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집권할 경우 중국 제품에 60%의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참모들과 논의했다고 워싱턴포스트가 현지 시각으로 어제(27일) 보도했습니다.
워싱턴포스트는 익명 인사 세 명을 취재한 결과, 트럼프 전 대통령이 모든 중국산 수입품에 일괄적으로 60%의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을 두고 참모들과 논의해왔다고 전했습니다.
퇴임 후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집권 당시 실행하지 않았던 대중국 최혜국 대우 폐지를 지지하는 입장을 표명해왔는데 그 경우 중국산 수입품의 40%에 연방 정부 차원의 관세를 부과할 수 있게 됩니다.
또 중국을 포함한 모든 국가 발 수입품 거의 전부에 10%의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도 공약 차원에서 제기해왔습니다.
이번에 워싱턴포스트가 보도한 '중국산 모든 수입품에 대한 60% 관세 부과' 방안은 기존에 트럼프 진영 발로 거론되어온 대중국 관세 부과 방안 중 가장 강력한 내용으로 보입니다.
워싱턴포스트는 전문가들을 인용해 중국산 전 수입품에 60%의 관세를 부과할 경우 미국과 세계 경제에 트럼프 집권 1기 때 이상의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특히 중국에서 수입해온 공산품 가격을 높이게 돼 이미 심각한 미국의 인플레이션을 더 심각하게 만들 수 있다고 신문은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76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