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조회 수 3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앵커


비교적 이른 나이인 20~30대에 생기는 이른바 '젊은 당뇨'가 급속히 늘고 있습니다.

젊은 나이에 당뇨가 오면 더 위험하다는데요.

왜 그런지 김현경 앵커가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이 30대 여성은 10년 이상 당뇨를 앓고 있습니다.

대학 입시를 준비할 당시 음식 섭취량을 늘리자 당뇨가 왔고 10년 이상 이어지고 있습니다.

꾸준히 관리할 도리밖에 없습니다.

[강혜영/32세 : "그거는 할머니들이나 할아버지가 걸리는 병 아닌가. 아 죄송해요. 처음에는 당뇨라고 해서 너무 무서웠거든요."]

20대와 30대 당뇨 환자는 4년 새 25%가 늘었습니다.

30대 10명 중 세 명은 당뇨 전 단계란 분석도 있습니다.

젊은 층에서 비만 인구가 늘고 있는 점.

맵고 짜고 단 음식을 많이 먹는 점.

앉아있는 시간은 긴 반면 걷는 시간은 부족한 게 이유로 꼽힙니다.

젊은 나이에 당뇨가 왔다는 건 그만큼 당뇨를 안고 살아가는 기간이 상대적으로 더 길어질 수 있단 걸 의미합니다.

당뇨는 오랜 기간 유지될수록 여러 장기를 망가뜨려 합병증을 부를 수 있습니다.

특히 젊은 시기에 발병한 당뇨는 더 빠르게 상태가 나빠지는 특성도 있습니다.

[정혜수/한림대 강남성심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 "젊은 연령의 2형 당뇨 환자들은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 능력이 빠르게 감소가 되고 또 치료 실패로 이어지는 경우들이 많아서..."]

젊다고 마음 놓지 말고 철저히 관리해야 합니다.

전민기 씨는 5년 전 공복혈당이 4백에 육박했습니다.

[전민기/36세 : "처음엔 좀 기계가 잘못됐나 싶기도 하고 세네 번 정도 찔러봤던 거 같아요. 계속 똑같이 나와 가지고 아 이게 몸이 이렇구나.."]

이후 혈당 관리에 나섰습니다.

오늘 저녁은 현미밥에 시래기 국.

식단을 철저히 조절합니다.

주 4회 운동도 꾸준히 했습니다.

병원 치료도 병행한 결과 정상 혈당을 찾았습니다.

[전민기/36세 : "많은 시간보다는 꾸준히 하는 게 중요하고 적당량을 매일매일 해주는 게 좋은 거 같아요."]

전 씨는 SNS를 통해 자신의 치료 경험을 알리는 데 앞장서고 있습니다.

[정혜수/한림대 강남성심병원 내분비 내과 교수 : "비만이 동반된 당뇨 전 단계 성인의 경우에는 체중을 5% 이상 감량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식사량은 줄이고 운동량은 늘리는 게 최선입니다.

또 혈당은 측정 시마다 편차가 큰 만큼 3개월간의 혈당을 반영한 당화혈색소를 재 볼 것을 전문의들은 권합니다.

KBS 뉴스 김현경 입니다.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76783


  1. ‘젊은 당뇨’ 가 더 무섭다

    Date2024.01.28 ByHươngLy Views38
    Read More
  2. 하찮은 음식 ‘시래기’…건강에는 최고의 선택

    Date2024.01.28 ByHươngLy Views759
    Read More
  3. ‘화로’ 사용은 피하고 경보기 달아야

    Date2024.01.28 ByHươngLy Views40
    Read More
  4. 동해안, 건조주의보 계속…높은 너울 주의

    Date2024.01.28 ByHươngLy Views17
    Read More
  5. 새벽 제주·호남 서해안 비나 눈…중부 미세먼지 ‘나쁨’

    Date2024.01.28 ByHươngLy Views121
    Read More
  6. 겨울마다 10만 톤씩 뿌리는데…저감 대책은?

    Date2024.01.28 ByHươngLy Views26
    Read More
  7. 잇따른 고령층 화재 사망…빠른 대피 어려워

    Date2024.01.28 ByHươngLy Views354
    Read More
  8. [재난·안전 인사이드] 심혈관질환 겨울에 증가

    Date2024.01.28 ByHươngLy Views32
    Read More
  9. 또 해커에 털린 공공기관…26만 명 개인정보 유출

    Date2024.01.28 ByHươngLy Views16
    Read More
  10. 인구 3만에 방문객은 5만…인제 도서관의 기적

    Date2024.01.28 ByHươngLy Views83
    Read More
  11. 서귀포 해상서 어선 침몰해 2명 실종…이틀째 수색

    Date2024.01.28 ByHươngLy Views34
    Read More
  12. ‘공항·철창’…작은 단서가 한파 속 치매 노인 살렸다

    Date2024.01.28 ByHươngLy Views42
    Read More
  13. 새 학기부터 서울 초·중·고 학교폭력 ‘전담조사관’이 맡는다

    Date2024.01.28 ByHươngLy Views67
    Read More
  14. ‘키 크는 주사’ 처방 증가…이상사례 보고도 5년간 5배↑

    Date2024.01.28 ByHươngLy Views467
    Read More
  15. 서울시, 서울사랑상품권 사용처 ‘소상공인’ 중심으로 개편

    Date2024.01.28 ByHươngLy Views130
    Read More
  16. “개인컵 쓰고 서울페이 결제하면 포인트 300원”…서울시 ‘다회용기 확대’

    Date2024.01.28 ByHươngLy Views147
    Read More
  17. 국민건강영양조사 시작…골밀도·노인생활기능 검사 도입

    Date2024.01.28 ByHươngLy Views50
    Read More
  18. ‘늘봄 확대’ 학부모들 반색…교사들 “아직 안돼”

    Date2024.01.28 ByHươngLy Views36
    Read More
  19. 설 연휴 앞두고 고속도로 휴게소 등 공중화장실 점검

    Date2024.01.28 ByHươngLy Views35
    Read More
  20. 행안부, 지역사랑상품권 예산 상반기 1500억 원 집행

    Date2024.01.28 ByHươngLy Views29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 246 Next
/ 246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