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국내 경제성장률이 코로나19 사태 이전 수준에 근접한 2.0%에 달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습니다.
한국경제인협회는 오늘(16일) 공개한 ‘경제 동향과 전망: 2023∼2024년 보고서’에서 내년 경제 성장률이 올해 저성장에 대한 기저효과와 세계 경기 개선에 따른 수출 실적 호전으로 2.0%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다만 내수 회복은 통화 긴축 종료가 실제 진행될 것으로 예상하는 내년 하반기 이후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내년 성장 흐름에 영향을 줄 핵심 변수로는 국내 민간 부채 위기와 중국경제 리스크 등을 꼽았습니다.
한경협은 민간 부채 부실화 우려가 현실화해 금융 시장에 부정적 파급 효과를 낼 경우, 성장률 2.0%도 어려울 수 있다는 전망입니다.
이와 함께 장기간 통화 긴축 여파에 따른 경제 여건 부실화, 정책적 지원 여력 약화로 경기가 신속하게 회복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은 1.3%로 지난 8월 한경협이 올 3분기 ‘경제 동향과 전망’ 보고서에서 전망한 것과 같다고 했습니다.
대내외 소비와 투자 동반 부진에 따른 영향 때문으로, 여기에 금융 시장 불안까지 겹치면서 올해 경제성장률은 외환위기 이후 사실상 최저치에 달할 것이라고, 한경협은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19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