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여성이 외국인 남성과 재혼(再婚)할 때 가장 선호하는 국적이 베트남 남성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원래 베트남 국적을 가진 여성이 한국인 남성과 결혼하고 귀화한 뒤 이혼하고, 다시 베트남 남성과 재혼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르면 2022년 한국 여성이 재혼한 외국인 남편 국적 1위는 베트남(556명)이었다. 2위는 중국(446명), 3위 미국(141명), 4위 필리핀(46명) 순이었다.
앞서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1993년 이후 2003년까지 한국 여성이 국제 재혼하는 상대 남성의 국적은 지리적으로 가까운 일본이 가장 많았다. 2003년만 봐도 1위 일본(1158명), 2위 중국(808명), 3위 미국(277명) 순이었다. 베트남은 5명에 불과했다. 중국과 관계가 밀접해진 2004년엔 중국 남성(2787명)이 일본 남성(1624명)을 크게 따돌리며 1등 국제 재혼 신랑감으로 떠올랐다. 당시 베트남 남성은 2명에 불과했다. 그러다 다음 해인 2005년 두 자릿수(13명)가 되더니 20여년만인 2022년 결국 처음으로 1위 자리를 차지한 것이다.
재혼한 여성의 원래 국적은 대부분 베트남이었다. 2022년 베트남 남성과 재혼한 한국 여성 556명 가운데 482명(86.7%)이 귀화 한국인이었다. 그 482명 중 식별할 수 없는 2명을 제외하고 480명 전원(100%)의 원래 국적은 베트남이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원래 베트남 국적을 가진 여성이 한국인 남성과 결혼하고 귀화한 뒤 이혼하고 베트남 남성과 재혼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고 추정했다.
베트남 여성이 한국 남성과 결혼해 국내에서 혼인신고(초혼·재혼)를 한 건 2000년(77명)부터다. 이후 2006년 1만128명으로 고점을 찍었고, 2022년엔 3319명이었다. 박연관 한국외대 베트남어학과 교수는 “한국남자와 결혼해 귀화했다가 이혼한 여성들은 다시 베트남으로 돌아가지 않으려 한다. 한편 한국에 노동 인력으로 들어왔다가 정착하려는 베트남 남성들이 많아졌다”며 “둘 사이에 수요가 맞아떨어진 것”이라고 분석했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