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세종=연합뉴스) 송정은 기자 = 우리나라 저출생이 고착화하면서 50년 뒤에는 연간 태어나는 아기가 16만명으로 주저앉을 전망이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뜻하는 합계출산율은 내년 0.7명 밑으로 내려가 2025년 바닥을 찍을 것으로 예상됐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가 합계출산율이 내년에 9년 만에 0.79명으로 반등할 것으로 예상한 것보다 비관적인 전망이다.

 

통계청은 14일 이런 내용의 '장래인구추계: 2022∼2072년'을 발표했다.

 

저출산 (PG)

저출산 (PG)

[백수진 제작] 사진합성·일러스트

 

◇ 출산율 2025년 0.65명 바닥 찍고 반등?

통계청은 합계출산율(출산율)이 0.6명대로 저점을 찍은 뒤 완만하게 반등할 것으로 예상했다.

 

출산율과 기대수명, 국제 이동을 중간 수준으로 가정한 중위 시나리오에서 출산율은 올해 0.72명에서 내년 0.68명으로 떨어진다.

 

이듬해인 2025년에는 0.65명으로 저점을 찍을 전망이다.

 

이후 2030년 0.82명으로 반등한 뒤 2036년에는 1.02명으로 1.0명대를 회복할 것으로 예측됐다.

 

2050년에는 1.08명까지 회복해 2072년까지 1.08명을 유지할 것으로 통계청은 내다봤다.

 

더 안 좋은 상황을 가정한 저위 시나리오에서는 출산율이 0.6명선도 깨진다. 2026년에 0.59명까지 내려갈 것으로 예상됐다.

 

통계청의 이번 추계는 2021년 발표한 직전 추계보다 악화한 것이다.

 

직전 추계 당시 중위 시나리오에서 출산율이 내년 0.70명으로 저점을 찍고 2025년부터 반등할 것으로 예상됐다.

 

2050년 기준 출산율도 직전 추계 1.21명에서 이번 추계에서 1.08명으로 0.13명 낮아졌다.

 

통계청 임영일 인구동향과장은 "코로나19 기간 혼인이 급감한 영향이 출산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간 출산율은 1970년 4.53명에서 급감해 2002년부터 1.3명 미만인 초저출산 수준이 지속됐다. 2018년(0.98명)부터는 1명 미만 수준이다.

 

'인구절벽' 가속…문 닫는 학교 늘어간다(CG)

'인구절벽' 가속…문 닫는 학교 늘어간다(CG)

[연합뉴스TV 제공]

 

◇ 사라지는 '아기울음'…50년 뒤에는 65% 수준

연간 태어나는 아기는 50년 뒤인 2072년 16만명으로 급감할 전망이다. 2022년과 비교해 65.0% 수준이다.

 

통계청은 중위 시나리오에서 2022년 24만6천명인 출생아 수가 내년과 2025년 21만8천명으로 줄 것으로 봤다.

 

그러다 완만하게 올라 2036년 28만명까지 회복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정점을 찍고 다시 감소해 2052년에는 20만명 밑으로 내려갈 것으로 전망됐다. 2060년에는 15만6천명까지 줄었다가 소폭 회복해 2072년 16만명이 되는 흐름이다.

 

최악의 경우 출생아 수가 10만명선마저 붕괴한다.

 

통계청은 저위 시나리오에서 출생아 수가 2060년 9만8천명, 2070년 8만8천명, 2072년 8만7천명까지 감소할 것으로 봤다.

 

인구 1천명당 출생아 수인 조출생률은 중위 시나리오에서 2022년 4.8명에서 등락을 거듭해 50년 뒤 4.4명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1970년 101만명으로 100만명을 넘던 출생아 수는 2002∼2016년 40만명대로 급감했다. 2017∼2019년 30만명대, 2020년 이후 20만명대에서 계속 줄고 있다.

