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조회 수 18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FT "지난해 9월 이후 9건…대만 북부·남서부 이어 동부 해안 집중"

중국의 자율운항 무인기 항모 '주하이윈'

중국의 자율운항 무인기 항모 '주하이윈'

[글로벌타임스 캡처.재판매 및 DB금지]

(서울=연합뉴스) 홍제성 기자 = 최근 들어 중국 해양 조사선의 대만 인근 24해리(약 44.4㎞) 이내 수역 침범 사례가 눈에 띄게 증가했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는 중국이 감시 역량을 강화하고 해군 전쟁에 핵심적으로 필요한 데이터 확보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FT는 위성 데이터회사 스파이어 글로벌이 선박 약 80척을 추적한 데이터를 자체 분석한 결과 지난해 9월 이후 중국 선박의 해당 수역 침범은 총 9건이었다고 전했다.

신문은 이 가운데 중국 인민해방군과 연계된 자율운항 가능 무인기 수송선 '주하이윈(珠海雲)'이 지난해 11월 대만 동부 해안 전체를 따라 항해한 것을 대표적인 케이스로 꼽았다.

최근 약 6개월간 9건 침범은 최근 3년간 2건, 그 이전 3년간 2건에 불과했던 것과 비교해 많이 늘어난 것이라고 신문은 지적했다.

미국 해군대학 산하 중국 해양연구소 소장인 크리스토퍼 샤먼은 "이는 대만을 겨냥한 중국의 전면적 압박 캠페인에 사용되고 있는 또 하나의 도구를 의미한다"고 말했다.

유엔해양법협약에 따라 각국은 해안선에서 최대 24해리까지의 접속 수역을 주장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해당 해양 수역의 표면과 바닥에 대한 자원 권리와 관할권을 부여받을 수 있다.

대만 해안선에서 24해리까지는 대만이 설정한 접속수역으로 범죄 예방을 위한 선박 검사, 강제 퇴거 등의 조치를 할 수 있도록 규정했다.

그러나 중국은 대만이 설정한 24해리 접속수역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입장으로 맞서고 있다.

FT는 대만과 주변 해역에 대한 중국의 주권 주장으로 인해 대만이 국제법적 보호에 의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중국은 분쟁 해역에서 자국의 영유권 주장을 위해 정부와 군 산하 연구기관이 운영하는 선박을 자주 활용해 왔다.

이런 맥락에서 중국은 남중국해의 베트남과 말레이시아의 배타적 경제수역 내 석유 탐사 현장 주변에서 항해에 나섰고, 해양 조사선을 동원해 일본, 미국 영토인 괌, 인도양에 대한 광범위한 조사도 수행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샤먼 소장은 "해양 조사선이 가는 곳은 미래에 중국 잠수함이 가는 곳"이라고 말했다.

FT는 "과거 중국의 대만 해역 침범은 대만 북부와 남서부에서 주로 이뤄졌지만, 최근에는 동쪽 해역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며 '대만은 물론 대만으로 접근하는 누구에게든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문가의 발언도 소개했다.

이는 대만에서의 비상사태 발생 시 미군이 개입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있을 수 있음을 암시한 것으로 해석된다.

jsa@yna.co.kr

출처:https://www.yna.co.kr/view/AKR20240227064400009?section=international/all


  1. 中리창, 리커창 대비 외교보다는 내정 집중…"총리 파워 줄었다"

    Date2024.02.27 ByVyvy Views306
    Read More
  2. 中-필리핀, 남중국해 '부유식 장벽' 설치 놓고 또 갈등

    Date2024.02.27 ByVyvy Views102
    Read More
  3. 젤렌스키 "유럽이 약속한 포탄 30%밖에 못받아"…미 지원 호소(종합)

    Date2024.02.27 ByVyvy Views1431
    Read More
  4. 국립외교원장 "2025년 한일 신공동선언 체결 제안"

    Date2024.02.27 ByVyvy Views856
    Read More
  5. 美당국자 "韓, 러 방어 위해 우크라에 국방물자 더 지원하기를

    Date2024.02.27 ByVyvy Views503
    Read More
  6. 일본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2%…20개월 만에 최저

    Date2024.02.27 ByVyvy Views954
    Read More
  7. 미, 중국 여객기 취항 허용 편수 주당 50편으로 확대

    Date2024.02.27 ByVyvy Views736
    Read More
  8. ECB 총재 "'디스인플레'이지만 물가 2% 복귀 더 많은 증거 필요"

    Date2024.02.27 ByVyvy Views224
    Read More
  9. 남극 여름은 왜 따뜻해졌을까…"극소용돌이 붕괴 빨라져서"

    Date2024.02.27 ByVyvy Views856
    Read More
  10. 日닛케이지수 39,400선 첫 돌파…3거래일 연속 최고가 경신

    Date2024.02.27 ByVyvy Views836
    Read More
  11. 버핏의 버크셔, IT 제외 美기업 최초 '1조달러 클럽' 도전

    Date2024.02.27 ByVyvy Views586
    Read More
  12. 미국과 서방의 '러시아 제재'에 中 웃는 이유는

    Date2024.02.27 ByVyvy Views454
    Read More
  13. "中 해양조사선, 대만 24해리 이내 접속수역 침입 증가"

    Date2024.02.27 ByVyvy Views184
    Read More
  14. 미국 국채시장서 '충격흡수 역할' 역레포 잔고 감소세

    Date2024.02.27 ByVyvy Views806
    Read More
  15. 비트코인, 거침없는 파죽지세…27개월만에 5만5천달러도 돌파(종합2보)

    Date2024.02.27 ByVyvy Views529
    Read More
  16. 유럽, 우크라에 '파병' 검토…러 "직접 충돌로 변할수도" 경고(종합)

    Date2024.02.27 ByVyvy Views176
    Read More
  17. 美 해안경비대, 하와이 '남쪽 섬나라' 키리바시서 中어선 단속

    Date2024.02.27 ByVyvy Views1269
    Read More
  18. 中, 데이터보안법·반간첩법에 기밀법도 강화…외국기업 '떤다'

    Date2024.02.27 ByVyvy Views110
    Read More
  19. 루카셴코, 내년 벨라루스 대선 출마 선언…당선시 7연임

    Date2024.02.26 ByVyvy Views1584
    Read More
  20. "한국인 경영 아일랜드 반도체 기업, 美 대러 제재에 포함"(종합)

    Date2024.02.26 ByVyvy Views475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 153 Next
/ 15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