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푸틴 5선 도전' 사흘 전 공격 감행한 자유군단 "오늘은 첫날일 뿐"

12일(현지시간) 러시아군이 자국 영토 벨고로드 지역에서 파괴했다고 주장하는 우크라이나 전투차량 모습

12일(현지시간) 러시아군이 자국 영토 벨고로드 지역에서 파괴했다고 주장하는 우크라이나 전투차량 모습

[AP=연합뉴스]

(모스크바·이스탄불=연합뉴스) 최인영 김동호 특파원 = 우크라이나를 위해 싸우는 러시아인 민병대가 러시아 본토를 공격, 일부 지역을 점령했다고 12일(현지시간) 주장했다.

그러나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측이 국경을 넘어오려다가 격퇴당했다고 반박했다.

AFP 통신에 따르면 우크라이나를 위해 싸우는 러시아 자유군단(FRL)은 이날 소셜미디어를 통해 우크라이나 서북부 수미주(州)에 접한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서 러시아의 장갑차를 파괴했다고 밝혔다.

또 다른 민병대인 시비르 대대도 "우리는 약속대로 러시아 땅에 자유와 정의를 가져오고 있다"고 주장했다. 러시아 벨고로드 지역에서도 교전이 벌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우크라이나는 종종 공격용 무인기(드론)를 이용해 러시아 본토를 공격하지만, 러시아 국적자가 포함된 민병대가 직접 국경을 넘어가는 일은 드물다.

러시아 자유군단은 작년 5월과 6월 벨고로드주를 급습해 일부 마을을 점령했었다.

이에 대해 쿠르스크 주지사는 텔레그램을 통해 민병대가 영토에 진입해 툐트키노에서 교전 중이라는 사실을 확인하면서도 "총격전이 벌어졌지만 (방어선을) 돌파하지는 못했다"고 주장했다.

러시아 연방보안국(FSB)도 성명을 내고 "우크라이나 무장단체가 벨고로드와 쿠르스크 지역의 일부 국경 정착촌에 진입했다는 정보가 퍼지고 있으나 공개된 정보는 사실이 아니다"라고 부인했다.

러시아인으로 구성된 우크라이나측 민병대원들

러시아인으로 구성된 우크라이나측 민병대원들

[AP=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FSB는 전날부터 자국군이 두 지역 국경에서 방어전을 펴고 있으며 100명 이상의 병력을 사살하고 탱크 6대와 장갑차 20대를 파괴했다고 주장했다.

러시아 국방부도 성명에서 "오늘 아침 러시아 벨고도르와 쿠르스크 지역으로 진입하려는 우크라이나 정권의 시도를 러시아군과 FSB가 저지했다"며 우크라이나가 민간 표적을 포격하고 탱크와 장갑차를 동원해 3개 방향에서 러시아로 침입하려 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FRL은 이날 오후 재차 성명을 내고 "쿠르스크의 툐트키노 정착지는 전적으로 해방군 통제하에 있다"며 자신들이 이곳을 점령했으며 러시아군이 퇴각하고 있다고 거듭 주장했다.

실제 이날 민병대의 공격으로 러시아 접경지 일부 지역이 영향을 받았다.

이고르 쿠차크 쿠르스크 시장은 성명을 내고 "최근 벌어진 일들과 관련해 각급 학교의 원격수업을 결정했다"며 "이 조치는 금요일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전했다.

이와 관련, 우크라이나 국방부 산하 정보총국(HUR)의 안드리 유소우 대변인은 "민병대는 러시아 영토 내에서 자율적으로 행동한다"며 이번 공격이 우크라이나군의 지휘체계에 따른 것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5선에 도전하는 러시아 대선이 불과 사흘 앞으로 다가온 시점에 벌어진 이번 공격을 놓고 우크라이나 당국이 배후에 있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고 로이터 통신은 짚었다.

