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지역 식품제조업 분야에서 원·하청 간 생산과 노동에 대한 상생협약이 체결됐습니다. 상생협약이 체결된 건 조선업, 석유화학업, 자동차산업, 항공우주업에 이어 이번이 다섯 번째입니다.
고용노동부와 대상, 삼진푸드, 충청북도는 오늘(26일) 충북 진천군 삼진푸드 본사에서 ‘식품제조업 상생협력 확산을 위한 공동선언식’을 열고 이같이 밝혔습니다.
정부는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을 위해 원·하청 간 상생협력 모델 확산을 추진해왔습니다.
앞서 지난해 2월 조선업계, 9월 석유화학업계, 11월 자동차업계에 이어 지난 14일엔 항공우주제조업에서 협약이 체결됐습니다. ‘지역 단위 상생모델’로는 경남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입니다.
식품제조업은 10인 미만 기업이 90%를 넘게 차지해 다른 산업에 비해 소규모 사업장 비율이 상당히 높고, 낮은 수준의 근로 여건으로 인력난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고용부는 설명했습니다.
또, 전국에서 가장 높은 ‘빈일자리율’을 보이는 충청북도의 주요 산업인 만큼, 원청·협력업체와 함께 충청북도가 참여하는 상생협의체를 구성해 적극적으로 논의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공동선언에는 원청사가 ▲협력사 근로자의 근로조건 개선, ▲협력사의 숙련인력 확보, ▲협력사 기술경쟁력 제고, ▲공정거래 관계 등 안정적인 경영환경 조성을 지원한단 내용이 담겼습니다.
협력업체는 ▲자사 근로자의 근로조건 향상 및 역량 강화, ▲연구개발‧생산성 향상 노력을 하고, 정부·자치단체는 원청과 협력사의 노력에 대응해 제반 사항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을 약속했습니다.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은 공동선언식에서 “양질의 지역 일자리 창출, 지방으로의 인력 유입, 지역 경제 활성화로 이어지는 선순환의 생태계가 조성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정부는 대기업 노·사가 협력사 근로자의 복지 개선을 위해 재원을 형성하는 것을 지원하고, 취약근로자의 권익 보호와 이해 대변을 위해 커뮤니티 센터와 소통 채널을 구축하는 신규사업들을 시행하겠다”고 전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고용노동부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출처: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99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