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조회 수 4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광활한 영토 탓 미세 요소엔 무신경한 듯…서로 존중하는 세상 희망"

아무렇게나 투표하세요

아무렇게나 투표하세요

(모스크바=연합뉴스) 러시아 대통령 선거 기표 안내문. 다양한 표시를 모두 인정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문준일 원광대 교수 제공] 2024.3.19 abbie@yna.co.kr

(모스크바=연합뉴스) 최인영 특파원 = 러시아 대통령 선거를 참관한 문준일 원광대 교수는 균일화되지 않은 러시아 투표장 풍경이 이색적이었다고 19일(현지시간) 말했다.

문 교수는 지난 15∼17일 러시아 대선에 국제 참관인으로 참여해 제2차 세계대전 스탈린그라드 전투로 유명한 남부 볼고그라드의 선거를 지켜봤다.

한국인이 러시아 선거를 참관한 것은 처음이다.

한국은 우크라이나 '특별군사작전' 이후 서방 제재에 동참하면서 러시아의 비우호국으로 지정된 상태지만 문 교수에게 뜻밖의 참관 제의가 왔다고 한다.

그는 연합뉴스 전화 인터뷰에서 러시아가 국제적으로 비판 받는 상황이고, 러시아문학 전공자로서 정치사회 분야 전문가도 아니어서 고민이 됐지만 러시아인의 독특한 의식 세계와 문화에 대한 연구 욕심에 참관을 수락했다고 밝혔다.

문 교수는 "한국인은 이해하기 어려운 모습이 러시아에서는 자연스러운 경우가 많다"며 볼고그라드의 대선을 사흘간 지켜보면서 흥미로운 점을 발견했다고 말했다.

먼저 눈에 띈 것은 '투명 투표함'이다. 러시아가 선거에서 투명 투표함을 사용하는 모습이 언론을 통해 공개되면서 비밀 투표를 보장하지 못하는 엉터리 선거라는 비판이 나왔다.

자동 집계 장치가 달린 투표함

자동 집계 장치가 달린 투표함

(모스크바=연합뉴스) 러시아 대통령 선거 투표함. 뚜껑에 자동 투표수 집계 장치가 달려 있다. [문준일 원광대 교수 제공] 2024.3.19 abbie@yna.co.kr

그런데 러시아 투표함은 투명할 뿐 아니라 모양도 제각각이었다. 구형·신형 등 제작 시기가 다르기도 하고 봉인 방식과 뚜껑 모양도 달랐다. 자세히 보면 투표함의 투명도도 조금씩 달랐다.

유권자가 투표용지를 넣는 방법도 다양했다. 기표한 용지를 접어서 넣는 사람도 있지만 펼쳐서 넣는 사람이 더 많았다. 팩스처럼 투표용지를 밀어 넣으면 자동으로 투표수 집계까지 되는 전자 투표함을 사용하는 곳도 있었다.

기표 방식도 자유로웠다. 한국과 달리 러시아는 투표용지에 도장이 아닌 볼펜으로 기표하는데, 다른 후보 칸만 침범하지 않는다면 동그라미(○), 엑스(X), 브이(V), 십자가(+), 삼각형(△) 등 다양한 표시를 모두 인정한다고 했다.

서방은 허술해 보이는 러시아 대선을 두고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정권 연장을 위한 조작과 부정선거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지만, 러시아 내부에서는 이렇게 제각각인 투표 환경을 문제시하는 목소리는 드물다.

러 대선 투명 기표함

러 대선 투명 기표함

(모스크바=연합뉴스) 러시아 대통령 선거 투표함.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제작돼 내부가 훤히 보인다. [문준일 원광대 교수 제공] 2024.3.19 abbie@yna.co.kr

문 교수는 "한국의 엄격한 투표 환경을 생각하면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지만, 러시아인들은 크게 신경 쓰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고 말했다.

그는 "이러한 모습은 기본적인 규칙만 지켜지면 세세한 부분은 크게 신경 쓰지 않는 러시아인들의 의식 구조와도 연결되는 것 같다"며 "광활한 공간이 생활의 기본조건이 되었던 그들에게는 그 공간을 만드는 들판·숲·강 같이 가장 큼직한 요소들이 중요하지, 그 속의 미세한 부분까지 신경 쓸 여유가 없었던 것 같다"고 분석했다.

문 교수는 전날 러 대선 국제 참관인 기자회견에 참석해 "새가 한쪽 날개로만 날 수 없듯이 세상은 하나의 논리로 존재할 수 없고 서로 다른 논리의 조화 속에서 존재해야 한다"며 "이번 대선이 서로의 다름을 존중하는 세상을 위한 길을 열어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abbie@yna.co.kr

출처:https://www.yna.co.kr/view/AKR20240319004200080?section=international/all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47 출처:https://www.yna.co.kr/view/AKR20240131028800073?section=international/all Vyvy 2024.01.31 43
2246 의료진·무슬림 위장 이스라엘군, 서안 병원 침투해 3명 사살 Vyvy 2024.01.31 47
2245 英 북아일랜드 정치 파행 2년만에 끝나나…연정 구성될 듯 Vyvy 2024.01.31 86
2244 미국 앨라배마 이어 오하이오주도 '질소가스 사형' 검토 Vyvy 2024.01.31 257
2243 1월 31일 오늘의 주요 뉴스 관리자 2024.02.01 31
2242 ★★02월 01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관리자 2024.02.01 22
2241 하마스 인질 피해자, '자금 거래 허용' 바이낸스에 첫 민사소송 Vyvy 2024.02.01 424
2240 미, 가자 장기휴전 압박…"이스라엘 군사작전 둔화 포석" Vyvy 2024.02.01 98
2239 정치엔 얼씬도 마?…미국 대선판 달구는 스위프트 Vyvy 2024.02.01 52
2238 틱톡, 인니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토코피디아 인수 완료 Vyvy 2024.02.01 1125
2237 유럽 농민시위 '들불'…뿔난 농부들, 왜 거리로 나섰나 Vyvy 2024.02.01 792
2236 '아 옛날이여'…전기차 수요 감소로 中리튬기업 순이익 '뚝' Vyvy 2024.02.01 1638
2235 '저가공세' 알리익스프레스 소비자 불만 급증…지난달 150건 Vyvy 2024.02.01 309
2234 '쿠데타 3년' 미얀마 군정수장, 반군진압 천명…"국가안정 총력" Vyvy 2024.02.01 157
2233 금리 기조전환 강화 연준, 인하시점은 미뤄…시장은 '5월 예상' Vyvy 2024.02.01 462
2232 풍력·태양광 발전 설비용량, 올해 처음으로 석탄 넘어설듯 Vyvy 2024.02.01 270
2231 中왕이, 신년행사서 대미·대일 외교성과 소개…한국 언급 없어 Vyvy 2024.02.01 618
2230 미, 메모리반도체 기업 YMTC '中 군사 지원 업체' 목록에 추가 Vyvy 2024.02.01 631
2229 캐나다 보수 야당 작년 후원금 349억원…집권 자유당 2배 상회 Vyvy 2024.02.01 609
2228 대만 작년 경제성장률 추정치 1.4%…"14년 만에 최저" Vyvy 2024.02.01 78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153 Next
/ 15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