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홍콩 주민의 약 38%가 기회가 되면 홍콩을 떠나고 싶어 한다고 답한 설문 결과가 나왔습니다. 대다수가 국가보안법 시행 후 자유가 붕괴한 것을 이유로 꼽은 가운데 높은 생활비를 이유로 중국 본토로의 이주를 희망한다는 이들도 있어 극명한 대비를 이뤘습니다.

15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홍콩 중문대가 홍콩 주민 708명을 대상으로 지난 9월28일∼11월9일 진행한 설문에서 응답자의 약 38%는 기회가 되면 홍콩을 떠나겠다고 답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9월 같은 조사의 응답률 약 29%보다 약 9%포인트 상승한 결과입니다.

해외로 이주하고 싶다는 응답자들이 꼽은 주된 이유는 ‘자유, 인권, 표현의 자유의 붕괴’(17.7%), ‘과도한 정치적 분쟁 혹은 불안정한 정치’(15.1%), ‘비민주적 정치 시스템’(14.2%)과 ‘열악한 생활 환경 혹은 혼잡한 생활 공간’(11.2%)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가장 인기 있는 이민 행선지로는 영국(14.2%)이 꼽혔습니다. 이어 캐나다, 호주, 대만이 뒤를 이었습니다.

그런가 하면 응답자의 약 5분의 1은 기회가 되면 중국 본토로 이주하고 싶다고 답했는데 이는 지난해 같은 조사 응답률보다 9%p 상승한 것입니다. 이에 대해 중문대는 “통계적으로 중요한 변화”라고 짚었습니다.

2019년 거센 반정부 시위 속 홍콩인들의 반중 정서가 고조됐었지만 그와 정반대로 중국 본토로의 이주를 희망하는 이들이 늘어나는 걸로 조사된 것입니다. 본토 이주를 희망하는 주된 이유로는 홍콩의 치솟는 높은 생활비와 비좁은 주택이 꼽혔습니다.

홍콩 입법회(의회)의 유일한 중도파인 틱치연 의원은 영국으로 이주한 홍콩인들 삶이 팍팍하다는 일부 보도가 나오고 있음에도 중산층 개인과 젊은이들의 이민은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그는 SCMP에 “홍콩 정부가 국가보안법이 소수만을 겨냥할 뿐이라고 말하면서도 국가보안법에 진지하게 접근하는 것은 많은 이들이 홍콩에 머무는 것을 불편하게 만든다”며 “이는 마치 그들의 자유가 점점 줄어드는 것과 같다”고 지적했습니다. 틱 의원은 아울러 “애국주의 교육법을 강조하는 것 역시 이러한 정서에 기여한다”며 “일부는 정부의 독단적 스타일 탓에 홍콩의 독특함이 사라졌다고 느낀다”고 짚었습니다.

중국은 지난 10월 ‘애국주의 교육법’을 제정하면서 해당 법이 홍콩과 대만에도 적용된다고 밝혔습니다. 애국주의 교육법은 중국 공산당의 역사와 업적, 사회주의 체제와 혁명 문화 등은 물론 국가안보와 국방에 대한 개념도 교육하라는 내용을 담았습니다. 이에 따라 홍콩에서 이제 초등학생도 국가보안법과 중국 공산당, 중국 인민해방군에 대해 배우게 됩니다.

틱 의원은 본토 이주를 원하는 이들은 생활비를 낮추고 더 저렴한 주택과 노인 요양서비스를 찾아가는 것이라고 해석했습니다. 그는 “홍콩의 일부 젊은이들은 취업 기회를 찾아 상하이 등 1선 도시(베이징·상하이·광저우·선전)로의 이주를 선택한다”며 “이는 홍콩과 중국 간 통합에 이로우며 건전한 현상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홍콩대 폴 입 교수도 홍콩인들의 중국 본토로의 이주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그는 “중국 본토는 소비 증가를 통해 경제를 활성화시키고자 홍콩 주민의 방문과 정착까지 유도하고 있다”며 “홍콩의 높은 생활비는 본토 이주를 포함해 돈을 현명하게 쓰는 것에 대해 생각하게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4290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88 트럼프 "한중일과 끔찍한 무역협정 재협상해 훌륭한 합의했다"(종합) Vyvy 2024.04.03 67
2787 팔레스타인, 유엔 정회원국 가입 재추진…아랍권 등 지지 표명 Vyvy 2024.04.03 655
2786 대만 강진에 日오키나와현에 최대 3m 높이 쓰나미경보 발령 Vyvy 2024.04.03 1229
2785 연준 인사들 "올해 금리인하 여전히 기대하나 조만간 아닐 것" Vyvy 2024.04.03 249
2784 이스라엘군 총장, 구호트럭 폭격에 "복잡한 상황서 '오인'" 주장 Vyvy 2024.04.03 53
2783 "공무원, 야채상보다 머리 좋아"…日지사, 논란 발언 후 사의 Vyvy 2024.04.03 1578
2782 中견제 한뜻…美日, 공동성명에 안보 등 '전략적 협력' 명기키로 Vyvy 2024.04.03 54
2781 구호요원 오폭 후폭풍…美 등 우방 맹비난에 이스라엘 사면초가 Vyvy 2024.04.03 52
2780 일본 정부 "북한 어제 신형 고체연료 중거리 탄도미사일 발사" Vyvy 2024.04.03 50
2779 대만 TSMC, 강진에 생산라인 직원 대피…반도체 공급차질 우려 Vyvy 2024.04.03 54
2778 인텔, 삼성 제치고 파운드리 2위?…새 회계기준에 매출은 상회(종합) Vyvy 2024.04.03 30
2777 모건스탠리 "수년내 세계 천연가스 공급과잉 수십년 만에 최대" Vyvy 2024.04.03 60
2776 中견제 한뜻…美日, 공동성명에 안보 등 '전략적 협력' 명기키로 Vyvy 2024.04.03 36
2775 "연준 금리인하 안하면 엔·달러 환율 160엔 갈 수도" Vyvy 2024.04.03 1869
2774 인니, 프랑스산 라팔전투기 이어 2천t급 잠수함 2척 주문 Vyvy 2024.04.03 65
2773 "러시아, 미국이 모스크바 테러계획 위치까지 알렸는데 무시" Vyvy 2024.04.03 504
2772 日도 지방서 명문대 진학 어려워져…수도권 합격자 1.7배로↑ Vyvy 2024.04.03 72
2771 대만 소방 당국 "1명 사망·50여명 부상…건물 최소 26채 붕괴" Vyvy 2024.04.03 59
2770 태국, 저가 중국산 홍수 막는다…5만5천원미만 수입품에 부가세 Vyvy 2024.04.03 125
2769 "고양시, '지속가능한 도시' 세계 14위…비유럽 중 최고" Vyvy 2024.04.03 11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53 Next
/ 15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