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조회 수 5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유명언론들, 버킹엄궁 발표 없는데도 사망 루머 보도

가짜 '서거 발표문' 게시…텔레그램에 올려 확산 부채질

지난 1월 29일 전립선 비대증 치료를 마치고 퇴원하는 찰스 3세

지난 1월 29일 전립선 비대증 치료를 마치고 퇴원하는 찰스 3세

[EAP=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금지]

(서울=연합뉴스) 신재우 기자 = 찰스 3세 영국 국왕이 서거했다는 가짜뉴스는 러시아 언론들이 퍼트린 것이라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찰스 3세가 사망했다는 주장을 담은 정체불명의 메시지는 이날 오후 갑자기 인스타그램 등 소셜미디어를 통해 확산했고, 이에 영국의 외국 주제 공관들이 가짜뉴스라고 반박에 나서는 등 한바탕 소동이 일었다.

가디언에 따르면, 가짜뉴스의 중심에는 러시아 언론들이 있었다.

러시아 언론이 확인되지 않은 소문을 보도하기 시작했고, 러시아에서 유명한 경제신문이었던 베도모스티가 자사의 텔레그램 채널에 이 소문을 공유하면서 가짜뉴스가 더욱 확산했다.

베도모스티는 의장용 군복을 입은 찰스 3세 사진에 "영국 국왕 찰스 3세가 사망했다"는 짧은 캡션을 달았다.

이 보도물은 235만명 이상의 구독자를 보유한 친정부 성향의 텔레그램 채널인 레아도프카를 비롯한 러시아 인터넷 채널들을 통해 퍼져나갔다.

버킹엄궁의 공식 성명이나 영국 방송 BBC의 사망 확인 보도가 없는 상황인데도 레아도프카는 찰스 3세의 사진 옆에 "왕실 홍보실에서 다음과 같이 발표한다. 국왕이 어제 오후 예기치 않게 세상을 떠났다"는 글이 적인 문서 이미지를 게시했다.

찰스 3세 서거 공식 발표문인 것처럼 꾸며진 가짜 문서 이미지.

찰스 3세 서거 공식 발표문인 것처럼 꾸며진 가짜 문서 이미지.

[가디언 모스크바 특파원 앤드류 로스 X 게시물 캡처]

공식 발표문인 것처럼 꾸며진 이 문서 이미지에는 3월 18일이라는 날짜까지 달려 있었다.

이 이미지 파일은 재작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사망했을 당시 버킹엄궁에서 나온 발표문을 모델로 삼은 것으로 보이는데, 누가 만들었는지 확인되지 않는다.

가짜뉴스는 이 시점에 우크라이나, 타지키스탄으로도 전파됐다.

다만, 찰스 3세 사망이 사실이 아닐 수도 있다는 의심도 고개를 들었다.

러시아 온라인 언론매체 가제타루는 처음엔 "찰스 3세 국왕이 사망했다 이것은 버킹엄궁에서 발표했다. 군주는 75세였다. 그는 최근 암 진단을 받았다"고 썼으나, 이후 "동시에 영국 공식 언론은 이에 대해 아무것도 보도하지 않았다. 아마도 이 정보는 가짜일 가능성이 높다"는 문구를 넣어 기사를 수정했다.

러시아의 한 유명 미디어 편집자도 이 기사를 게재하면서 "나는 사실인지 아닌지 말할 수 없다"고 했고, 이후 버킹엄궁 웹사이트가 해킹당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찰스 3세 사망 루머 관련 밈(meme·인터넷 유행 콘텐츠)도 퍼져나가고 있었다.

친정부 성향의 한 러시아 채널은 찰스 3세의 맏며느리인 케이트 미들턴 왕세자빈이 최근 공개했다가 '조작' 논란을 빚었던 가족사진에 찰스 3세의 머리를 합성한 사진을 게시했다.

이 채널은 "사진의 진실: 버킹엄궁이 찰스 3세 사망에 대한 소문을 불식시키기 위해 새로운 사진을 배포했다"고 썼다.