우크라이나군에 자원입대한 병사들

우크라이나군에 자원입대한 병사들

[로이터=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알렉세이 바라노프스키 FRL 대변인은 "선거는 주말이고, 오늘은 (작전의) 첫날일 뿐"이라며 "가장 흥미로운 일들은 아직 벌어지지 않았다"고 언급해 향후 수일간 추가 작전이 이어질 수 있음을 암시했다.

이날 러시아에서는 벨고로드와 쿠르스크뿐 아니라 모스크바, 레닌그라드, 브랸스크, 툴라, 오룔 등 지역이 최소 25대의 우크라이나 드론 공격을 받았다.

니즈니노브고로드에서는 러시아 2위 석유기업 루크오일의 노르시 정유공장이 드론 공격을 받아 화재가 발생했다고 글레브 니키틴 주지사가 텔레그램을 통해 밝혔다.

쿠르스크 지역에도 드론 공습이 있었으나 이 지역 원자력 발전소는 정상 가동 중이라고 밝혔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광범위한 드론 공격에 "우리 군은 경계 태세를 갖추고 있고 특별군사작전은 계속되고 있다"며 우크라이나가 테러 활동과 민간인 표적 공격 시도를 지속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dk@yna.co.kr

출처:https://www.yna.co.kr/view/AKR20240312155552108?section=international/all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07 푸틴 “북한, 자체 ‘핵우산’ 보유…러에 도움 요청 없었다” Vyvy 2024.03.13 45
2006 인도 총리 아루나찰프라데시주 방문 놓고 중국-인도 설전 Vyvy 2024.03.13 694
2005 "트럼프, 작년 머스크에 자신의 SNS '트루스소셜' 매입 타진" Vyvy 2024.03.13 904
2004 아르헨 중앙은행 기준금리 연110%→80%로 한꺼번에 30%p 낮춰 Vyvy 2024.03.13 861
2003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州 2월 12일을 '한인이민의 날'로 제정 Vyvy 2024.03.13 650
2002 물길' 회복하는 파나마 운하…하루 통행선박 차츰 늘려 Vyvy 2024.03.13 43
2001 러 "중국의 '핵무기 선제 비사용 조약' 제안 연구 중" Vyvy 2024.03.13 817
» 러시아인 민병대 "러 본토 마을 점령"…러 국방부는 "격퇴"(종합2보) Vyvy 2024.03.13 26
1999 루마니아 법원, '여혐' 인플루언서 테이트 英 송환 승인(종합) Vyvy 2024.03.13 58
1998 EU "기후위기 대비" 강조했지만 대책은 없어…선거 의식한듯 Vyvy 2024.03.13 886
1997 美, 비용 줄여 확보한 4천억원으로 우크라이나에 무기 지원 Vyvy 2024.03.13 857
1996 美 "아이티 과도위원회 48시간 내 구성 전망"…갱단도 참여하나 Vyvy 2024.03.13 39
1995 美, 비용 줄여 확보한 4천억원으로 우크라이나에 무기 지원(종합 Vyvy 2024.03.13 33
1994 美 대선 대리전된 특검 청문회 "이중잣대" vs "기억력 왜 거론" Vyvy 2024.03.13 49
1993 韓, 美주도 對中 반도체장비 수출통제 참여 검토…韓美관계 고려 Vyvy 2024.03.13 55
1992 佛하원, 우크라 안보 협정 승인…마크롱 파병론엔 집중 포화 Vyvy 2024.03.13 47
1991 아르헨 2월 물가상승률 13.2%로 둔화…연간 276% 물가 올라 Vyvy 2024.03.13 32
1990 홀로코스트 생존자들, '가자전쟁 비판' 오스카 수상소감에 반발 Vyvy 2024.03.13 531
1989 바이든 "푸틴은 멈추지 않는다"…美의회에 우크라지원 승인 촉구 Vyvy 2024.03.13 684
1988 나발니 최측근, 러 대선 앞두고 리투아니아서 망치 피습 Vyvy 2024.03.13 72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 153 Next
/ 15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