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조회 수 6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숄츠 총리 등 반대하지만 70여년간 이어온 비핵화 기조 균열

나토 훈련 현장을 찾아 토네이도 전폭기 앞에 선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

나토 훈련 현장을 찾아 토네이도 전폭기 앞에 선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황철환 기자 =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재점화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안보 무임승차' 논란의 파문이 일파만파 커지면서 유럽 최대 경제국 독일에서 독자 핵무장 주장이 고개를 들고 있다.

27일(현지시간)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독일 정부 당국자들은 최근 수주간 유럽의 양대 핵무기 보유국인 영국, 프랑스와 협력해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올해 11월로 다가온 미국 대선에서 공화당 후보로 유력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선될 경우 나토의 집단방위를 무력화하고 핵우산 제공을 중단할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치권과 학계 일각에선 아예 자체적으로 핵무기를 개발해 독자적 핵무력을 갖춰야 한다는 주장마저 제기된다.

유럽 국가들이 미국에 안보를 전적으로 의존하는 '무임승차자'라고 주장해 온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달 10일 사우스캐롤라이나 유세에서 "난 당신네를 보호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해 파문을 일으켰다.

과거 나토 회의에서 한 동맹국 정상에게 안보 분담금 증액을 압박했던 당시를 언급하면서 "나는 그들(러시아)이 원하는 것을 내키는 대로 모조리 하라고 격려할 것"이라고 말한 것이다.

이는 회원국 중 한 곳이 공격받으면 31개 회원국 전체가 반격에 나선다는 나토의 집단방위 원칙을 정면으로 부정한 것이다.

나토 군사력 대부분을 차지하며 사실상 나토를 지휘해 온 미국의 이탈 가능성을 공개적으로 언급한 것에 유럽 국가들은 충격에 휩싸였다.

2019년 나토 회의에 참석한 도널드 트럼프 당시 미 대통령

2019년 나토 회의에 참석한 도널드 트럼프 당시 미 대통령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이에 대한 대응으로 핵무장론을 거론한 첫 독일 당국자는 크리스티안 린트너 재무장관이었다.

린트너 장관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발언과 관련해 현지 언론에 기고한 글에서 미국 대신 프랑스와 영국에만 의존할 수 있겠느냐면서 너무 늦기 전에 핵무장과 관련한 금기를 깨야 한다고 주장했다.

제1 야당 기독민주당(CDU)의 프리드리히 메르츠 대표와 중도좌파 사회민주당(SPD) 주요 인사 일부도 동조하고 나서면서 독일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한 논쟁에 불이 붙었다.

독일 정치학자 막시밀리안 테르할레는 미국에서 전략 핵탄두 1천발을 구매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프랑스와 영국이 현재 보유 중인 핵무기와 이를 합치면 유럽 단독으로 1천550개의 핵탄두를 보유해 러시아의 잠재적인 위협으로부터 스스로를 충분히 보호할 수 있다는 게 테르할레의 주장이다.

하지만, 올라프 숄츠 총리와 아날레나 베어보크 외무장관, 보리스 피스토리우스 국방장관 등 독일 정부 주요 인사 다수는 독자 핵무장은 물론, 프랑스·영국과의 핵협력에도 부정적인 입장으로 전해졌다.

나토의 핵억지 전략에 의존하면서 대공 방어 강화에 대대적으로 투자하는 것이 현재로선 최선의 선택이라는 이유에서다.

독일은 핵무기를 갖고 있지는 않지만 핵무기 투발을 위한 이중용도 항공기(Dual-Capable Aircraft·DCA)는 운용하고 있다. 나토의 '핵무기 공유' 정책에 따라 유사시 미국 핵폭탄을 사용할 수는 있지만 핵무기 최종 사용 권한은 어디까지나 미국에 있다.

독일은 유럽 자체 핵무장을 주장하는 프랑스에 맞서 미국이 보유한 핵무기가 나토 핵억지력의 중심이 돼야 한다는 입장을 오랫동안 고수해 왔다.

