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역대 왕후 가운데 가장 장수한 신정왕후 조씨(1808~1890)의 팔순 축하 잔치가 디지털로 재현돼 모바일 앱으로 체험할 수 있는 서비스가 시작합니다.
문화재청은 서울특별시, 우미희망재단, 제일기획과 함께 왕실의 궁중의례를 디지털로 복원하고 증강현실(AR)과 확장현실(XR)로 재현한 ‘1887 경복궁 진하례’를 오늘(21일) 경복궁 근정전에서 공개하고, 내일(22일)부터 누구나 모바일 앱을 통해 체험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고 밝혔습니다.
‘진하례’는 국가에 경사가 있을 때 신하와 관료들이 모여 축하하던 의식으로, 이번에 디지털로 재현한 ‘1887 경복궁 진하례’는 조선의 역대 왕후 중 가장 장수한 신정왕후 조씨의 팔순을 맞아 국왕과 종친, 문무백관이 참여해 대왕대비를 축하하고 나라의 태평과 안녕을 기원한 대규모 궁중의례입니다.
신정왕후 조씨는 조선의 추존왕인 문조, 즉 효명세자의 왕비이자 조선의 마지막 대왕대비입니다.
모바일에서 헤리티지 메타버스 앱 ‘공존’을 내려받아 경복궁 근정전에서 실행하면 증강현실로 136년 전의 진하례가 눈앞에 펼쳐져 조선시대 궁중음악 ‘여민락’이 울려 퍼지는 가운데 고종을 비롯해 300명이 넘는 인물이 제례에 참여하고, 국왕의 교서 반포와 신하들의 천세 외침 등이 재현되는 장면들을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습니다.
또한, 경복궁 행랑 내에 설치된 55인치 터치스크린, 디지털 안내판을 이용하면 모바일이나 앱 없이도 넓은 화면으로 진하례를 볼 수 있으며, 주요 의례 기물들을 3차원(3D)으로 관람할 수도 있습니다.
국왕·수문장 등 ‘궁중 인물들과의 특별한 상호작용(인터랙션) 체험’과 십장생병풍·해태상 등 ‘근정전 내 보물 찾기’, 궁중의례 복식에 자신의 얼굴을 합성해보는 ‘조선왕조 인공지능(AI) 프로필’ 등 현장 체험형 콘텐츠도 함께 즐길 수 있습니다.
아울러 경복궁을 방문하지 않더라도 전 세계 어디서든 시공간 제약 없이 ‘진하례’를 체험할 수 있는 메타버스 콘텐츠도 선보입니다. ‘공존’ 앱에서 누구나 자신만의 가상 분신(아바타)을 만들어 1887년의 경복궁 진하례 현장을 체험할 수 있습니다.
무형의 제례를 재현하는 만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인 『정해진찬의궤』와 『승정원일기』, 신정왕후의 팔순 잔치를 기록화로 남긴 병풍 ‘정해진찬도병’의 ‘근정전 진하도’ 등 역사기록을 기반으로 고증에도 최선을 다했다고 문화재청은 설명했습니다.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228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