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인플레 하락도 매달 순조롭지 않지만 추세는 긍정적"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기성 기자 =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은 14일 금리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작다는 의견을 내놨다.

1년 전만 해도 코로나 전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더 크다고 말한 바 있어 최근 경제 지표로 인해 견해가 바뀌었다는 지적도 나왔다.

또한 인플레이션 하락은 순조롭지(smooth) 않을 것 같다면서도 추세는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옐런 장관은 14일(현지시간) 켄터키주 엘리자베스타운을 방문한 자리와 언론 인터뷰를 통해 이렇게 말했다고 블룸버그통신과 폭스비즈니스 방송이 보도했다.

그는 켄터키 방문 중 기자들에게 지난 11일에 공개된 백악관의 향후 수년의 금리 전망이 1년 전과 비교해 현저하게 높은 이유를 묻는 말에 새로운 수치는 민간 부문의 예측과 일치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새 전망치가 "현재의 시장 현실과 민간 부문에서 보고 있는 예측을 반영한다고 생각한다"며 "금리가 대유행 이전처럼 낮게 돌아갈 것 같지는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금리와 관련해 예산에 반영된 가정은 합리적이면서도, 전문가들의 광범위한 생각과 일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백악관은 이번 주초 7조3천억달러(9천570조원) 규모의 2025회계연도 예산안을 제시하면서, 3개월 및 10년 만기 국채 평균 금리가 1년 전 예상보다 향후 3년 동안 뚜렷하게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와 관련, 백악관 관계자는 3개월 국채금리의 경우 올해 평균 5.1%로 지난해 3월 전망치 3.8%보다 높은 수준이고, 10년물 국채금리도 올해 평균 4.4%로, 1년 전의 3.6%보다 높다고 말했다.

이들 수준마저도 레이얼 브레이너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의 개입이 없었더라면 훨씬 더 높았을 수도 있었다고 블룸버그는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옐런은 최근 몇 주 동안 이 문제에 대한 자신의 견해가 바뀌었음을 시사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그는 지난해 1월만 해도 낮은 금리로 돌아올 가능성이 더 크다고 밝혔다. 그러나 올해 1월에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the jury's still out)라고 말한 바 있다.

미국의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2019년까지 10년 동안 평균 2.39%로 역사적으로 보면 낮았다.

하지만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공격적으로 금리를 인상한 이후 지난해 10월 5% 이상으로 치솟았고 현재는 4.2% 바로 아래에 머물고 있다.

옐런 장관은 이날 폭스비즈니스 방송에 출연해서는 연초에 물가 압력이 반등했다는 최근 지표들로 볼 때 인플레이션이 이전의 보통 수준으로 돌아오기는 험난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옐런은 인플레이션이 2022년 최고치에 비해 3분의 2나 감소하는 등 진전이 정체되지 않았다면서 인플레이션이 "매달 순조롭게 진행될 것이라고는 기대하지 않지만 추세는 분명히 긍정적(favorable)"이라고 말했다.

그는 소비자물가지수가 지난 9개월간 3% 이상을 맴돌고 인플레이션 진전이 지난해 6월 이후 정체되면서 월가에서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 우려가 제기된 데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반박했다.

그는 "스태그플레이션이 나타날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며 "대부분의 전문가는 시간이 지나면서 인플레이션이 하락할 것으로 믿고 있다"라고 말했다.

또한 지난 1월과 2월 인플레이션의 가장 큰 요인 중 하나였던 주택 비용도 임차인들이 더 낮은 가격으로 계약하면서 향후 몇 달 안에 하락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cool21@yna.co.kr

출처:https://www.yna.co.kr/view/AKR20240314042600009?section=international/all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67 독·프·폴란드 15일 정상회담…우크라 지원 '불화' 봉합(종합) Vyvy 2024.03.14 27
2066 美 '21명 사망' 총기난사 때 휴가중이던 경찰서장 2년만에 사임 Vyvy 2024.03.14 52
2065 마크롱 "프랑스법에 강간죄 '동의' 개념 명시할 것" Vyvy 2024.03.14 393
2064 BP·아부다비 국영회사, 이스라엘 가스업체 지분인수 협상 중단 Vyvy 2024.03.14 24
2063 뉴욕한국문화원서 '영 코리안 아티스트' 공연·시사회 Vyvy 2024.03.14 50
2062 트럼프 공탁금 제공 보증회사 CEO "특정인 편드는 것 아냐" Vyvy 2024.03.14 50
2061 스위스, 러 동결자산 우크라 지원 논의 동참…러, 대사 초치 Vyvy 2024.03.14 998
2060 니카라과, 휴대전화 사용자 통신기록 제공 의무화 논란 Vyvy 2024.03.14 52
2059 바이든·트럼프 대결 확정에도…유권자 25% "지지후보 변경가능" Vyvy 2024.03.14 472
2058 美, 韓의 민주주의정상회의 개최에 "韓, 글로벌 민주주의 투사" Vyvy 2024.03.14 62
2057 내일부터 러 대선, 푸틴 5선 확실시…득표율 관건, 80% 넘을까 Vyvy 2024.03.14 1500
2056 바이든 차남, 내주 美하원 공개 청문회 출석 거부 Vyvy 2024.03.14 46
2055 "美 전기차업체 피스커, 재무악화에 파산 절차 대비" Vyvy 2024.03.14 44
2054 美재무, 韓기업 美공장 찾아 '친환경 에너지 투자 성과' 강조 Vyvy 2024.03.14 278
2053 문화재청, 고구려 사신 벽화 소장한 우즈베크 박물관 단장 지원 Vyvy 2024.03.14 31
» 美재무 "금리, 코로나 이전으로 돌아가지 않을 듯"…견해 변화 Vyvy 2024.03.14 480
2051 강제매각 위기 틱톡 CEO "미국 30만개 일자리 위험에 빠트릴 것" Vyvy 2024.03.14 33
2050 日 "작년 11월 추락 사고 오스프리 운행 오늘부터 단계적 재개" Vyvy 2024.03.14 37
2049 韓세관당국, 석유화학업계 '러시아산 나프타 우회 수입' 조사 Vyvy 2024.03.14 788
2048 "中, 폭염으로 2050년까지 GDP 3∼5% 감소 전망" Vyvy 2024.03.14 59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153 Next
/ 15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