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요미우리 "해법 계기로 한일정상 신뢰 구축…향후 사법 판단 따라 틀 흔들릴수도"

아사히 "해법 이행 순조롭지 않아…日도 과거 직시하는 자세와 노력·성의 필요"

서울 용산역 강제징용 노동자상

서울 용산역 강제징용 노동자상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도쿄=연합뉴스) 박상현 특파원 = 한국 정부의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 해법 발표 1주년을 맞아 일본 언론이 해법 발표가 한일 관계 개선의 계기가 됐지만, 일부 원고의 해법 거부 등 과제도 남아 있다고 7일 진단했다.

일부 언론은 역사 문제가 한쪽의 노력만으로 해결되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일본에 과거를 직시하는 자세와 성의 있는 행동을 요구했다.

한국 정부는 지난해 3월 6일 승소가 확정된 징용 피해자들에게 일본 피고 기업 대신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이하 재단)이 모금한 돈으로 배상금을 준다는 '제3자 변제' 해법을 발표했고, 실제로 일부 원고 측에 이 방법으로 배상금을 지급했다.

보수 성향 최대 일간지인 요미우리신문은 "징용 해결책을 계기로 한일 정상 간 신뢰가 깊어졌다"며 "해결책 발표 이후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총리가 이미 7회 회담해 신뢰 관계를 구축해 왔다"고 전했다.

이어 "지난 1년간 한일 관계가 무풍 상태는 아니었다"라면서 군마현 조선인 추도비 철거와 히타치조선이 한국 법원에 맡긴 공탁금 지급 등 양국 여론이 반발할 수 있는 사안이 있었지만, 큰 문제로 발전하지 않았다고 짚었다.

요미우리는 "양국 정상은 셔틀 외교를 가속해 관계를 더욱 강화하고자 하고 있다"며 "기시다 총리 3월 방한은 미뤄졌지만, 총리는 주변에 '윤 대통령을 지원하게 된다면 언제든 방한한다'는 의향을 나타내고 있다"고 덧붙였다.

진보 성향으로 분류되는 아사히신문도 해법 발표 이후 한일 관계 개선이 급속도로 이뤄졌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일본 언론은 일부 원고가 재단으로부터 배상금을 받는 것을 원하지 않고 있고 징용 소송에서 승리하는 원고가 늘어나는 등 과제도 적지 않다고 지적했다.

요미우리는 "재단은 배상금에 상당하는 금액을 법원에 맡기는 공탁을 추진하고 있지만, 법원이 수리하지 않고 있다"며 "향후 사법 판단에 따라 해결책의 틀이 흔들릴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어 "4월 한국 총선 결과에 따라 징용 문제가 다시 양국의 장벽이 될 가능성도 있다"며 "윤석열 정권을 뒷받침하는 여당이 패한다면 해결책에 대한 비판이 강해질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고 설명했다.

아사히도 "해결책 이행이 순조롭다고 하기는 어렵다"며 "작년 연말 이후 비슷한 소송 9건에서 승소한 원고는 50명을 넘고, 재단 자금이 바닥날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고 전했다.

아사히는 별도 사설에서 한국에만 해법 이행을 촉구하는 일본 정부를 향해 진일보한 행동을 보일 것을 우회적으로 요구했다.

아사히는 사설에서 "역사 대립의 극복에는 부단한 노력과 성의가 필요하다"며 "그 원점을 잊지 말고 일본도 (한일) 관계를 되돌리지 않는 길을 모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일본 측에 "징용 문제가 '해결됐다'고 생각하지 말고, 과거를 직시하는 자세를 계속해서 보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와 관련해 한국 정부는 일본 민간 기업들에 배상금 조달 동참을 요구해 왔으나, 일본 정부와 기업은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으로 배상 문제는 모두 해결돼 곤란하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전날 기자회견에서 징용 해법이 한일 관계 개선에 기여했다고 평가하면서도 일본 기업의 참여 등 후속 조치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psh59@yna.co.kr

출처:https://www.yna.co.kr/view/AKR20240307036300073?section=international/all


  1. 바이든, 7일 첫 임기 마지막 국정연설…'고령 논란' 불식 주목

    Date2024.03.07 ByVyvy Views40
    Read More
  2. 美 본예산 일부 하원 가결…8일까지 상원 통과해야 셧다운 면해

    Date2024.03.07 ByVyvy Views1098
    Read More
  3. "마지막 빙하 지켜라"…베네수엘라 '특수 이불' 덮는다

    Date2024.03.07 ByVyvy Views225
    Read More
  4. 고립주의 기우는 美…23%만 "세계문제 해결에 더 적극 역할해야"

    Date2024.03.07 ByVyvy Views606
    Read More
  5. "과학·기술, 위기에"…68명의 노벨상 수상자 밀레이에 서한

    Date2024.03.07 ByVyvy Views56
    Read More
  6. 파월 "공급 부족이 미국 주택시장의 구조적 문제"

    Date2024.03.07 ByVyvy Views996
    Read More
  7. 日언론 "징용해법 과제 남아…총선서 與 지면 비판 강화될 수도"

    Date2024.03.07 ByVyvy Views47
    Read More
  8. '인도적 참사 막자'…유엔 팔난민기구에 각국 다시 원조 나설듯

    Date2024.03.07 ByVyvy Views1307
    Read More
  9. 후티 공격에 화물선 선원 3명 숨져…첫 민간인 사망(종합2보)

    Date2024.03.07 ByVyvy Views444
    Read More
  10. 북핵 위기의 시작…'IAEA 안전조치' 이행과 북한

    Date2024.03.07 ByVyvy Views244
    Read More
  11. '촬영장 총격' 영화 무기관리자, 과실치사 유죄…"러시안룰렛"

    Date2024.03.07 ByVyvy Views1099
    Read More
  12. 日, 中견제행보 확대…외무 이어 방위상도 태평양 섬나라와 회의

    Date2024.03.07 ByVyvy Views772
    Read More
  13. 美해안경비대가 中어선에 올라 단속을…태평양 섬나라서 무슨 일?

    Date2024.03.07 ByVyvy Views35
    Read More
  14. 연일 악재에 몸살 테슬라 주가, 금주 10%↓…시총 10위권 밖으로

    Date2024.03.07 ByVyvy Views467
    Read More
  15. 지하철 범죄와의 전쟁…뉴욕주, 방위군 750명 투입해 가방 검사

    Date2024.03.07 ByVyvy Views288
    Read More
  16. 그래도 트럼프? 차라리 바이든?…헤일리 표심 캐스팅보트 부상

    Date2024.03.07 ByVyvy Views41
    Read More
  17. 中 보란 듯…대만, 해공군 합동훈련 이어 연례 한광훈련도 늘려

    Date2024.03.07 ByVyvy Views703
    Read More
  18. 미국 무슬림 72% "바이든의 가자전쟁 정책에 반대"

    Date2024.03.07 ByVyvy Views593
    Read More
  19. 더는 2인자는 없다…'시진핑 통제 강화' 中 국무원 기본법 개정

    Date2024.03.07 ByVyvy Views66
    Read More
  20. '비자금 홍역' 日자민당, 연루 의원 처벌·파벌금지 명문화 추진

    Date2024.03.07 ByVyvy Views225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 153 Next
/ 15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