독일이 프랑스의 핵우산 아래 들어간다면 유럽에 대한 미국의 군사적 관여가 줄어들 우려가 있는 데다 제2차 세계대전을 일으킨 전범국으로써 지난 70여년간 평화주의를 고수하며 원자력과 핵무기 포기를 공언해 온 것도 영향을 미쳤다.

그런 까닭에 독일에서 자체 핵무장론이 제기됐다는 건 그 자체만으로도 무시할 수 없는 변화라고 WSJ은 지적했다. 현지 일각에선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선되지 않더라도 중국과 패권 경쟁 중인 미국이 유럽에 대한 관여를 줄이는 건 불가피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다만, 독일의 자체 핵무장에는 넘어야 할 법적·현실적·정치적 난관이 적지 않다고 WSJ은 지적했다.

독일은 1970년 발효된 핵확산금지조약(NPT) 가입국이고 미국, 영국, 프랑스, 옛 소련과 동·서독의 통일을 확정한 1990년 통일 조약에서도 핵무기 포기를 선언한 바 있다.

hwangch@yna.co.kr

출처:https://www.yna.co.kr/view/AKR20240228064200009?section=international/all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87 팀 쿡, 애플카 접은 다음날 "AI 많은 투자 중…하반기 공유 기대" Vyvy 2024.02.29 815
1586 인구감소·고령화 日, 토지 24% '소유자 불명'…상속등기 의무화 Vyvy 2024.02.29 517
1585 캐나다 "난민 신청 감당 안 돼"…멕시코 국민 무비자 입국 취소 Vyvy 2024.02.29 692
1584 연준인사들, 조기 금리인하에 거리 둬…"달력 아닌 지표로 판단" Vyvy 2024.02.29 29
1583 日싱크탱크, 한일 군수지원 협정 체결·2+2 회의체 설치 제안 Vyvy 2024.02.29 969
1582 서방 국가들 北대사관에 속속 복귀…스웨덴대사 내정자 방북 Vyvy 2024.02.29 1130
1581 美일리노이주 법원, 트럼프 대선 후보 자격 박탈 Vyvy 2024.02.29 59
1580 中 BYD 의식했나…머스크 "신형 로드스터 설계 끝·내년 출시" Vyvy 2024.02.29 843
1579 미, '65세 이상 고령자'에 올봄 코로나19 백신 접종 강력 권고 Vyvy 2024.02.29 52
1578 해외봉사활동 최대 6학점 인정…코이카-계명대 업무협약 Vyvy 2024.02.28 682
1577 "미국, 이스라엘에 무기 주면서 '국제법 준수' 서면확약서 요구" Vyvy 2024.02.28 56
1576 美 플로리다주, 16세 미만 SNS 계정 보유 금지법 의회 통과 Vyvy 2024.02.28 44
1575 인니 무상급식에 세계은행 등 국제사회 잇단 경고…"재정 우려" Vyvy 2024.02.28 436
1574 中, 러·우크라 찾는다…"제2차 셔틀외교로 정치적 해결 추진" Vyvy 2024.02.28 652
1573 '수감' 칸 전 파키스탄 총리, 부인과 함께 또 부패 혐의 피소 Vyvy 2024.02.28 201
1572 '수감' 칸 전 파키스탄 총리, 부인과 함께 또 부패 혐의 피소 Vyvy 2024.02.28 893
1571 "미국, 이스라엘에 무기 주면서 '국제법 준수' 서면확약서 요구" Vyvy 2024.02.28 31
1570 홍콩, 부동산 거래규제 전면폐기 '강수'…"침체 시장 살리겠다" Vyvy 2024.02.28 581
» 독일 '핵무장론' 고개…트럼프 '나토 폭탄발언'이 금기 깼다 Vyvy 2024.02.28 64
1568 중국 저가 전기차 공세에 영국, 관세 부과 고려 Vyvy 2024.02.28 1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3 Next
/ 15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