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北미사일, 우크라전쟁 확대·장기화 위험"…안보리 공식회의 첫 참석

유엔 사무총장 "안보리 진영 갈등 속 한국 가교역할 더욱 중요해져"

안보리 발언하는 조태열 외교부 장관

안보리 발언하는 조태열 외교부 장관

[뉴욕=로이터 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뉴욕·서울=연합뉴스) 이지헌 특파원 현혜란 기자 =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23일(현지시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공식 회의에 참석해 북한과 러시아 간 군사협력 강화에 깊은 우려를 표했다.

조 장관은 이날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2년을 계기로 열린 안보리 고위급 회의에서 "북한 군수품과 미사일이 우크라이나에서 목격되고 있다"며 "이는 사람들의 고통을 악화시킬 뿐만 아니라 전쟁이 더욱 확대되고 장기화할 위험이 있다"고 밝혔다.

이어 "북한이 대가로 받는 것이 첨단 군사기술이거나 안보리 결의 한도를 초과하는 석유 거래인 것으로 드러날 경우 이는 한반도 안보를 위협하는 북한의 능력으로 되돌아올 것"이라며 러시아와 북한에 안보리가 만장일치로 채택한 제재 결의 준수를 촉구했다.

그러면서 "안보리가 국제평화와 안보라는 근본적인 의무를 이행하기 위해서는 내재된 결점과 현 상황의 제약에도 불구하고 복잡성을 헤쳐 나갈 효과적인 전략을 수립하는 게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우크라이나 평화·안보 유지'를 주제로 열린 이날 회의에서 조 장관은 우크라이나의 주권, 영토 보전과 독립이 존중돼야 한다는 한국 정부의 입장을 재확인했다.

아울러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무력 침공은 명백한 유엔 헌장과 국제법 위반이라고 지적하면서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과 평화 회복을 위한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약속했다.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유엔 안보리 공식회의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유엔 안보리 공식회의

[외교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한국이 올해 1월 1일부터 유엔 안보리 비상임 이사국 임기를 시작한 후 외교부 장관이 직접 안보리 공식 회의에 참석한 것은 처음이다.

지난 2016∼2019년 주유엔 대사를 역임한 조 장관은 이번에는 외교 수장으로서 안보리 회의에 자리하게 됐다.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외교장관회의 일정을 마치고 미국에 도착한 조 장관은 이날 유엔 방문을 시작으로 방미 일정을 시작했다.

조 장관은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과 면담에서 북한 문제와 이스라엘-하마스 무력 충돌 등 주요 국제 현안에 관한 의견을 교환했다고 외교부가 전했다.

조 장관은 안보리 비상임 이사국으로서 활동 계획을 소개하고 북한의 도발 대응과 북한인권 증진을 위해 국제사회와 더욱 적극적으로 관여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특히 한국이 안보리 의장국을 수임하는 오는 6월에는 북한 문제와 사이버 안보 등 분야에 기여하고자 한다며 구테흐스 총장의 협력을 당부했다.

이에 구테흐스 총장은 협력 의지를 재확인하면서 안보리가 진영 갈등 등으로 주요 현안에 합의를 이루지 못하는 상황에서 한국의 가교역할이 더욱 중요해졌다고 강조했다.

조 장관은 뉴욕에 머물며 학계 인사 면담, 한국 기업인 간담회 등의 일정을 소화한 뒤 26일 워싱턴 D.C.로 이동할 예정이다.

오는 28일에는 취임 후 처음으로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부 장관과 양국 외교장관회담을 한다.

외교부는 조 장관의 안보리 공식 회의 참석이 "국제 평화와 안보 증진을 위한 우리의 역할과 기여를 국제사회에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됐다"고 평가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오른쪽) 유엔 사무총장과 악수하는 조태열 외교부 장관

안토니우 구테흐스(오른쪽) 유엔 사무총장과 악수하는 조태열 외교부 장관

[외교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an@yna.co.kr

runran@yna.co.kr

출처:https://www.yna.co.kr/view/AKR20240224010752072?section=international/all


  1. 아르헨 찾은 블링컨 "밀레이 정부 달러화 도입, 기다려볼 것"

    Date2024.02.24 ByVyvy Views163
    Read More
  2. 우크라 대표단, 폴란드 국경 찾아갔지만 '빈손' 귀환

    Date2024.02.24 ByVyvy Views401
    Read More
  3. 佛 트랙터 시위대 파리 시내 집결…정부 압박 수위 고조(종합)

    Date2024.02.24 ByVyvy Views54
    Read More
  4. 커지는 우려에…구글 무인 로보택시 웨이모 운행 확대 '제동'

    Date2024.02.24 ByVyvy Views319
    Read More
  5. 美재무부 부장관 "러시아산 원유 가격상한 제재 강화"

    Date2024.02.24 ByVyvy Views740
    Read More
  6. 유엔총장 "우크라 침공 러, 식민시대 국경 인정한 阿서 배워야"(종합)

    Date2024.02.24 ByVyvy Views906
    Read More
  7. 캐나다 소도시, 주민투표로 성소수 상징 '무지개 횡단보도' 폐지

    Date2024.02.24 ByVyvy Views77
    Read More
  8. 유럽, '전쟁 2년' 푸틴에 "독재" 규탄…우크라 자금·안보 지원

    Date2024.02.24 ByVyvy Views367
    Read More
  9. 美, 러 최대 국영해운사 제재…유조선 14척 제재 대상으로 명시

    Date2024.02.24 ByVyvy Views35
    Read More
  10. 조태열, 유네스코 사무총장 면담…AI 윤리 등 협력 논의

    Date2024.02.24 ByVyvy Views379
    Read More
  11. "美 무인우주선, 달 착륙때 넘어졌을 수도…표면에 누워 있는듯"

    Date2024.02.24 ByVyvy Views1414
    Read More
  12. "베이조스·엔비디아, 'MS·오픈AI 투자' 피규어AI 펀딩 참여"

    Date2024.02.24 ByVyvy Views1225
    Read More
  13. '전쟁 2년' 푸틴 "국가 영웅" 격려…젤렌스키는 군사지원 호소

    Date2024.02.24 ByVyvy Views381
    Read More
  14. [美공화경선] '이미 승리' 트럼프 시선은 본선…"바이든에 해고 통보할 것"

    Date2024.02.24 ByVyvy Views169
    Read More
  15. 재래식 지뢰 부활…러시아·트럼프 공포에 동유럽 방어선 사수

    Date2024.02.24 ByVyvy Views182
    Read More
  16. 美, 대만 총통선거후 첫 무기판매…中 "심각한 주권침해" 반발

    Date2024.02.24 ByVyvy Views63
    Read More
  17. [2주년 키이우에서] 상이군인 곁에는 쇼핑몰 성업…우크라, 긴장과 일상의 공존

    Date2024.02.24 ByVyvy Views1086
    Read More
  18. 美대선 냉동배아 돌발변수…바이든 맹공에 트럼프 '역풍' 차단

    Date2024.02.24 ByVyvy Views44
    Read More
  19. 기시다 4월 방미 때 상하원 합동 연설…아베 이어 9년만

    Date2024.02.24 ByVyvy Views388
    Read More
  20. 조태열 외교장관 "북러 군사협력 강화, 한반도 안보에 위협"(종합)

    Date2024.02.24 ByVyvy Views395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 153 Next
/ 15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