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정부가 산재보험의 악용을 막기 위해 최근 몇 년 사이 산업재해 신청과 승인이 급증한 ‘소음성 난청’ 관련 제도 개선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은 오늘(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산재보험 제도 특정감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소음성 난청’ 산재보상 인정과 관련해 문제점이 파악됐다고 밝혔습니다.

이 장관은 “나이가 들어가면서 생길 수 있는 ‘노인성 난청’도 있고, 여러 가지 난청 사유가 있다”며 “그런데 50~60세에 퇴직하고 70~80세에 (산재) 신청을 했을 경우 나이 보정도 되지 않고 원인이 노령으로 인한 것인지 직업성 질환, 소음으로 인한 것인지 구별이 안 된다”고 지적했습니다.

실제로 소음성 난청 산재 신청 건수는 2017년 2,239건에서 2023년 1만 4,273건으로 6.4배 늘었고, 보상급여액도 347억 원에서 1,818억 원으로 5.2배 증가한 거로 집계됐습니다.

산재 신청자 가운데 93%는 60대 이상 고령층 재해자였습니다.

고용노동부는 ‘소음성 난청’ 산재 청구권에 대한 소멸시효가 사실상 사라지면서 고령층을 중심으로 신청이 급증했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전까진 퇴사 후 3년 이내에 산재 신청을 해야 했는데, 대법원 판례 등에 따라 2016년 소멸시효 기산일 기준이 소음작업장을 떠난 날에서 진단일로 변경됐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소음 작업장을 떠난 지 아무리 오래됐어도 난청 진단을 받은 지 3년 이내면 산재를 신청할 수 있게 됐습니다.

노인성 난청과 구분하기 위해 2017년부터 도입한 ‘연령 보정’ 역시 법원 판결로 근거가 사라지면서 2020년 폐지됐습니다.

고용노동부는 지난달 30일 발족한 ‘산재보상 제도개선 TF’를 통해 외부 전문가들과 함께 소음성 난청 문제 개선 방안을 집중적으로 논의하기로 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출처: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9434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20 김영우, 22대 총선서 ‘동대문갑’ 출마 선언…“의석 한 석이라도 찾아와야” HươngLy 2024.01.08 10
3119 국민의힘, 전직 장·차관 4명 영입…정황근·방문규·김완섭·이기순 HươngLy 2024.01.08 32
3118 국민의힘 특위, 김동연에 “민주당 의원도 찬성하는 메가시티가 사기극?” HươngLy 2024.01.08 16
3117 ‘AI’ DJ의 메시지 “과거에 매여 싸우지 말고…” [현장영상] HươngLy 2024.01.08 19
3116 이재명 ‘테러’에 공범 여부 확인 중…신상 공개위 내일 개최 HươngLy 2024.01.08 17
3115 한동훈 “‘대장동 특검’이야말로 방탄 특검…이해충돌” HươngLy 2024.01.08 16
3114 ‘민주 탈당’ 이상민, 국민의힘 입당…이낙연, ‘탈당 선언’ 예고 HươngLy 2024.01.08 9
3113 이재명 습격범 당적공개 논란…“법 지켜야” “공개해야” HươngLy 2024.01.08 10
3112 국정원 “북한, 하마스에도 무기 공급”…‘한글 표기’ 부품 사진 공개 HươngLy 2024.01.08 10
3111 김웅, 총선 불출마 선언…“국민의힘 민주적 정당 아냐” HươngLy 2024.01.08 28
3110 지갑 닫은 건설사들 공공택지마저 외면…3기 신도시 늦어지나 HươngLy 2024.01.08 17
3109 안갯속 반도체…패권 이어갈 ‘초격차’ 조건은? HươngLy 2024.01.08 11
3108 얼어붙은 분양시장, 건설 사업자들 ‘미분양 소진’ 고민 HươngLy 2024.01.08 15
3107 ‘CES 2024’ 통합한국관 역대 최대 규모…국내 기업 143곳 ‘혁신상’ HươngLy 2024.01.08 541
3106 지난해 플랜트 수주 302억 달러…8년 만에 최다 HươngLy 2024.01.08 8
3105 지난해 해외건설 수주 333억 달러…2년 연속 증가세 HươngLy 2024.01.08 24
3104 “시총 200대 기업 83%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HươngLy 2024.01.08 18
3103 ‘중동 호조’에 플랜트 수주액 지난해보다 25%↑ HươngLy 2024.01.08 14
3102 안덕근 산업부 장관 “지속가능 발전 위해 초격차 역량 확보 필수” HươngLy 2024.01.08 130
3101 한은 “미혼인구 증가 총노동공급↓…남성 노동공급 감소 영향 커” HươngLy 2024.01.08 5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 246 Next
/ 246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