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러, 작년 초소형 전자부품 90% 中서 수입…양국 기업 무인기 생산 협력"

獨총리·美국무 방중 앞두고 브리핑…"中지원 없었다면 러 방위산업 좌절"

푸틴 러시아 대통령(좌)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부부

푸틴 러시아 대통령(좌)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부부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워싱턴=연합뉴스) 강병철 특파원 = 중국이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가 무기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초소형 전자부품, 공작기계 등의 대(對)러시아 판매를 크게 늘렸다고 미국 정부가 12일(현지시간) 밝혔다.

미국 정부 고위 당국자는 이날 외신을 대상으로 한 익명 브리핑에서 "중국은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의 방위 산업 기반이 활성화되는 데 주요한 요인이며 중국이 없었더라면 러시아는 상당한 좌절을 겪었을 것"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고 AP통신, AFP통신 등이 보도했다.

미국 당국의 정보를 토대로 한 이 브리핑에 따르면 지난해 러시아가 수입한 초소형 전자부품 90%는 중국에서 왔다. 이런 부품은 미사일과 전차, 항공기 등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또 러시아의 지난해 4분기 공작 기계 수입 규모 9억 달러 중 70% 정도는 중국이 차지했다. 이 공작 기계는 탄도미사일을 만드는 데 사용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과 러시아 기업들은 러시아 내에서 무인기를 공동으로 생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중국 기업들은 러시아에 무기 추진체에 사용되는 질산섬유소도 공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미국 당국자는 전했다.

중국은 또 우크라이나에서의 사용을 위한 위성 및 다른 우주 기반 역량을 개선하기 위해 러시아와 협력하고 있다.

미국은 중국이 우크라이나 전쟁을 위해 러시아에 위성 이미지를 제공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미국 정부 당국자는 "러시아는 구소련 시대 이후 가장 야심 찬 국방 (산업) 확장에 착수한 상태"라면서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전쟁 초기에 우리가 가능할 것으로 봤던 것보다 더 빠른 시간표에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우크라이나를 위해 우리가 현시점에서 할 수 있는 가장 결정적인 조치 중 하나는 중국이 러시아의 군사 산업 기반 재건을 돕는 것을 중단하도록 설득하는 것"이라면서 "러시아는 중국의 공급(input) 없이는 전쟁 노력을 지속하는 것이 힘들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정부가 정보 사항까지 공개하면서 대(對)중국 압박에 나선 것은 중국과 러시아간 협력이 크게 증대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여전히 러시아에 무기 공급은 하지 않고 있으나 우크라이나 전쟁 초기에 표면적으로 중립적 태도를 유지했던 것에 비교해 최근에는 러시아와 더 밀착하는 모습이다.

미국 정부의 이번 정보 사항 공개는 시기적으로는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의 방중(14~16일), 이탈리아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외교장관 회의(17~19일), 토니 블링컨 국무부 장관의 방중(수주 내)과도 맞물려 있다.

블링컨 장관은 G7 외교장관 회의 및 중국 방문에서 중러간 방위 산업 관련 협력 문제를 거론할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재닛 옐런 재무부 장관은 최근 방중 시 중국 정부에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 "러시아에 대해 군수품이나 이중용도 물품 판매를 지원하는 중국 은행들은 미국 제재를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중국 기업에도 "러시아를 위해 물질적 지원을 제공해서는 안 되며 그렇게 할 경우 심각한 결과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soleco@yna.co.kr

중국과 러시아 기업들은 러시아 내에서 무인기를 공동으로 생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중국 기업들은 러시아에 무기 추진체에 사용되는 질산섬유소도 공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미국 당국자는 전했다.

중국은 또 우크라이나에서의 사용을 위한 위성 및 다른 우주 기반 역량을 개선하기 위해 러시아와 협력하고 있다.

미국은 중국이 우크라이나 전쟁을 위해 러시아에 위성 이미지를 제공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미국 정부 당국자는 "러시아는 구소련 시대 이후 가장 야심 찬 국방 (산업) 확장에 착수한 상태"라면서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전쟁 초기에 우리가 가능할 것으로 봤던 것보다 더 빠른 시간표에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우크라이나를 위해 우리가 현시점에서 할 수 있는 가장 결정적인 조치 중 하나는 중국이 러시아의 군사 산업 기반 재건을 돕는 것을 중단하도록 설득하는 것"이라면서 "러시아는 중국의 공급(input) 없이는 전쟁 노력을 지속하는 것이 힘들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정부가 정보 사항까지 공개하면서 대(對)중국 압박에 나선 것은 중국과 러시아간 협력이 크게 증대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여전히 러시아에 무기 공급은 하지 않고 있으나 우크라이나 전쟁 초기에 표면적으로 중립적 태도를 유지했던 것에 비교해 최근에는 러시아와 더 밀착하는 모습이다.

미국 정부의 이번 정보 사항 공개는 시기적으로는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의 방중(14~16일), 이탈리아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외교장관 회의(17~19일), 토니 블링컨 국무부 장관의 방중(수주 내)과도 맞물려 있다.

블링컨 장관은 G7 외교장관 회의 및 중국 방문에서 중러간 방위 산업 관련 협력 문제를 거론할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재닛 옐런 재무부 장관은 최근 방중 시 중국 정부에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 "러시아에 대해 군수품이나 이중용도 물품 판매를 지원하는 중국 은행들은 미국 제재를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중국 기업에도 "러시아를 위해 물질적 지원을 제공해서는 안 되며 그렇게 할 경우 심각한 결과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soleco@yna.co.kr

 

출처:https://www.yna.co.kr/view/AKR20240413004700071?section=international/all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47 탈레반에 무너진 아프간의 '깡통군대' file 관리자 2021.08.16 38
3046 “20초 간 격렬하게”…물리학으로 입증한 바이러스 제거용 손 씻기의 정석 관리자 2021.08.21 46
3045 백신 접종자와 미접종자 차이 관리자 2021.08.21 1048
3044 탈레반 집집 돌며 색출하고 공개 처형…공포정치 시작 관리자 2021.08.21 779
3043 8월23일 오늘의 주요 뉴스 관리자 2021.08.23 53
3042 '무슨 건강상 문제길래'…美부통령 베트남 방문 수시간 지연 송고시간2021-08-25 00:58 관리자 2021.08.25 398
3041 라오스 벼랑끝 교민 소식 관리자 2021.08.28 1748
3040 8월30일 오늘의 주요 뉴스 관리자 2021.08.30 57
3039 9월1일 오늘의 주요 뉴스 관리자 2021.09.01 41
3038 미얀마 소식 file 관리자 2021.09.03 59
3037 "베트남에 백신 지원해달라" 美 CEO들이 나선 이유 관리자 2021.09.05 77
3036 미얀마 소식 file 관리자 2021.09.03 160
3035 9월6일 오늘의 주요 뉴스 관리자 2021.09.06 33
3034 캄보디아 소식 8월26일 프놈펜 시청 발표 관리자 2021.09.07 173
3033 9월8일 오늘의 주요 뉴스 관리자 2021.09.08 48
3032 9월10일 오늘의 주요 뉴스 관리자 2021.09.10 36
3031 9월14일 오늘의 주요 뉴스 관리자 2021.09.14 35
3030 9월24일 오늘의 주요 뉴스 관리자 2021.09.24 84
3029 9월27일 오늘의 주요 뉴스 관리자 2021.09.27 1359
3028 9월28일 오늘의 주요 뉴스 관리자 2021.09.28 5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53 Next
/ 15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