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앵커


청년들이 결혼을 주저하는 이유, 1순위는 비싼 집값 때문인데요.

어제 정부와 여당이 획기적인 수준이라며 대책을 내놨습니다.

무주택 청년들이 청약통장에 가입하면 최대 4.5%의 이자를 지급하고 이 통장을 이용해 분양을 받을 때는 연 2%대의 주택담보대출을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오대성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정부가 이번 대책에 붙인 이름은 '청년 내 집 마련 1·2·3' 입니다.

대책을 3단계로 나눈겁니다.

먼저 돈 모으는 시기입니다.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이란 걸 새로 만드는데 기존 통장보다 이자를 더 주고, 납입 한도는 월 100만 원으로 2배 늘립니다.

기존 통장의 가입요건이 까다롭다는 지적에 소득요건은 풀고, 세대주가 아니더라도 가입할 수 있게 바꿨습니다.

두 번째, 내 집 마련 시기입니다.

이 통장에 천만 원 이상을 낸 후 6억 원 이하 주택 청약에 당첨되면, 장기간 저리 대출을 해줍니다.

분양가의 80%까지 최장 40년, 최저 2.2%의 금리로 돈을 빌릴 수 있습니다.

마지막, 새 가정을 꾸릴 때입니다.

청약 당첨 이후, 결혼하면 0.1%p 첫 출산 0.5%p 다음 출산부터는 0.2%p씩 추가로 금리를 인하해 줍니다.

대출 금리 하한선은 1.5%입니다.

이처럼 3단계를 적용해 정부가 든 예시를 보면 분양가 3억 4천만 원짜리 아파트에 당첨된다면 원리금 상환이 40년 만기 기준 현재는 월 93만 원인데, 이번 정책으로 최대 월 76만 원으로 줄어듭니다.

다만, 최저 소득 구간의 무주택 청년이 아이를 2명 이상 낳았을 때 가능한 얘기입니다.

정부는 향후 5년간 34만 호의 청년 공공분양주택 공급 계획과 맞물려 연간 10만 명이 새 청약통장의 혜택을 받을 거로 예상했습니다.

[원희룡/국토교통부 장관 : "초장기, 초저금리의 금융기회를 제공 받음으로써 내 집 마련의 꿈을 차례차례 이뤄나갈 수 있는 그러한 미래를 (실현하고자 합니다.)"]

하지만, 이미 비싼 집값에 청년 월평균 임금이 250만 원인 점 등에 비춰 정책 혜택이 청년층에서도 일부에게만 돌아갈 거란 비판도 있습니다.

[지수/민달팽이유니온 위원장 : "청년 1인 가구 중에서는 4명 중 3명이 저소득층으로 계속해서 그 비율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치솟은 집값을 지금의 청년세대에게 떠넘기게 되는, 떠안게 되는 겁니다."]

정부는 당장 집 사라는 게 아닌 '주거 사다리'를 제공하는 거라면서 내년 2월 새 청약통장을 출시하고, 대출 세부기준은 내년 말 내놓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오대성입니다.

촬영기자:이상훈 임동수/영상편집:김태희/그래픽:김지혜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26373


  1. No Image 25Nov
    by HươngLy
    2023/11/25 by HươngLy
    Views 14 

  2. No Image 25Nov
    by HươngLy
    2023/11/25 by HươngLy
    Views 16 

  3. No Image 25Nov
    by HươngLy
    2023/11/25 by HươngLy
    Views 29 

  4. No Image 25Nov
    by HươngLy
    2023/11/25 by HươngLy
    Views 2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 246 Next
/ 246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