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apec 기후센터
부산시 해운대구 센텀시티에 있는 apec 기후센터
(부산=연합뉴스) 차근호 기자 =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로 21세기 후반기에는 국내에 극심한 가뭄이 올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기후센터는 '국내 가뭄에 대한 미래 전망 분석'을 했다고 14일 밝혔다.
해당 분석은 기상청의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와 표준강수지수, 표준증발산부족량지수 등 관련 지표 등을 고려해 분석한 것이다.
기후센터는 현재와 유사하게 온실가스가 계속 배출되는 '고탄소 시나리오' 하에서 향후 가뭄이 더욱 심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21세기 후반기인 2081∼2100년 강수량과 관련된 '표준강수지수' 등 지표는 현재와 비교해 큰 차이가 없지만, 가파르게 상승하는 기온으로 대기에서 증발산 되는 양이 많아지면서 가뭄이 더 심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계절별로는 봄철보다는 가을철에 가뭄이 더욱 심화할 것으로 예측했다.
21세기 후반기 3∼5월에는 남부지역에서 '심각한 가뭄'이, 서울 경기 지역에서는 '극심한 가뭄'이 더 빈번해질 것으로 전망됐다.
가뭄 강도는 건조상태, 약한 가뭄, 심각한 가뭄, 극심한 가뭄, 이례적으로 극심한 가뭄 등 5단계로 구분된다.
9∼11월에는 남부지역서 '극심한 가뭄'이 매우 빈번할 것으로 예상했고, 중·북부 지역에서는 발생 확률이 5% 이하인 '이례적으로 극심한 가뭄'이 있을 것으로도 전망했다.
기후센터는 "가을에는 지표면 기온이 더 올라가고, 강수와 관련 있는 남풍의 유입이 줄어들어 강수량이 감소할 것으로도 전망됐다"고 "향후 가뭄 등 기후변화에 따른 사회적·경제적 피해 대응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 기반의 영향분석을 연구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ready@yna.co.kr
출처: https://www.yna.co.kr/view/AKR20231214134400051?section=society/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