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ELS 상품 가운데 6조 원이 넘는 규모가 지난 9월 말 기준 원금손실 위험이 있는 '녹인(knock-in·손실 발생 구간)' 구간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가운데 80% 이상이 내년 상반기에 만기가 도래합니다.
금융감독원은 오늘(22일) 이 같은 내용의 '3분기 파생결합증권 발행·운용 현황'을 발표했습니다.
올해 9월 말 기준 원금손실 위험이 있는 '녹인' 구간에 진입한 파생결합증권 잔액은 6조 8,000억 원으로 전체 파생결합증권 94조 원의 7.2% 수준입니다.
대부분 지난해 홍콩H지수 급락에 따라 H지수 편입 주가연계증권에서 발생한 '녹인'으로 규모는 6조 2,000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이 가운데 5조 9,000억 원, 전체의 87.8%가 내년 상반기 만기 도래를 앞두고 있습니다.
주가연계증권(ELS)은 평가기간 중 기초자산 가격이 기준점 미만으로 하락한 뒤 만기까지 상환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면 지수 하락률만큼 원금을 잃게 되는데 '녹인'은 이 구간에 진입한 상태를 말합니다.
지난해 말 기준 '녹인' 발생 잔액은 7조 3,000억 원으로, 일부가 만기도래로 상환되면서 1년 전 대비 '녹인' 잔액은 5,000억 원 감소했습니다.
올해 3분기 홍콩H지수 편입 발행 규모는 1조 4,000억 원으로 직전 분기 대비 33.8% 감소했습니다.
발행액은 2021년 이후 H지수 하락과 중국 경기 둔화 우려 영향 등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습니다.
반면 최근 일본 증시 상승세를 반영해 닛케이(Nikkei225) 편입 ELS 발행액은 증가세를 보이며 3분기 코스피 200 편입 발행액을 추월했습니다.
3분기 기초자산별 발행 규모는 ▲S&P500(6조2,000억 원) ▲유로스톡스(EuroStoxx) 50(5조7,000억 원) ▲니케이225(3조2,000억 원) ▲코스피200(3조1,000억 원) ▲홍콩H지수(1조4,000억 원) 순으로 컸습니다.
ELS 전체 발행액은 9조 9,000억 원으로 글로벌 증시 변동성 확대 영향 등으로 직전 분기 대비 2조 3,000억 원 감소했습니다.
금감원은 내년 상반기부터 '녹인'이 발생한 홍콩H지수 편입 ELS 등의 만기가 도래함에 따라 향후 홍콩 H지수 추이 및 투자자 손실 가능성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최근 꾸준히 발행량이 증가하고 있는 닛케이225 편입 ELS와 관련해 향후 변동성이 커질 경우 투자자 손실 발생 가능성이 있는 만큼 투자자 위험 고지를 강화할 예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금감원 관계자는 "최근 닛케이225 지수는 단기간 내 급상승하면서 변동성이 확대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서 투자 위험을 충분히 이해한 뒤 투자를 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통상적인 지수형 ELS 상품의 경우 기초자산은 복수의 주가지수로 구성되고 투자 성과는 이 가운데 가장 저조한 수익률을 기록한 주가지수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닛케이225가 상승하는 경우에도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주가연계증권(ELS)은 상품 특성상 향후 기초 자산 하락에 따라 변동성이 커질 경우 조기 상환이 지연될 수 있고 '녹인' 발생 등으로 인한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투자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사진 출처 : 금융감독원 제공]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486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