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쉽게 잠들지 못하거나, 잠에서 자주 깨는 등의 수면장애 환자가 5년 새 30% 늘었습니다.
특히, 60대 중에 수면장애 환자가 많았는데, 노화나 은퇴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작용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임주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제대로 잠들지 못해 병원을 찾은 수면장애 환자가 지난해 110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5년 새 30% 가까이 증가한 수치입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진료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수면장애로 진료받은 환자는 2018년 85만 5천여 명에서 지난해 109만 8천 8백여 명으로 28.5% 증가했습니다.
수면장애는 불면증뿐 아니라 수면 관련 호흡 장애나 운동 장애 과다수면증 등 수면과 관련된 여러 질환을 말합니다.
수면장애 환자를 연령대별로 보면, 60대가 23%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50대, 70대 순이었습니다.
60대 수면장애 환자가 많은 건 신체, 정신적 변화의 영향이 컸습니다.
노화로 인한 생리적 변화, 은퇴 이후 급격한 일상 변화가 스트레스로 작용하는 겁니다.
특히, 60대에 가까워지면 잠드는 데 걸리는 시간은 길어지고 수면 중 깨는 횟수가 늘어 전체 수면시간도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수면장애 예방법으로는 규칙적인 시간에 잠들고 일어나는 습관이 첫 번째로 꼽혔습니다.
낮잠은 좋지 않고, 잠들기 전 TV 시청이나 스마트폰 사용도 자제해야 합니다.
또, 술과 담배, 카페인은 모두 수면을 방해하기 때문에 수면장애가 있다면 피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했습니다.
KBS 뉴스 임주영입니다.
영상편집:전유진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200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