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조회 수 5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유명언론들, 버킹엄궁 발표 없는데도 사망 루머 보도

가짜 '서거 발표문' 게시…텔레그램에 올려 확산 부채질

지난 1월 29일 전립선 비대증 치료를 마치고 퇴원하는 찰스 3세

지난 1월 29일 전립선 비대증 치료를 마치고 퇴원하는 찰스 3세

[EAP=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금지]

(서울=연합뉴스) 신재우 기자 = 찰스 3세 영국 국왕이 서거했다는 가짜뉴스는 러시아 언론들이 퍼트린 것이라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찰스 3세가 사망했다는 주장을 담은 정체불명의 메시지는 이날 오후 갑자기 인스타그램 등 소셜미디어를 통해 확산했고, 이에 영국의 외국 주제 공관들이 가짜뉴스라고 반박에 나서는 등 한바탕 소동이 일었다.

가디언에 따르면, 가짜뉴스의 중심에는 러시아 언론들이 있었다.

러시아 언론이 확인되지 않은 소문을 보도하기 시작했고, 러시아에서 유명한 경제신문이었던 베도모스티가 자사의 텔레그램 채널에 이 소문을 공유하면서 가짜뉴스가 더욱 확산했다.

베도모스티는 의장용 군복을 입은 찰스 3세 사진에 "영국 국왕 찰스 3세가 사망했다"는 짧은 캡션을 달았다.

이 보도물은 235만명 이상의 구독자를 보유한 친정부 성향의 텔레그램 채널인 레아도프카를 비롯한 러시아 인터넷 채널들을 통해 퍼져나갔다.

버킹엄궁의 공식 성명이나 영국 방송 BBC의 사망 확인 보도가 없는 상황인데도 레아도프카는 찰스 3세의 사진 옆에 "왕실 홍보실에서 다음과 같이 발표한다. 국왕이 어제 오후 예기치 않게 세상을 떠났다"는 글이 적인 문서 이미지를 게시했다.

찰스 3세 서거 공식 발표문인 것처럼 꾸며진 가짜 문서 이미지.

찰스 3세 서거 공식 발표문인 것처럼 꾸며진 가짜 문서 이미지.

[가디언 모스크바 특파원 앤드류 로스 X 게시물 캡처]

공식 발표문인 것처럼 꾸며진 이 문서 이미지에는 3월 18일이라는 날짜까지 달려 있었다.

이 이미지 파일은 재작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사망했을 당시 버킹엄궁에서 나온 발표문을 모델로 삼은 것으로 보이는데, 누가 만들었는지 확인되지 않는다.

가짜뉴스는 이 시점에 우크라이나, 타지키스탄으로도 전파됐다.

다만, 찰스 3세 사망이 사실이 아닐 수도 있다는 의심도 고개를 들었다.

러시아 온라인 언론매체 가제타루는 처음엔 "찰스 3세 국왕이 사망했다 이것은 버킹엄궁에서 발표했다. 군주는 75세였다. 그는 최근 암 진단을 받았다"고 썼으나, 이후 "동시에 영국 공식 언론은 이에 대해 아무것도 보도하지 않았다. 아마도 이 정보는 가짜일 가능성이 높다"는 문구를 넣어 기사를 수정했다.

러시아의 한 유명 미디어 편집자도 이 기사를 게재하면서 "나는 사실인지 아닌지 말할 수 없다"고 했고, 이후 버킹엄궁 웹사이트가 해킹당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찰스 3세 사망 루머 관련 밈(meme·인터넷 유행 콘텐츠)도 퍼져나가고 있었다.

친정부 성향의 한 러시아 채널은 찰스 3세의 맏며느리인 케이트 미들턴 왕세자빈이 최근 공개했다가 '조작' 논란을 빚었던 가족사진에 찰스 3세의 머리를 합성한 사진을 게시했다.

이 채널은 "사진의 진실: 버킹엄궁이 찰스 3세 사망에 대한 소문을 불식시키기 위해 새로운 사진을 배포했다"고 썼다.

