7%↑(종합2보) Vyvy 2024.02.22 729
1360 "자유·민주 향한 러 젊은이 열망도 나발니와 함께 사라져" Vyvy 2024.02.22 117
1359 [전쟁2년 키이우에서] 심상찮은 최전선…"고향 부모 피신시켜야" 잠못 이루는 이들 Vyvy 2024.02.22 183
1358 中왕이 "우크라 문제 여전히 불투명하지만 각국 협력 공감대↑" Vyvy 2024.02.22 412
1357 日, '독도는 일본땅' 억지…보수언론 "한국, 사과하고 반환해야" Vyvy 2024.02.22 79
1356 연준 보먼 이사, 금리인하 시기 "지금은 확실히 아니다" Vyvy 2024.02.22 891
1355 "바이든, 국경통제강화 행정조치 검토"…대선 승부수 던지나 Vyvy 2024.02.22 326
1354 美 법무부, 무기급 핵물질 팔려한 일본 야쿠자 보스 기소 송고시간2024-02-22 09:14 Vyvy 2024.02.22 869
1353 "푸틴, 전쟁서 승리해 우크라 복속시키려는 목표 여전" Vyvy 2024.02.22 180
1352 전기차 테슬라 이어 리비안·루시드 올해 전망 암울…주가 급락 Vyvy 2024.02.22 88
1351 이스라엘군 최고 법무관 "군 일부 행동, '범죄 문턱' 넘었다" Vyvy 2024.02.22 841
1350 '아우디이우카서 러도 손실' 주장한 친크렘린 블로거 숨져 Vyvy 2024.02.22 359
1349 세계 최대 배터리 생산국 中의 그늘…SCMP "직업병 위험 심각" Vyvy 2024.02.22 35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 153 Next
/ 15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