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조회 수 13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中·프랑스 등 "우리 기업 이름 빼라" 우크라 압박

로이터 "전쟁 장기화·지지 약화에 우크라 입장 완화"

프랑스계 대형마트 오샹에서 장을 보는 러시아 노보시비르스크 지역 주민

프랑스계 대형마트 오샹에서 장을 보는 러시아 노보시비르스크 지역 주민

[타스 연합뉴스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황철환 기자 =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와 거래를 끊지 않는 외국 기업을 '전쟁 후원자'라고 고발하는 블랙리스트를 결국 폐기할 것으로 보인다고 로이터 통신이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는 유럽과 중국 등이 자국 기업을 명단에서 빼달라고 압박해왔기 때문이라고 복수의 소식통이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당국은 이르면 22일 이같은 블랙리스트를 폐기할 가능성이 있다고 이들 소식통이 말했다.

이에 더해 서방의 대러 제재를 받은 기업과 개인, 러시아제 무기에 들어가는 부품의 공급원 등과 관련한 정보를 공개한 웹사이트도 폐쇄될 수 있다고 전했다.

이 블랙리스트는 50개 남짓의 각국 대기업들을 지목하고 러시아에서 영업을 하며 세금을 내는 등 방식으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돕는다고 몰아세웠다.

우크라이나가 명단을 폐기하게 되면 이는 2년 넘게 전면전이 이어지면서 전 세계적 지지를 유지하기 어려워진 상황에서 어떻게 입장을 완화할 수밖에 없었는지를 보여준다고 로이터는 진단했다.

익명을 요구한 소식통은 우크라이나가 블랙리스트 폐기를 저울질하게 된 배경에는 "중국이 있지만, 중국만 있는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

프랑스도 자국 기업 오샹(Auchan)과 르루아 메를랑(Leroy Merlin)을 명단에서 빼라고 압박을 가했다는 것이다. 또 다른 소식통은 중국과 프랑스 외에 오스트리아와 헝가리도 우크라이나 압박에 가세했다고 전했다.

이들 4개국 외교부는 관련 질의에 즉각적으로 응답하지 않거나 답변을 거부했다.

우크라이나산 곡물을 대량으로 수입하는 국가 중 하나인 중국은 지난달 '부정적 영향'을 차단하기 위해 자국 14개 기업의 이름을 블랙리스트에서 삭제할 것을 요구한 바 있다.

중국은 러시아의 동맹국으로 간주되지만 우크라이나는 올해 중 스위스에서 개최될 '평화 정상회의'에 중국이 참석해 우크라이나전 종전과 평화 정착을 위한 구체적 해법을 논의하는데 힘을 보태주길 희망해 왔다.

다만, 일각에선 '전쟁 후원자' 명단을 폐기하는 대신 소관기관을 우크라이나 국가부패방지국(NACP)에서 군정보기관으로 바꾸는 방안도 거론된다고 한다. 이 경우에도 블랙리스트가 계속 일반에 공개될지는 불확실한 실정이라고 로이터는 전했다.

hwangch@yna.co.kr

출처: https://www.yna.co.kr/view/AKR20240322026400009?section=international/all


  1. 시드니한인회 "이종섭 공방 멈춰달라…교민 분열·대립 조장

    Date2024.03.22 ByVyvy Views2111
    Read More
  2. 필리핀, 남중국해서 연구 활동…中과 영유권 분쟁 새 불씨되나

    Date2024.03.22 ByVyvy Views51
    Read More
  3. 3천년 전 청동기시대 흔적이 고스란히…'영국판 폼페이' 발굴

    Date2024.03.22 ByVyvy Views64
    Read More
  4. 中 특사 "러-우크라 평화회담 입장차 크지만 대화 필요성 인식"

    Date2024.03.22 ByVyvy Views381
    Read More
  5. 美법무, '바이든 기억력 문제' 보고서 공개 비판에 "터무니없다"

    Date2024.03.22 ByVyvy Views30
    Read More
  6. 미 3대지수 연이틀 고점 경신…다우 40,000선 돌파 눈앞

    Date2024.03.22 ByVyvy Views74
    Read More
  7. EU 27개국, 보스니아 가입협상 개시 합의…공식 합류까진 '먼길'

    Date2024.03.22 ByVyvy Views121
    Read More
  8. 볼턴 "트럼프, 北김정은처럼 대우받길 원해…美, 대비하라"

    Date2024.03.22 ByVyvy Views42
    Read More
  9. 美정부서 26조원 지원받는 인텔 CEO "제2의 반도체법 필요"

    Date2024.03.22 ByVyvy Views54
    Read More
  10. 주미대사·美의원들도 다저스-파드리스 서울시리즈 '삼매경'

    Date2024.03.22 ByVyvy Views195
    Read More
  11. [특파원 시선] 교황의 '백기' 발언과 협상의 자세

    Date2024.03.22 ByVyvy Views34
    Read More
  12. '사면초가' 애플 생태계…美 반독점소송·EU 디지털법 조사 직면

    Date2024.03.22 ByVyvy Views363
    Read More
  13. '中 서열 4위' 왕후닝, 北대표단에 "평화·안정 외부환경 조성"

    Date2024.03.22 ByVyvy Views704
    Read More
  14. 서머스 전 美재무 "인플레 높은데 연준 인하신호는 '나쁜 버릇'"

    Date2024.03.22 ByVyvy Views151
    Read More
  15. 파산위기 트럼프, 트루스소셜 '동아줄' 잡나…이르면 내주 상장

    Date2024.03.22 ByVyvy Views36
    Read More
  16. 中, '美주도' 민주주의정상회의에 맞불…"중국식민주, 인류공헌"

    Date2024.03.22 ByVyvy Views38
    Read More
  17. 시내트라·트럼프·오바마 양복 만든 '미 최고 재단사' 별세

    Date2024.03.22 ByVyvy Views24
    Read More
  18. '할리우드 감초' 美배우 에밋 월시 88세로 별세

    Date2024.03.22 ByVyvy Views688
    Read More
  19. 필리핀, 남중국해 영유권 법제화 목전…中 "불에 기름 붓는 것"

    Date2024.03.22 ByVyvy Views249
    Read More
  20. 우크라, 서방 압박에 '친러 기업' 블랙리스트 폐기 수순

    Date2024.03.22 ByVyvy Views131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 153 Next
/ 15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