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美국채금리 연중 최고 수준…이달 금리동결 관측 속 신흥국 통화 약세 지속

미국 연방준비제도 건물

미국 연방준비제도 건물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임상수 기자 = 미국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하락 속도의 둔화 징후를 시사하는 각종 경제지표가 나오면서 시장에서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인하 시점이 늦어지고 인하 횟수도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18일(이하 현지시간) 보도했다.

이에 따라 미국 국채 2년물과 5년물 금리가 올해 최고 수준으로 상승했다.

시장은 19∼20일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

물가 지표가 예상보다 높게 나오면서 이번 달 조기 금리 인하 기대는 잠잠해진 상태로,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선물 시장에서는 이번 달 금리 동결 가능성을 99.0%로 보고 있다

더 나아가 연준의 금리 결정을 예측하는 스와프 계약은 이날 한때 6월 금리인하 가능성을 50% 미만으로 예상하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다만 6월 금리인하 확률이 50%를 살짝 넘는 선에서 마감됐다.

스와프 트레이더들은 아울러 지난해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이후 공개한 연준 인사들의 올해 금리인하 전망치(중간값) 0.25%포인트씩 3회, 즉 0.75%포인트 인하보다 적은 0.69%포인트 인하를 점쳤다.

리처드 번스타인 어드바이저의 마이클 콘토풀로스 채권 담당 이사는 "여전히 유동성이 넘쳐난다"며 "금융 여건 완화, 낮은 실업률과 고착화하는 인플레이션, (기업)이익 증가 가속화, 투기 만연 등을 감안할 때 금리인하에 도움이 되는 환경이 아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2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지난해 12월 이후 최고 수준인 4.749%, 5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지난해 11월28일 이후 최고인 4.367%를 각각 기록했다.

골드만삭스도 17일 메모를 통해 "예상보다 소폭 높은 인플레이션 경로"를 이유로 연준의 통화정책 전망을 수정해 올해 금리인하가 0.25%포인트씩 4차례가 아닌 3차례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다.

골드만삭스는 6월에 첫 인하를 시작하고, 내년에 4차례, 2026년 마지막 한차례 단행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최종 전망치는 종전과 같은 3.25∼3.5%를 그대로 유지했다.

골드만삭스는 "인플레이션이 이전 둔화추세를 지속할 것이라는 연준 인사들의 확신이 줄어들고 있다"고 인정하면서도 너무 오랫동안 고금리 유지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줄이기 위해 6월에 금리인하를 시작할 것으로 내다봤다.

신흥국 통화는 연준과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BOJ) 등의 금리 결정을 앞두고 5일 연속 약세를 보였다.

이와 관련해 BOJ가 19일 금리정책 결정 회의에서 마이너스 금리정책을 끝내고 17년 만에 금리 인상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나오면서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신흥국 통화지수가 이날 0.1% 하락했다.

실제로 BOJ가 금리 인상을 결정하면 미국 달러화와 마찬가지로 새로운 안전자산으로 엔화를 찾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BOJ 뿐 아니라 미국 연준을 비롯해 영국, 스위스, 브라질, 멕시코, 콜롬비아, 튀르키예, 인도네시아 등이 이번 주에 기준 금리 결정을 한다.

이런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 공화당 대통령 후보가 중국기업이 멕시코에서 제조한 자동차에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언급한 뒤 멕시코 페소화가 한 달 만에 최악의 낙폭을 기록하는 등 남미 통화가 약세를 보였다.

nadoo1@yna.co.kr

출처:https://www.yna.co.kr/view/AKR20240319041600009?section=international/all


  1. '일손부족' 日 외국인 수용 확대…'특정기능' 인원 2.4배로 늘려

    Date2024.03.19 ByVyvy Views42
    Read More
  2. 美, 한미일 이어 미·일·필리핀 3자 정상협의체 내달 출범(종합)

    Date2024.03.19 ByVyvy Views300
    Read More
  3. 수출입은행, 기업들에 EDCF 중기운용방향 소개

    Date2024.03.19 ByVyvy Views947
    Read More
  4. 美 6월 금리인하 전망 50%안팎…골드만, 연내 인하횟수 4→3회로

    Date2024.03.19 ByVyvy Views32
    Read More
  5. 캐나다 토론토 차량 도난 기승…"40분에 한대 꼴"

    Date2024.03.19 ByVyvy Views48
    Read More
  6. "파나마서 K콘텐츠로 공부해요"…코피스·포스코 사회공헌(종합)

    Date2024.03.19 ByVyvy Views78
    Read More
  7. 국제 핵비확산 체제 현주소…"北 핵개발에 심각한 도전받아"

    Date2024.03.19 ByVyvy Views800
    Read More
  8. 세계 석유업계 "석유·가스서 벗어날 수 있다는 생각은 환상"

    Date2024.03.19 ByVyvy Views175
    Read More
  9. "시진핑, 5월 초 프랑스 방문…팬데믹 이후 첫 유럽行"

    Date2024.03.19 ByVyvy Views261
    Read More
  10. "시진핑, 5월 초 프랑스 방문…팬데믹 이후 첫 유럽行"

    Date2024.03.19 ByVyvy Views28
    Read More
  11. 외국 유학생, 中에 등돌린 까닭…"미중 긴장, 관료주의, 취업난"

    Date2024.03.19 ByVyvy Views341
    Read More
  12. 인니 "KF-21 분담금 완납 8년 연기"…韓 "예정대로 2026년까지"

    Date2024.03.19 ByVyvy Views59
    Read More
  13. 러 연해주대표단, 작년 이어 두번째 北방문…관광문화 협력 논의

    Date2024.03.18 ByVyvy Views658
    Read More
  14. 김정은, 푸틴 러시아 대통령 5선 확정되자마자 축전 발송

    Date2024.03.18 ByVyvy Views1688
    Read More
  15. 美서 잇따라 제기되는 새로운 대북 외교해법 제언

    Date2024.03.18 ByVyvy Views29
    Read More
  16. 日증시, '마이너스 금리 종료' 관측에도 강세…亞시장 동반 상승

    Date2024.03.18 ByVyvy Views187
    Read More
  17. 中이항, 드론 택시 온라인 판매 개시…가격 4억4천만원

    Date2024.03.18 ByVyvy Views408
    Read More
  18. 中 "민주주의 정상회의 대만 초청 반대…韓, 하나의중국 따라야"(종합)

    Date2024.03.18 ByVyvy Views61
    Read More
  19. 베트남 트엉 국가주석 사임설…'인사문제'로 국회 임시회의 소집

    Date2024.03.18 ByVyvy Views514
    Read More
  20. 라이칭더 당선인, 첫 대만산 잠수함 건조 현장 극비 방문

    Date2024.03.18 ByVyvy Views532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 153 Next
/ 15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