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금융당국이 저축은행 연체율 관리를 위해 개인사업자 연체채권 매각 채널을 확대하고 일부 규제 부담을 완화하기로 했습니다.

저축은행업권의 연체율은 2022년 12월 3.41%에서 지난해 9월 6.15%까지 상승했습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올해 2월부터 저축은행 등 채권금융기관들이 차주가 과잉 추심 등으로 인해 피해를 보지 않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개인사업자 연체채권을 새출발기금 외의 기관에도 매각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기로 했습니다.

현재 저축은행 등 금융기관들은 보유한 협약 대상 개입사업자 연체채권을 매각할 수 있는 채널이 사실상 새출발기금으로 한정돼 있는데, 이는 금융기관의 원활한 연체율 관리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란 지적이 제기돼 왔습니다.

대신 채무자에 대한 과잉 추심이 발생하지 않도록 개인사업자 연체채권을 매입할 수 있는 기관은 한국자산관리공사(KAMCO) 또는 일정 요건을 충족하는 부실채권 전문투자회사로 한정합니다.

그동안 저축은행이 채권분류 관행 탓에 취약차주에 대해 적극적인 채무 재조정에 나서지 못했던 점도 개선하기로 했습니다.

저축은행업권에서는 원리금 상환 연체가 발생하지 않은 취약차주를 지원하는 채무조정 프로그램을 운영 시 해당 채권이 ‘정상 채권’임에도 불구하고 건전성을 분류하는 기준이 불명확하다 보니 보수적인 관점에서 ‘요주의 채권’으로 분류하는 관행이 이어져 왔습니다.

금융당국은 이 같은 관행이 저축은행의 대손충당금 적립 부담을 늘려 채무조정 활성화를 저해하는 주요 요인이 됐다고 보고 앞으로는 단지 해당 프로그램이 개시됐다는 이유만으로 건전성 분류를 하향 조정하지 않도록 개선된 기준을 마련해 안내할 계획입니다.

저축은행의 부실채권 상각·매각 촉진을 지원하기 위한 규제 유연화도 추진합니다.

일부 저축은행들은 연체채권을 매각하거나 상각하는 경우 발생하는 대출 잔액 감소가 저축은행 법령에 따라 준수해야 하는 ‘총여신 중 영업구역 내 여신 규모의 비중 규제’ 위반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해 왔습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앞으로 저축은행이 연체채권을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영업구역 내 신용 제공 의무비율을 일시적으로 밑도는 경우(5%p 이내)에는 제재하지 않도록 비조치의견서를 제공할 계획입니다.

금융위는 다음 달부터 이 같은 내용의 저축은행 연체채권 정리 관련 제도개선 과제를 본격 시행할 예정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73982


  1. 검찰, ‘제빵기사 노조 탈퇴 강요 의혹’ 서병배 전 SPC 대표 조사

    Date2024.01.24 ByHươngLy Views49
    Read More
  2. 서울시 기후동행카드 판매 첫날 6만 2천 장 팔려…27일부터 사용 가능

    Date2024.01.24 ByHươngLy Views1407
    Read More
  3. 전국 인문대학장 “무전공 입학 확대 중단해야”…기초학문 붕괴 우려

    Date2024.01.24 ByHươngLy Views61
    Read More
  4. “자책 말라” 판사의 말에 눈물바다 된 ‘전세사기’ 선고 법정

    Date2024.01.24 ByHươngLy Views28
    Read More
  5. “경제 상황 좋아질 것”…소비자심리지수 두 달 연속 상승

    Date2024.01.24 ByHươngLy Views39
    Read More
  6. 석유업계, 친환경 연료에 2030년까지 6조 원 투자

    Date2024.01.24 ByHươngLy Views338
    Read More
  7. “한파에 안전사고 주의”…고용부, 한랭 질환 예방수칙 점검

    Date2024.01.24 ByHươngLy Views416
    Read More
  8. 정부, 26일까지 아프리카돼지열병 방역관리 특별점검

    Date2024.01.24 ByHươngLy Views100
    Read More
  9. 문체부, 인천 인스파이어 ‘외국인 카지노’ 허가

    Date2024.01.24 ByHươngLy Views45
    Read More
  10. 코스피만 ‘1월 악몽’…주요 기업 실적·불안한 대외환경 영향

    Date2024.01.24 ByHươngLy Views37
    Read More
  11. 기관도 P2P 투자 쉬워진다…금융위, 관련 규제 개선

    Date2024.01.24 ByHươngLy Views59
    Read More
  12. ‘명품’ 귀걸이인 줄 알았더니…발암 물질 930배 검출

    Date2024.01.24 ByHươngLy Views92
    Read More
  13. 노동·중기·국토장관, 중대재해법 유예안 통과 촉구…“오늘이 마지막 기회”

    Date2024.01.24 ByHươngLy Views25
    Read More
  14. 금감원장 “PF 리스크 관리 실패, 경영진 엄중 책임 물을 것”

    Date2024.01.24 ByHươngLy Views320
    Read More
  15. [오늘 이슈] 사과 한알 5천 원…설차례상 비용 역대 최고치

    Date2024.01.24 ByHươngLy Views29
    Read More
  16. 공정위, 플랫폼법 취지 재차 강조…“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문제 막아야”

    Date2024.01.24 ByHươngLy Views331
    Read More
  17. 지난해 손상 화폐 4억 8천만 장 폐기…에베레스트 높이 16배

    Date2024.01.24 ByHươngLy Views70
    Read More
  18. 6% 넘은 저축은행 연체율 관리…당국 “연체채권 매각 채널 확대”

    Date2024.01.24 ByHươngLy Views34
    Read More
  19. 올해 설 차례상 비용 ‘역대 최고’…전통시장 28만 원

    Date2024.01.24 ByHươngLy Views27
    Read More
  20. 지난해 11월 출생아 역대 최저…고령화에 사망자도 증가

    Date2024.01.24 ByHươngLy Views37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 246 Next
/ 246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