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서울=연합뉴스) 장하나 기자 = 삼성전자[005930]가 미래기술사무국과 미래사업기획단에 이어 디바이스경험(DX) 부문에 신사업 개발 컨트롤타워를 추가 신설하는 등 '세상에 없는' 기술과 사업 발굴에 총력을 기울인다.

 

 

삼성전자 서초사옥

삼성전자 서초사옥

[연합뉴스 자료사진]

 

11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최근 조직 개편을 통해 DX 부문에 '비즈니스 개발 그룹'을 신설했다.

 

DX 부문의 신사업 발굴을 총괄하는 일종의 컨트롤타워다. 백종수 부사장이 비즈니스 개발 그룹장을 맡아 신사업태스크포스(TF)장과 겸임한다.

이와 함께 DX 부문 산하 모바일경험(MX)사업부와 영상디스플레이(VD)사업부, 생활가전(DA)사업부 등 3개 사업부에도 각각 같은 명칭의 사업 개발 조직을 만들었다.

 

경기 침체 장기화로 폴더블폰 등 일부 프리미엄 제품을 제외하고 세트(완제품) 사업 전반이 실적 부진을 겪은 만큼 수요 둔화 등 위기를 타개하고 장기적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사업 발굴에 집중하겠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비즈니스 개발 그룹은 기존에 설치한 미래기술사무국은 물론이고 이번 조직 개편에서 신설을 발표한 미래사업기획단과 함께 유기적으로 소통·협력해 시너지를 낼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영현 삼성전자 미래사업기획단장 부회장

전영현 삼성전자 미래사업기획단장 부회장

[삼성전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앞서 삼성전자는 이번 연말 인사에서 대표이사 직속으로 '미래사업기획단'을 신설하고, '반도체 신화'의 주역인 전영현(63) 삼성SDI 이사회 의장(부회장)에게 지휘봉을 맡겼다. 맥킨지 출신의 정성택 부사장과 반도체 전문가 이원용 상무도 합류했다.

 

미래사업기획단은 10년 이상 장기적인 관점에서 미래 먹거리 아이템을 발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전자와 전자 관계사 관련 사업을 중심으로 하되, 기존 사업의 연장선상에 있지 않은 사업 발굴에 집중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10년 후 패러다임을 전환할 삼성의 미래 먹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목표다.

 

지난 8월에는 DX 부문에 미래 신기술과 제품 확보를 위한 미래기술사무국을 만들기도 했다. 미래기술사무국장은 김강태 삼성리서치(SR) 기술전략팀장(부사장)이 맡고 있다.

 

이처럼 삼성전자가 잇따라 미래 기술과 사업 관련 조직을 만든 것은 기존 사업만으로는 성장 동력을 유지하기가 어렵다는 위기감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현재 미래 먹거리로 꼽히는 인공지능(AI)과 로봇, 바이오 등의 경우 다른 기업들도 너나 할 것 없이 뛰어든 만큼 초격차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활로 모색에 나선 것이다.

 

미래사업기획단은 앞서 고(故) 이건희 선대회장의 지시로 2009년 꾸려진 '신사업추진단'과도 비견된다.

 

당시 김순택 부회장이 이끈 신사업추진단은 태양광, 발광다이오드(LED), 이차전지, 의료기기, 바이오제약 등 5대 신수종 사업을 발굴했다. 이중 이차전지와 바이오는 현재 삼성의 핵심 먹거리로 성장했다.

 

차세대 반도체 R&D단지 건설현장 방문한 이재용 회장

차세대 반도체 R&D단지 건설현장 방문한 이재용 회장

[삼성전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이에 따라 5대 신수종 사업에 버금가는 '이재용표' 신수종 사업이 나올지 주목된다.

 

이재용 회장은 "아무리 생각해봐도 첫 번째도 기술, 두 번째도 기술, 세 번째도 기술 같다", "미래 기술을 얼마나 빨리 우리 것으로 만드느냐에 생존이 달려있다"며 연일 기술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지난해 8월에는 복권 후 첫 공식 행보로 기흥 반도체 R&D단지 기공식에 참석해 "기술 중시, 선행 투자의 전통을 이어 나가자. 세상에 없는 기술로 미래를 만들자"고 당부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는 경기 침체와 실적 악화에도 R&D 투자를 강화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에만 13조8천억원을 R&D에 투자한 데 이어 3분기에도 7조원을 R&D 투자에 쏟았다. 이에 따라 연간 R&D 투자액은 역대 최대 규모였던 작년(24조9천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올해 연간 시설투자는 반도체(DS) 47조5천억원, 디스플레이 3조1천억원 등 연간 최대 수준인 약 53조7천억원으로 예상된다.

 

 

hanajjang@yna.co.kr

출처:https://www.yna.co.kr/view/AKR20231209045200003?section=industry/electronic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00 미래 국가교육과 평생학습 방향은…국가교육위원회 토론회 tranghoan 2023.12.11 29
999 톡톡 튀는 대학생들의 제주 마을관광 아이디어는? tranghoan 2023.12.11 31
998 서울 지하철 5호선 마장역에 '스마트도서관' 개관 tranghoan 2023.12.11 13
997 다문화배드민턴대회 고양서 16일 개막…다문화가족 500여명 참가 tranghoan 2023.12.11 34
996 충남교육청, 보령시 행복교육지구로 재지정 tranghoan 2023.12.11 102
995 코이카, 김동호·손정미 신규 상임이사 선임 tranghoan 2023.12.11 29
994 올해 1∼10월 중국外 글로벌 전기차 등록 453만6천대…39.8%↑ tranghoan 2023.12.11 28
993 LGU+, 한국토요타와 전기차 충전 멤버십 협력 tranghoan 2023.12.11 14
992 SK엔무브, 공유·이동욱 출연 새 디지털 광고 선보여 tranghoan 2023.12.11 30
991 동아대 연구팀, 미세연성 젤 초탄성 유변학 측정 첫 성공 tranghoan 2023.12.11 19
» 삼성전자, 미래사업기획단 이어 신사업 개발 컨트롤타워도 신설 tranghoan 2023.12.11 24
989 티웨이항공, 기체결함에 또 '운항지연'…넉달간 5차례 발생 tranghoan 2023.12.11 27
988 서울 아파트 평균 월세 '100만원' 시대…늘어나는 임차인 부담 tranghoan 2023.12.11 12
987 코웨이, BTS 광고 모델 '아이콘' 정수기 100만대 판매 돌파 tranghoan 2023.12.11 7
986 가덕도신공항 배후도시 개발구상…경남도, 국제포럼 개최 tranghoan 2023.12.11 14
985 해양진흥공사, 컨테이너 해운산업 경쟁력 강화 세미나 tranghoan 2023.12.11 10
984 농심, '신라면 더 레드' 용기면으로 출시 tranghoan 2023.12.11 306
983 쌍방울, 연말 맞아 방한제품 기부…롯데월드는 소아암 환아 기부 tranghoan 2023.12.11 53
982 CJ제일제당, 자사몰에 '내일도착' 배송 서비스 도입 tranghoan 2023.12.11 37
981 대구 수출 2년 연속 100억 달러 달성…내년에도 성장세 지속 tranghoan 2023.12.11 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 246 Next
/ 246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