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조회 수 7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주변 지역 수개월 운송 차질…이미 서부로 물량 이동도

미국 경제 전반 타격 가능성 낮아…운임 추가 상승 우려도

26일(현지시간) 미국 볼티모어 다리 붕괴 현장[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26일(현지시간) 미국 볼티모어 다리 붕괴 현장[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기성 기자 = 미국 동부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의 항만을 가로지르는 대형 교량 붕괴로 인해 물류 혼란은 불가피하지만, 주변 지역을 떠나 미국 경제 전반에 큰 타격은 없을 것으로 분석된다.

블룸버그통신과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미국 언론은 26일(현지시간) 이번 다리 붕괴가 미국 동부의 주요 관문 중 하나인 볼티모어 항과 주요 도로의 폐쇄를 불렀다면서도 이같이 전망했다.

이 사고로 북동부 주들과 남동부 주들의 중간 지역에서 몇 주 혹은 수개월의 수송 차질이 야기되고, 주변 보스턴과 마이애미 등의 병목 사태를 피하고자 서부 해안으로 화물 이동이 가속할 것으로 예상됐다.

볼티모어 항은 대서양과 미국을 연결하는 주요 관문으로 미국 항구 중 9번째로 많은 물동량을 처리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 수출입은 미국 내에서 가장 많다.

메릴랜드 주지사 웨스 무어는 미국 동부 해안에서는 다섯 번째로 붐비는 볼티모어 컨테이너 항의 재개장 시점을 현재로는 예측할 수 없다고 말했다.

디지털 화물 플랫폼인 플렉스포트의 최고경영자(CEO)인 라이언 피터슨은 "업체들은 이미 동부에서 서부 해안으로 물량을 이동하기 시작했다"라고 말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그는 이어 볼티모어 항이 막혔다는 것은 동부의 다른 모든 항구가 화물의 과잉을 초래해 혼잡과 지연이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이미 코로나19 공급망 사태 때 항구 물동량이 갑자기 10% 또는 20% 늘면 대규모 적체와 정체, 선박 해상 대기 등 복합적인 모든 종류의 지연을 부르기에 충분하다는 점을 경험했다고 전했다.

볼티모어는 콤바인과 트랙터를 포함한 농기구 및 건설 기계에 대한 미국 최대 관문 중 하나로, 3월은 중서부의 파종 시즌을 앞두고 농기구를 수입하는 성수기로 꼽힌다.

또 철강, 알루미늄, 설탕과 같은 품목의 중요한 허브이기도 하며 매주 약 30~40대의 컨테이너 운반선이 이곳을 이용한다.

이밖에 미국 내 석탄 수출로는 두 번째로 큰 항으로, 이번 사고로 석탄 수출이 6주가량 중단되면서 최대 250만 톤의 운송이 차단될 가능성도 제기됐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번 사고로 한동안 물류상의 애로가 있겠지만, 지역적인 문제가 될 뿐 현재의 탄탄한 미국 경제 전반을 뒤바꿀 정도는 아니라는 쪽에 대체로 의견이 일치하고 있다.

이들은 인구 밀도가 높은 동부 해안을 따라 대체 고속도로와 항구가 많기 때문에 더 큰 경제적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주장한다.

또 BMW와 폭스바겐, 메르세데스-벤츠 등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항구 안팎에 선적을 처리할 시설을 갖춰 일부 선박은 여전히 접근할 수 있다.

무디스 어낼리틱스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마크 잔디는 교량 붕괴가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지만 "국가 기반 시설과 공급망의 취약성을 일깨워주는 또 하나의 사건"이라고 말했다.

공급망 위험 관리 회사인 에버스트림 어낼리틱스의 이사인 미르코 보이치크는 WSJ에 "영향은 다소 지역적일 것"이라며 수입업자들은 버지니아주 노퍽항과 뉴욕·뉴저지 항을 통해 화물을 운송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미 오를 대로 오른 해상 운임에는 또 다른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해운 분석업체 제네타(Xeneta)의 에밀리 스타우스뵐은 성명에서 극동에서 미국 동부까지 해상 화물은 파나마 운하의 가뭄과 홍해 분쟁으로 운임이 이미 150% 올랐다며, 이번 사고로 우려를 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cool21@yna.co.kr

출처:https://www.yna.co.kr/view/AKR20240327050400009?section=international/all


  1. 트럼프 따라하기? "印, 미얀마 난민 막으려 1,600㎞ 국경에 장벽"

    Date2024.03.28 ByVyvy Views283
    Read More
  2. 美여야 의원단, 대만 총통에 "美-대만 파트너십이 中위협 억제"

    Date2024.03.28 ByVyvy Views37
    Read More
  3. [2보] 한미약품그룹 오너가 경영권 분쟁, 형제측 승리로 일단락

    Date2024.03.28 ByVyvy Views727
    Read More
  4. 노벨경제학상 수상한 '행동경제학 창시자' 대니얼 카너먼 별세

    Date2024.03.28 ByVyvy Views800
    Read More
  5. 1분기 100억달러 넘는 대형 M&A 급증…작년 5건→올해 11건

    Date2024.03.28 ByVyvy Views856
    Read More
  6. '트루스소셜' 공식거래 첫날 16%↑…트럼프 6조원대 '돈방석'(종합)

    Date2024.03.27 ByVyvy Views127
    Read More
  7. 다리 붕괴로 폐쇄된 볼티모어항은 美 최대 자동차 수출입 관문(종합)

    Date2024.03.27 ByVyvy Views88
    Read More
  8. "마두로는 안돼" 베네수 野연합, 곡절 끝 대선후보 대체 등록(종합)

    Date2024.03.27 ByVyvy Views53
    Read More
  9. 삼성전자, 'AI 시대' 이끌 메모리 설루션 CXL·HBM 공개

    Date2024.03.27 ByVyvy Views1039
    Read More
  10. 日, 국산 여객기 개발 재추진…"44조원 투자해 2035년 양산"

    Date2024.03.27 ByVyvy Views122
    Read More
  11. 테슬라 판매 둔화에…머스크 "美서 자율주행기능 한달 무료 이용"

    Date2024.03.27 ByVyvy Views60
    Read More
  12. "미국 기대지 말자"…이스라엘 내 안보전략 개편론 대두

    Date2024.03.27 ByVyvy Views50
    Read More
  13. 패권경쟁론' 앨리슨 교수 만나 '미중관계의 길' 강조한 中왕이

    Date2024.03.27 ByVyvy Views43
    Read More
  14. 日, 박사 인재 2040년에 3배로 늘린다…기업엔 채용확대 요청

    Date2024.03.27 ByVyvy Views1200
    Read More
  15. 쪼들리는 트럼프, 성경 판촉까지…'갓 블레스 USA' 8만원입니다

    Date2024.03.27 ByVyvy Views143
    Read More
  16. 볼티모어 교량 붕괴, 물류 혼란 불구 경제 타격은 지역 한정

    Date2024.03.27 ByVyvy Views75
    Read More
  17. 日법원, '해산명령' 통일교에 과태료…"질문권 답변 거부 부당"

    Date2024.03.27 ByVyvy Views46
    Read More
  18. "볼티모어 다리 충돌 선박, 작년 검사서 시스템 결함 발견"

    Date2024.03.27 ByVyvy Views81
    Read More
  19. "시진핑-마잉주 내달 초 만날듯"…대만 친중 야당만 상대하는 中

    Date2024.03.27 ByVyvy Views58
    Read More
  20. 젤렌스키, 총사령관 교체 한달여만에…이번엔 안보수장 경질

    Date2024.03.27 ByVyvy Views554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153 Next
/ 15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