복부 수술 후 위중설에 시달리던 왕세자빈은 지난 10일 세 자녀와 함께 찍은 사진을 올렸으나 사진 조작 의혹이 제기됐고, 왕세자빈은 사진 '편집' 사실을 인정하고 사과한 바 있다.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은 이 게시물을 공유하면서 "런던이 한심해 보인다"고 조롱하기도 했다.

영국 왕세자빈이 공개한 사진을 1면에 실은 영국 신문들

영국 왕세자빈이 공개한 사진을 1면에 실은 영국 신문들

[EAP=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금지]

러시아 내부에서 이런 가짜뉴스가 급속도로 퍼져나가자 결국 러시아 국영 타스 통신이 나섰다.

타스는 속보를 통해 "찰스 3세는 계속해서 공식적인 일을 수행하고 사적인 업무에도 참석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가디언은 찰스 3세 사망 루머가 러시아에서 확대재생산 된 사실을 전하면서 "왕실의 이야기는 마침내 러시아의 바이러스성 허위 정보라는 새로운 전개를 맞이했다"고 썼다.

앞서 영국 왕실은 지난달 5일 찰스 3세가 전립선 비대증 치료 중 암 진단을 받아 치료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찰스 3세는 치료를 받으면서 대외 활동은 하지 않았으나 공무는 계속 수행해 왔다. 버킹엄궁도 찰스 3세가 업무 중인 모습을 담은 영상과 사진을 계속 공개하고 있다.

withwit@yna.co.kr

출처:https://www.yna.co.kr/view/AKR20240319029800009?section=international/all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27 미국 NYCB, 하루에 37% 폭락…지역은행 건전성 우려 재발 Vyvy 2024.02.01 47
826 미국 노동비용·민간고용 둔화…인플레 완화 신호 Vyvy 2024.02.01 65
825 "中, '종교의 중국화' 규정 개정…신장위구르족 종교 통제 강화" Vyvy 2024.02.01 125
824 中, 남동부 해안서 대함미사일 발사 훈련…대만·미국 겨냥 Vyvy 2024.02.01 746
823 "팔 난민기구 사태 빨리 해결해라" 공여국들 유엔에 촉구 Vyvy 2024.02.01 481
822 中, 대만해협 중간선 무력화 나선듯…중간선 인접항로 비행 허가 Vyvy 2024.02.01 1385
821 볼턴, 트럼프 거듭 저격…"북한에 퍼주는 거래 또 시도할 것" Vyvy 2024.02.01 144
820 대만 작년 경제성장률 추정치 1.4%…"14년 만에 최저" Vyvy 2024.02.01 787
819 캐나다 보수 야당 작년 후원금 349억원…집권 자유당 2배 상회 Vyvy 2024.02.01 609
818 미, 메모리반도체 기업 YMTC '中 군사 지원 업체' 목록에 추가 Vyvy 2024.02.01 631
817 中왕이, 신년행사서 대미·대일 외교성과 소개…한국 언급 없어 Vyvy 2024.02.01 618
816 풍력·태양광 발전 설비용량, 올해 처음으로 석탄 넘어설듯 Vyvy 2024.02.01 270
815 금리 기조전환 강화 연준, 인하시점은 미뤄…시장은 '5월 예상' Vyvy 2024.02.01 463
814 '쿠데타 3년' 미얀마 군정수장, 반군진압 천명…"국가안정 총력" Vyvy 2024.02.01 157
813 '저가공세' 알리익스프레스 소비자 불만 급증…지난달 150건 Vyvy 2024.02.01 309
812 '아 옛날이여'…전기차 수요 감소로 中리튬기업 순이익 '뚝' Vyvy 2024.02.01 1638
811 유럽 농민시위 '들불'…뿔난 농부들, 왜 거리로 나섰나 Vyvy 2024.02.01 792
810 틱톡, 인니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토코피디아 인수 완료 Vyvy 2024.02.01 1125
809 정치엔 얼씬도 마?…미국 대선판 달구는 스위프트 Vyvy 2024.02.01 53
808 미, 가자 장기휴전 압박…"이스라엘 군사작전 둔화 포석" Vyvy 2024.02.01 9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 153 Next
/ 15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