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틱톡 금지법안' 놓고 번스 번스 美대사-中외교부 장외 설전…번스 "中 반발, 아이러니"

니콜라스 번스 주중 미국 대사

니콜라스 번스 주중 미국 대사

[AP=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베이징=연합뉴스) 서혜림 기자 정성조 특파원 = 미국 하원이 '국가 안보'를 이유로 중국 기업 소유의 동영상 플랫폼 '틱톡'을 사실상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킨 것과 관련, 미국과 중국 외교당국이 장외 설전이 이어졌다.

니콜라스 번스 주중 미국 대사가 엑스(X·옛 트위터)를 통제하는 중국이 이 법안에 반발하는 것은 모순이라고 직격하자 중국은 자유시장경제 국가를 자부하는 미국이 기업 한 곳을 집어 '탄압'하는 것이 아이러니라고 맞섰다.

번스 대사는 14일(현지시간) 보도된 블룸버그 TV 인터뷰에서 "그들(중국 정부)은 자국민에게 엑스, 인스타그램, 페이스북을 사용하고 구글에 접속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지 않는다"며 "이것(중국의 반발)은 매우 아이러니한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것이 틱톡과 같은 상용 기술이든 군사 기술로 전환될 수 있는 기술이든 기술 부문은 여러 면에서 현재 미국과 중국 간 경쟁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전날 미국 하원의 틱톡 금지법안 통과를 가리켜 '강도의 논리'라고 맹비난했던 중국은 번스 대사의 발언도 즉각 받아쳤다.

왕원빈 외교부 대변인은 15일 브리핑에서 "중국이 외국 소셜미디어(SNS)를 대하는 정책은 미국이 틱톡을 대하는 태도와 완전히 비교 불가능하다"며 "중국 법규 요구만 준수한다면 우리는 늘 각종 플랫폼 제품과 서비스의 중국 시장 진입을 환영해왔고, 이 규정은 모든 외국 기업을 똑같이 대한다"고 주장했다.

왕 대변인은 "틱톡(을 소유한 중국 기업 바이트댄스)은 완전히 미국의 법률에 따라 등록됐고, 합법적으로 경영되면서 미국의 감독을 받았다"며 "그런데 미국은 온갖 방법·계략으로 국가의 힘을 써서 탄압했고, 금지령을 내리려는 것뿐만 아니라 강제로 빼앗으려까지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언론의 자유를 표방하고, 자유시장경제라고 우쭐대는 한 국가가 국가 역량을 특정 기업 탄압에 동원하기를 주저하지 않는 것이야말로 진정 아이러니"라고 덧붙였다.

앞서 미국 하원은 전날 '안보 우려'를 이유로 중국 동영상 플랫폼인 틱톡을 미국 앱스토어에서 퇴출할 수 있도록 한 법안을 통과시켰다.

한편, 번스 대사는 조 바이든 행정부가 지난해 11월 샌프란시스코 미중 정상회담에서 한 약속을 지키지 않는다는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 겸 외교부장의 발언에 대해선 "우리는 약속을 지키고 있다"고 반박했다.

앞서 왕 주임은 지난 7일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기자회견에서 양국의 정상회담 이후에도 "미국의 잘못된 대중국 인식이 여전히 이어지고 있고, 미국이 한 약속은 전혀 지켜지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번스 대사는 또 현재 중국 내 환경이 미국 기업들 투자를 망설이게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지난해 중국이 개정한 반(反)간첩법과 미국 기업들에 대한 압수수색 등을 거론하며 "일부 중국 고위 관료들은 민간 부문 투자를 환영한다며 '당신의 투자가 보호될 것'이라고 말하지만, 기업들은 다른 메시지도 듣는다"고 말했다.

바이든 행정부의 대(對)중국 반도체 수출통제 정책에 대해선 필요한 조처라며 "우리는 국가 안보에 대해 타협하지 않을 것이고 협상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hrseo@yna.co.kr

출처:https://www.yna.co.kr/view/AKR20240315066451009?section=international/all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07 中, '어민 사망' 대만 사과에도 진먼 순찰…"더한 조치도 가능"(종합) Vyvy 2024.03.15 48
906 정부 "후쿠시마 지진 후 오염수 방류 재개…현지 점검단 파견"(종합) Vyvy 2024.03.15 45
905 독일 1년새 온실가스 10%↓…"2030년 목표 달성 가능" Vyvy 2024.03.15 1649
904 세네갈 유력 야당 후보, 대선 열흘 앞 전격 출소 Vyvy 2024.03.15 904
903 중국·러시아, 백두산호랑이 보호·연구 공동연구소 설립 Vyvy 2024.03.15 33
902 첫 중국산 여객기 C919, 유럽 하늘 날려면 최소 5년 걸릴 듯 Vyvy 2024.03.15 434
» 美 "SNS 막더니 틱톡금지 반발?"…中 "자유시장경제 우쭐대더니"(종합) Vyvy 2024.03.15 44
900 시진핑, '미중 각축전' 앙골라와 관계격상…"개도국 굴기 못막아" Vyvy 2024.03.16 60
899 IMF 이메일 해킹 공격 받아…"지난달 발견" Vyvy 2024.03.16 44
898 "홍해 LPG 운반선 근처서 두차례 폭발"…후티 공격 의심 Vyvy 2024.03.16 73
897 "양심상 지지 못해"…트럼프에 또 등돌린 펜스 Vyvy 2024.03.16 39
896 美 워싱턴주, 음력설 법정 무급 공휴일 지정 Vyvy 2024.03.16 1053
895 '브라질의 트럼프' 보우소나루, 대선불복 직접 지시 정황 나와 Vyvy 2024.03.16 1052
894 황 유엔대사 "韓, 안보리 이사국으로서 北본성 제대로 알릴 것" Vyvy 2024.03.16 872
893 트럼프 성추문 입막음돈 사건 공판 연기…지연작전 '착착' Vyvy 2024.03.16 373
892 '돈나무 언니' 캐시 우드 매수 등에…테슬라 주가 나흘만에 반등(종합) Vyvy 2024.03.16 1104
891 美하원의원들 "한국, 민주주의정상회의 개최에 찬사…전폭 지지" Vyvy 2024.03.16 80
890 결정적 한방 부족에…美 공화, 바이든 탄핵조사 출구전략 검토 Vyvy 2024.03.16 71
889 멕시코시티 에어비앤비 주택서 마약 무더기 적발…"미국 판매용" Vyvy 2024.03.16 56
888 트럼프 수사 조지아 특검, 상관인 검사장과의 불륜 논란 속 사퇴(종합) Vyvy 2024.03.16 66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 153 Next
/ 15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