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조회 수 18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국은 이 품목에서 갑자기 베트남의 첫 달 최대 고객이 되었다.

 

세관의 예비통계에 따르면 2024년 1월 베트남은 비료 180,221톤을 수출하여 7,200만 달러 이상을 벌어들였는데, 2023년 동기 대비 물량은 41.7%, 매출액은 14% 증가했다. 수출가격은 평균 404달러/톤으로 2023년 1월 대비 14.5% 하락했다.

 

최근 몇 년 동안 캄보디아는 항상 베트남 비료의 최대 고객이었다. 캄보디아는 2023년 말까지 베트남 비료를 수입하는 데 2억 4,600만 달러 이상을 지출하여 38%를 차지했다. 그런데 올해 1월에 갑자기 한국이 베트남 비료의 최대 고객이 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베트남은 첫 달에 47,206톤의 비료를 한국에 수출하였는데, 이는 1,930만 달러 이상이며, 2023년 1월 대비 물량은 984%, 금액은 최대 1,074% 증가한 수치다. 2023년 12월 대비 생산량과 금액도 63%, 61%의 물량 증가로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베트남은 2023년 한 해 동안 한국에 8만 9,190톤, 6540만 달러이상을 수출했는데, 1월 생산량은 2023년 한 해 전체 생산량의 절반을 넘어섰다.

 

 

한국으로 평균 비료 수출 가격은 평균 410 달러/톤으로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8% 상승했다.

 

캄보디아는 37,782톤, 1,600만 달러 이상으로 베트남 비료의 두 번째 최대 고객국이 되었으며, 생산량은 전년 동기 대비 13.6% 증가하였으나 가격은 2% 하락했다. 평균 수출가격은 425 달러/톤으로 2023년 12월 대비 물량은 57.8%, 매출은 58.2% 급감했다.

 

필리핀 시장은 물량 293.3%, 매출 256.9% 증가한 720만 달러에 해당하는 15,558톤으로 3위를 차지했지만 가격은 2023년 12월 대비 9.3% 하락했다.

 

질소비료는 2015~2022년 전 세계 총 소비량의 56%를 차지할 정도로 전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비료다. 같은 기간 총 비료 소비량에서 인비료와 칼륨비료가 각각 24%와 19%를 차지했다. IFA 전망에 따르면 전 세계 질소비료 용량은 2022년 1억 5,690만 톤에서 2027년 1억 7,070만 톤으로 9%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2024년에는 세계 양대 공급국인 중국과 러시아가 수출을 제한하면서 비료 공급이 점점 더 부족해질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한다. 이로 인해 2024년 비료 가격이 예년에 비해 소폭 상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러시아는 국내 시장을 보호하기 위해 비료 수출 쿼터 정책을 5월까지 연장했고, 중국은 국내 공급과 가격 안정을 위해 요소 수출을 계속 제한하고 있다. 러시아는 생산량의 15%를 차지하고 중국은 전 세계 질소 비료 공급량의 1/3을 차지하는 세계 비료 산업의 중요한 두 나라이다. 그래서 중국의 수출량이 크게 줄어들면 공급에 차질이 생기고 전 세계 비료 가격이 상승할 위험이 있다.

 

베트남 시장에서는 2024년 비료 수요가 2023년에 비해 완만하게 증가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한다. 또한 베트남에서 사용되고 있는 비료 공급원은 주로 해외에서 수입되기 때문에 공급 부족과 글로벌 비료 가격 상승은 베트남 시장과 생산 활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출처:http://www.goodmorningvietnam.co.kr/news/article.html?no=71385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