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방류 후 첫 日기자회견서 "안정성 확보 위해 장기 방류"…"지금 IAEA 하는 것 모두 옳아" 강조

"한국·중국 등 주변국과 대화 지속"…'핵무기 사용 준비' 푸틴 언급엔 "그럴 조건 존재 안 해"

일본서 기자회견 참석한 그로시 IAEA 사무총장

일본서 기자회견 참석한 그로시 IAEA 사무총장

(도쿄 EPA=연합뉴스)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이 14일 도쿄에서 열린 내외신 기자회견에 참석해 옆쪽을 응시하고 있다.

(도쿄=연합뉴스) 박상현 특파원 =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은 14일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일본 정부 명칭 '처리수') 해양 방류에 대해 "환경에 유해한 영향을 주지 않고 있다"고 단언했다.

그로시 사무총장은 이날 도쿄에서 개최한 내외신 기자회견에서 전날 후쿠시마 어민들과 면담 결과에 대한 질문에 "오염수 3만t(톤)이 방류됐지만 삼중수소 농도가 매우 낮다는 결과를 얻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지난해 방류 전에는 후쿠시마 지역 주민들이 불확실성으로 불안감과 우려를 호소했지만, 이번 방문에서는 주민들이 만족감을 나타내는 등 태도가 변화했음을 느꼈다고 전했다.

오염수 방류 한달 전인 작년 7월 일본을 방문해 방류 계획이 국제 안전기준에 부합한다는 평가를 담은 보고서를 기시다 후미오 총리에게 직접 전달한 바 있는 그로시 사무총장은 방류 이후 처음으로 지난 12일 일본을 다시 찾았다

그는 전날 후쿠시마 지역 주민과 대화를 나눈 뒤 제1원전 오염수 방류 설비를 시찰했고, 이날 기시다 총리와 만났다.

그로시 사무총장은 오염수 방류가 문제 없이 진행되고 있으며 IAEA가 독립적인 분석 기관으로서 투명하게 방류 과정을 검증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수십 년으로 예상되는 방류 도중 큰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는 지적에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방류 기간이 길어진 것"이라면서 환경에 유해한 결과를 초래하지 않으려고 장기 방류라는 방법이 선택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길을 건널 때나 비행기에 탑승할 때 어떤 위험한 일이 발생할지는 모르지 않는가"라고 반문하고 "지금은 (IAEA가) 하는 것이 모두 옳다고 말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IAEA가 독립적인 기관으로서 (방류 관련) 결과를 항상 평가하고 검증할 것"이라며 "이러한 검증이 이뤄지는 한, 미래에 큰 문제가 일어나지 않을 것이며 만일 문제가 발생한다면 IAEA가 누구보다 먼저 알아채 일본 정부 혹은 국제사회에 알릴 것"이라고 말했다.

그로시 사무총장은 지난달 후쿠시마 제1원전에서 배관 밸브를 열어둔 채 작업이 이뤄진 탓에 오염수 1.5t이 누출된 사고와 관련해 "(사고가) 오염수 방류와는 어떠한 관계도 없다는 점을 명확히 하고 싶다"며 큰 문제가 아니라는 인식을 나타냈다.

그는 오염수 방류가 시작된 지 반년이 넘게 흘렀음에도 여전히 일부 주변국과 어민들의 반대가 있다는 질문에는 대화를 통해 생각을 바꿔나가겠다고 답했다.

그로시 사무총장은 "한국, 중국, 태평양 섬나라와 대화를 지속하고 있다"며 "방류 절차가 기술적으로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확실히 설명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그로시 사무총장은 일본을 방문하기 직전인 이달 6일(현지시간) 러시아 소치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만났을 당시 자포리자 원전뿐만 아니라 이란의 핵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논의했다고 밝혔다.

그는 푸틴 대통령의 핵무기 사용 가능성과 관련해 핵무기 보유국은 각각 핵무기 사용에 관한 법률이 있다고 언급한 뒤 "지금 우크라이나 전쟁 상황을 보면 핵무기를 쓸 만한 조건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아울러 그로시 사무총장은 이날 기시다 총리와 면담에서 북한과 이란 핵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psh59@yna.co.kr

출처:https://www.yna.co.kr/view/AKR20240314142500073?section=international/all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87 과일 등 농산물 가격 상승…장바구니 물가 부담 Vyvy 2024.02.04 854
2086 “아태지역 25개국 중 이동통신 속도 가장 빠른 곳은 한국” Vyvy 2024.02.04 30
2085 “기업 66%, 설 상여금 지급…전년보다 경기 악화” Vyvy 2024.02.04 47
2084 윤재옥 “민주, 지방-수도권 격차 늘려…독자적 정책 고안 능력 의문” Vyvy 2024.02.05 717
2083 설연휴 국립묘지 셔틀버스 운영·보훈병원 응급실 24시간 운영 Vyvy 2024.02.05 41
2082 국가보훈부, ‘2025 광복 80주년’ 기념사업 국민제안 공모 Vyvy 2024.02.05 37
2081 법원 “삶은 고사리는 데친 고사리와 달리 면세 대상 아냐” Vyvy 2024.02.05 1148
2080 대통령실 “당에 공정하고 투명한 시스템 공천 누차 당부했어” Vyvy 2024.02.05 31
2079 설 연휴 청와대 문화행사…이야기 콘서트 등 열려 Vyvy 2024.02.05 730
2078 지난달 외환보유액 석달 만에 감소…“달러 강세 영향” Vyvy 2024.02.05 914
2077 [속보] 이재명 “준연동제 취지 살리는 통합형 비례정당 준비” Vyvy 2024.02.05 36
2076 베이조스, 향후 1년내 아마존 주식 5천만주 매각 계획 Vyvy 2024.02.05 28
2075 일본 '탈탄소' 이행채권 첫해 수소 활용 제철기술 등 지원 Vyvy 2024.02.05 51
2074 메시 '노쇼'에 홍콩 팬 분노, 환불 요구…"주최측 책임 물을것" Vyvy 2024.02.05 38
2073 대만, 이번엔 진먼다오·마쭈 접근제한 수역에 中선박 침범 우려 Vyvy 2024.02.05 20
2072 엘살바도르 부켈레, 재선 확정…"85% 득표" 대선 승리 선언 Vyvy 2024.02.05 891
2071 기업 실적 좋아졌다지만…2월 美 주식·채권 강세 보일까? Vyvy 2024.02.05 27
2070 "큰차는 책임도 커야"…파리시민, SUV 주차료 3배 인상 찬성 Vyvy 2024.02.05 405
2069 엄홍길, 네팔 룸비니학교 독후감대회 대상자에 물소 10마리 선물 Vyvy 2024.02.05 61
2068 트럼프 음모론 재개…'범죄자 밀어넣기' 밀입국 국가기획설 제기 Vyvy 2024.02.05 3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 153 Next
/ 15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