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오징어게임', '기생충' 음악감독으로 이름을 알린 정재일 감독, 이미 가요와 클래식, 밴드 음악까지 장르를 넘나드는 음악으로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그가, 다시 새로운 도전을 시작했습니다.
이번에는 국악입니다.
임재성 기자입니다.
리포트
묵직한 타악기 소리에 얹혀진 피리 소리, 단 한 소절에도 공포감이 몰아칩니다.
이 영화에서는 장면 장면에 맞춘 바이올린 선율이 극적 긴장감을 절정으로 끌어올립니다.
모두 정재일 음악감독 작품입니다.
이번에 그가 선택한 장르는 우리 전통음악입니다.
[정재일/음악감독 : "전통악기와 할 때는 약간 록밴드를 하는 느낌이 됩니다. 더 자유롭고, 뭔가 디테일보다는 전체적인 다이내믹에 신경을 쓰게 되고…."]
자신의 이름을 건 이번 콘서트에서는 20년간 꾸준히 이어온 국악을 집대성했습니다.
사물놀이패와 소리꾼, 가야금·대금·아쟁 연주자에, 25인조 오케스트라가 합세합니다.
[이아람/대금연주자 : "다른 장르랑 작업할 때 그 색채를 흐트러트리지 않는 것, 그래서 재일 씨는 원재료의 맛을 최대한 살리면서 마음껏 뛰어놀 수 있게 판을 잘 만들어주는…."]
밴드 베이시스트로 시작해 소극장 음악감독에, 박효신, 아이유 등 유명 가수의 프로듀서, 영화까지, 장르 구애 없이 새로움을 추구해 온 정재일 감독.
[정재일/음악감독 : "이렇게 근본 없이 음악을 해도 새롭게 하면 되지 않겠냐는 생각으로 하고 있고요. 표현하고자 하는 걸 음악으로 통역해 주는…."]
세계가 정재일 음악의 오늘보다 내일을 더 주목하는 이유입니다.
KBS 뉴스 임재성입니다.
영상편집:장수경/화면제공:세종문화회관 주영한국문화원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42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