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조회 수 57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첫 방산 전략, '메이드 인 유럽' 초점…"스스로 만들어야"

우크라전·트럼프 복귀설에 불안감…회원국 이견·재원도 부족

기자회견 하는 EU 집행위원

기자회견 하는 EU 집행위원

(브뤼셀 AFP=연합뉴스) 티에리 브르통 EU 집행위원이 5일(현지시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4.3.5 photo@yna.co.kr

(브뤼셀=연합뉴스) 정빛나 특파원 = 유럽연합(EU)이 5일(현지시간) 내놓은 첫 '방산 육성 전략'은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고조된 유럽의 안보 불안감이 반영된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수십 년간 미국 주축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안보 우산'에 기대 사실상 손 놓고 있던 역내 무기 생산 역량 확충에 나선 셈이지만, 정작 성과는 불투명하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EU 집행위원회는 이날 발표한 '유럽방위산업전략'(EDIS)에서 2030년까지 27개 회원국 국방 조달 예산 50%의 EU 내 지출을 목표로 제시했다.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기준 수입산 비중이 80%, 역내 구입 비중은 20%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미국 등 제3국 수입 의존도를 낮추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한 것이다.

티에리 브르통 EU 내수시장 담당 집행위원도 이날 기자회견에서 관련 질의를 받고 "(EDIS가) 미국과 한국 방산업계에 안 좋은 소식일까? 그건 나도 모르겠다"면서 "우리가 아는 건 필요한 것을 생산하는 역량을 늘려야 한다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브르통 집행위원은 특히 "우리는 좀 솔직해질 필요가 있다. 특히 탄약과 관련해서는 지금 미국도 필요한 만큼을 제공할 수 없다"며 "우리 스스로 생산해야 한다는 얘기"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것을 곧 방어 대비 태세이자, 전략적 자율성이라 부르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자회견에 함께 나선 마르그레테 베스타게르 EU 경쟁 담당 수석 부집행위원장도 EU 회원국들이 수입산 구매에 예산을 과도하게 지출하는 상황이 "더 이상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실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EU 각국은 미국과 함께 우크라이나 지원에 적극적이었지만, 정작 각국 탄약 재고가 부족하고 역내 생산 속도도 뒷받침되지 못하면서 한계에 봉착했다.

EU는 애초 이달 말까지 우크라이나에 탄약 100만발을 제공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재고 부족으로 절반 수준밖에 전달하지 못한 상태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 대통령이 올 하반기 대선에서 승리할 경우 나토 집단방위체제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도 유럽에서 확산하고 있다.

베스타게르 집행위원이 "미국 선거와 관계 없이 북미-유럽 간 균형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말한 이면에도 이런 인식이 깔려있다.

문제는 재원이다.

집행위는 방산업계에 대한 각종 인센티브 지원을 위해 확정된 2025∼2027년 예산안 가운데 15억 유로(약 2조원)를 우선 활용하겠다고 이날 밝혔다.

그러나 통상적 무기 대금 규모와 집행위가 제시한 계획 범위를 고려하면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라는 지적이다.

브르통 집행위원도 지난 1월 한 행사 연설에서 방산업계 인센티브 등에 "1천억 유로(약 144조원) 규모의 막대한 방위기금이 필요하다"고 언급한 바 있다.

EU 집행위 주도로 이뤄지는 EDIS 구상에 회원국들이 호응할지도 미지수다.

방위산업은 각국의 안보 기밀과 직결되는 특수 분야인 탓이다.

이런 이유로 EU 조약상 공동예산을 활용한 무기 직접 구매가 금지되고 'EU 군대'도 존재하지 않는다.

실제로 일부 회원국은 방산 육성 전략 추진으로 EU 집행위에 권한이 집중되는 것에 부정적이라고 일부 외신들은 짚었다.

shine@yna.co.kr

출처:https://www.yna.co.kr/view/AKR20240306002700098?section=international/all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28 뉴욕타임스 "'트럼프 브랜드'가 오히려 부동산 가치에 악영향" Vyvy 2024.02.19 879
1227 美공화 헤일리, '트럼프 경선승리시 지지' 질문에 "승리만 생각" Vyvy 2024.02.19 81
1226 이스라엘, "가자 상황, 홀로코스트와 비슷" 룰라 발언에 격분 Vyvy 2024.02.19 214
1225 美서 신고 받고 가정집 출동한 경찰·소방관 3명 총격에 사망 Vyvy 2024.02.19 971
1224 나발니 아내, 뮌헨서 브뤼셀행…EU 외교장관들 만난다 Vyvy 2024.02.19 700
1223 [전쟁2년 키이우에서] 헤르손 수복 '영웅' 새신랑 "조국 수호 외 선택지 없다" Vyvy 2024.02.19 50
1222 "러 장악 아우디이우카서 부상당한 우크라 전쟁포로 처형" Vyvy 2024.02.19 42
1221 日기시다 지지율, 비자금·통일교 여파에 '퇴진위기' 수준 10%대 Vyvy 2024.02.19 874
1220 '나발니 죽음에 침묵' 푸틴, 우크라전에는 "생사의 문제" Vyvy 2024.02.19 583
1219 트럼프 '굴복 안해' 운동화 완판…"2시간만에 품절" Vyvy 2024.02.19 63
1218 일본인 39% "70세 이상까지 일할 것"…노후자금 불안이 원인 Vyvy 2024.02.19 1217
1217 선진국 중앙은행 '4년 금리 동행' 균열 조짐…"내 앞가림 먼저" Vyvy 2024.02.19 266
1216 [전쟁2년 키이우에서] 추위 속 도심 전몰자 추도 인파…"우리가 원하는 건 평화" Vyvy 2024.02.19 732
1215 '정적' 나발니 사망에 푸틴 자신감 증폭?…"더 무모해질 수도" Vyvy 2024.02.19 38
1214 중국, 춘제 연휴 끝나자 '고품질 성장·혁신' 강조 Vyvy 2024.02.19 30
1213 카타르 총리 "최근 며칠간 가자 휴전협상 양상 좋지 않아" Vyvy 2024.02.18 499
1212 클린스만, 獨언론에 "경기 면에선 최고였다" Vyvy 2024.02.18 450
1211 베이조스, 아마존 주식 2조6천억원어치 또 팔아치워 Vyvy 2024.02.18 632
1210 "나발니 사망 전 러 정보요원 교도소 방문·CCTV 제거" Vyvy 2024.02.18 45
1209 '수교국' 쿠바 최고 예술대학에 3월부터 한국어 수업 생긴다 Vyvy 2024.02.18 4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 153 Next
/ 15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