복부 수술 후 위중설에 시달리던 왕세자빈은 지난 10일 세 자녀와 함께 찍은 사진을 올렸으나 사진 조작 의혹이 제기됐고, 왕세자빈은 사진 '편집' 사실을 인정하고 사과한 바 있다.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은 이 게시물을 공유하면서 "런던이 한심해 보인다"고 조롱하기도 했다.

영국 왕세자빈이 공개한 사진을 1면에 실은 영국 신문들

영국 왕세자빈이 공개한 사진을 1면에 실은 영국 신문들

[EAP=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금지]

러시아 내부에서 이런 가짜뉴스가 급속도로 퍼져나가자 결국 러시아 국영 타스 통신이 나섰다.

타스는 속보를 통해 "찰스 3세는 계속해서 공식적인 일을 수행하고 사적인 업무에도 참석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가디언은 찰스 3세 사망 루머가 러시아에서 확대재생산 된 사실을 전하면서 "왕실의 이야기는 마침내 러시아의 바이러스성 허위 정보라는 새로운 전개를 맞이했다"고 썼다.

앞서 영국 왕실은 지난달 5일 찰스 3세가 전립선 비대증 치료 중 암 진단을 받아 치료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찰스 3세는 치료를 받으면서 대외 활동은 하지 않았으나 공무는 계속 수행해 왔다. 버킹엄궁도 찰스 3세가 업무 중인 모습을 담은 영상과 사진을 계속 공개하고 있다.

withwit@yna.co.kr

출처:https://www.yna.co.kr/view/AKR20240319029800009?section=international/all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47 유엔 北인권보고관 "北 반인도범죄 ICC 기소 노력 지속해야" Vyvy 2024.03.19 343
2246 "30년전 애덤스 뉴욕시장에 성범죄 피해" 주장 여성, 소장 공개 Vyvy 2024.03.19 1086
2245 러 대선 참관 한국인 "투표함·기표 방법 모두 제각각" Vyvy 2024.03.19 39
2244 美, '발암물질' 석면 사용 전면 금지…35년 만에 최종 퇴출 Vyvy 2024.03.19 44
2243 美의원, 상무부에 전기차·배터리 수입의 안보위협 조사 요청 Vyvy 2024.03.19 55
2242 테슬라, 북미·유럽서 주력 모델 가격 인상에 주가 6% 상승 Vyvy 2024.03.19 1675
2241 트럼프 '피바다' 발언 여진…바이든은 부채질·트럼프는 진화 Vyvy 2024.03.19 36
2240 멕시코 '에너지 국영기업 우선 기조' 지속될 가능성 커져 Vyvy 2024.03.19 46
2239 美텍사스주 '불법이민자 체포법', 대법원에 제동…"무기한 보류" Vyvy 2024.03.19 47
2238 EU, 팔 주민 공격한 요르단강 서안 정착민 제재에 합의 Vyvy 2024.03.19 93
2237 열받은 바다…해수온도 역대최고 행진에 기후재앙 공포 Vyvy 2024.03.19 932
2236 러 연해주 마린스키 예술단 방북…평양서 발레 공연 예정 Vyvy 2024.03.19 1306
2235 미 "이스라엘, 하마스 군사조직 부사령관 공습 살해" Vyvy 2024.03.19 617
» 러시아 매체들 "찰스 3세 영국왕 사망" 가짜뉴스 퍼트려 Vyvy 2024.03.19 55
2233 BIS 사무총장 "너무 이른 인플레 승리 선언 안 돼" 경고 Vyvy 2024.03.19 21
2232 뉴질랜드, 오커스 가입 반대하는 中에 "각 나라의 권리" 맞서 Vyvy 2024.03.19 337
2231 '지금은 하이브리드가 대세'…올해 미국 판매량 50% 증가 Vyvy 2024.03.19 91
2230 EU, '中범용반도체 의존' 위험성 조사 가능성…"美와 공동보조" Vyvy 2024.03.19 773
2229 탁신, 훈센가와 친분과시…'집권당 대표' 막내딸, 캄보디아 방문 Vyvy 2024.03.19 1471
2228 "日정부, AI 개발자 규제 도입 검토…허위정보 유포 등에 대응" Vyvy 2024.03.19 13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153 Next
/ 15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