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지난 5월, 김남국 의원의 거액 가상자산 보유 논란이 불거진 이후, 국민권익위원회는 21대 국회의원 가상자산 보유 내역 전수조사에 들어갔습니다.
어제 그 결과가 발표됐는데, 의원들이 거래한 가상자산 규모가 6백억 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회에 등록한 내역과 실제 내역이 일치하지 않는 의원 10명도 확인됐습니다.
추재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5월, 국회는 권익위에 국회의원들의 가상자산 보유와 거래 내역을 조사해 줄 것을 제안했습니다.
민주당을 탈당한 김남국 의원의 거액 가상자산 보유 논란이 계기였습니다.
그 이후 지난 9월부터 석 달 동안 권익위가 현역 의원 전원을 조사한 결과, 가상자산을 보유한 적이 있는 의원은 18명으로 드러났습니다.
국회 자체 조사에서 보유 내역을 신고한 의원 11명에서 7명이 늘어난 건데 해당 의원들은 신고를 안 했던 겁니다.
18명 중 임기 시작 뒤 3년 사이에 가상자산을 사거나 판 적이 있는 의원은 11명으로, 산 누적액과 판 누적액이 각각 600억 원을 넘었습니다.
그중 김남국 의원의 거래액이 전체의 90%에 이르는 거로 전해졌습니다.
국회에 신고한 내역이 실제와 달랐던 의원은 10명이었습니다.
가상자산 소유 현황 미신고가 2명, 변동 내역 누락이 2명이었고, 다른 6명은 소유와 변동 내역을 모두 신고하지 않았습니다.
만 원 단위 상당의 보유 가상자산을 신고하지 않았다가, "이벤트로 받은 걸 몰랐다"고 권익위에 해명한 의원도 있었고, 천만 원이 넘는 양의 가상자산을 출금했지만, "기억이 안 났다"고 한 의원도 있었습니다.
소유·변동 내역을 모두 신고하지 않은 의원 중 4명은 "페이코인을 결제 수단으로 인식했다"고 해명했습니다.
KBS 뉴스 추재훈입니다.
영상편집:김형기/그래픽:김지혜 노경일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54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