 

◇ 문 닫는 초등학교…유소년 인구 절반 밑으로 '뚝'

아기가 적게 태어나면서 유소년 인구도 대폭 감소할 전망이다.

 

0∼14세 유소년 인구는 2022년 595만명에서 2040년 388만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2072년에는 238만명으로 감소해 2022년의 절반도 채 되지 않을 전망이다.

 

같은 기간 전체 인구의 11.5%를 차지하던 데서 6.6%로 줄어든다.

 

학교에 다니는 학령인구(6∼21세)도 2022년 750만명에서 2040년 412만명, 2072년 278만명까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초등학교 학령인구(6∼11세)는 2022년 270만명에서 2040년 156만명으로 줄어 57.9% 수준이 된다. 같은 기간 중학교 학령인구(12∼14세)는 49.6%, 고등학교 학령인구(15∼17세)는 51.9% 수준이 된다.

 

청년도 덩달아 사라진다.

 

19∼34세 청년은 2022년 1천61만명에서 2040년 722만명으로 감소했다가 2072년에는 450만명까지 급감할 것으로 예상됐다. 50년간 42.5% 수준으로 주는 셈이다.

 

출생아 수 및 사망자 수, 1985∼2072년

출생아 수 및 사망자 수, 1985∼2072년

[통계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sje@yna.co.kr

출처: https://www.yna.co.kr/view/AKR20231214081000002?section=economy/all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20 윤 대통령, 네덜란드 국빈 방문 마치고 귀국 HươngLy 2023.12.15 88
1119 김인호 교수, 사법통일 국제연구소 집행이사 연임 성공 HươngLy 2023.12.15 11
1118 정부, 유엔군 대규모 매장 위치 3곳 유력 증언 확보…조사 착수 HươngLy 2023.12.15 8
1117 발전 연료 개별소비세 인하 6개월 연장…LNG·유연탄 15% ↓ tranghoan 2023.12.14 13
1116 김해시 고향사랑기부금 목표액 3억 달성…2천71명 기부 tranghoan 2023.12.14 38
1115 백석대, 일본 IT 계열 실습·취업 위한 현지 산업체 방문 tranghoan 2023.12.14 9
1114 환자안전사고 막는다…2027년 전담인력 배치율 40% 이상으로 tranghoan 2023.12.14 108
1113 세계한인입양동포대회 폐막…"모국과 상호발전 노력" tranghoan 2023.12.14 32
1112 SPC, 아동센터·장애인 작업장 환경개선사업 완료 tranghoan 2023.12.14 9
1111 20년 된 '코레일 철도 유지보수 독점' 구조, 이번에는 깨질까 tranghoan 2023.12.14 7
1110 APEC 기후센터 "온난화로 21세기 말 국내 극심한 가뭄" tranghoan 2023.12.14 26
1109 전라고 에코시티 이전 설명회…학생·학부모 18∼19일 찬반투표 tranghoan 2023.12.14 13
1108 울산 학교폭력 피해 응답률 작년보다 증가…언어폭력 가장 많아 tranghoan 2023.12.14 54
1107 '근로자 사망' 석포제련소서 유해물질 생성·누출경로 합동 감식 tranghoan 2023.12.14 28
1106 국내 전기버스 시장서 중국산 점유율 50% 육박…매년 증가세 tranghoan 2023.12.14 12
1105 넥센타이어, 가상현실 활용 디자인 품평 시스템 구축 tranghoan 2023.12.14 7
1104 "KTX 세종역 경제성 있어"…비용 대비 편익 높게 나와 tranghoan 2023.12.14 13
1103 부산항만공사 인턴 프로그램 수료자 80%가 취업 성공 tranghoan 2023.12.14 28
1102 "스마트 체중계 9개 중 4개, 측정 체중 정확하지 않아" tranghoan 2023.12.14 12
» 출산율 아직 바닥 아니다…출생아 연간 16만명까지 쪼그라들듯 tranghoan 2023.12.14 3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246 Next
/ 246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