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조회 수 3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광활한 영토 탓 미세 요소엔 무신경한 듯…서로 존중하는 세상 희망"

아무렇게나 투표하세요

아무렇게나 투표하세요

(모스크바=연합뉴스) 러시아 대통령 선거 기표 안내문. 다양한 표시를 모두 인정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문준일 원광대 교수 제공] 2024.3.19 abbie@yna.co.kr

(모스크바=연합뉴스) 최인영 특파원 = 러시아 대통령 선거를 참관한 문준일 원광대 교수는 균일화되지 않은 러시아 투표장 풍경이 이색적이었다고 19일(현지시간) 말했다.

문 교수는 지난 15∼17일 러시아 대선에 국제 참관인으로 참여해 제2차 세계대전 스탈린그라드 전투로 유명한 남부 볼고그라드의 선거를 지켜봤다.

한국인이 러시아 선거를 참관한 것은 처음이다.

한국은 우크라이나 '특별군사작전' 이후 서방 제재에 동참하면서 러시아의 비우호국으로 지정된 상태지만 문 교수에게 뜻밖의 참관 제의가 왔다고 한다.

그는 연합뉴스 전화 인터뷰에서 러시아가 국제적으로 비판 받는 상황이고, 러시아문학 전공자로서 정치사회 분야 전문가도 아니어서 고민이 됐지만 러시아인의 독특한 의식 세계와 문화에 대한 연구 욕심에 참관을 수락했다고 밝혔다.

문 교수는 "한국인은 이해하기 어려운 모습이 러시아에서는 자연스러운 경우가 많다"며 볼고그라드의 대선을 사흘간 지켜보면서 흥미로운 점을 발견했다고 말했다.

먼저 눈에 띈 것은 '투명 투표함'이다. 러시아가 선거에서 투명 투표함을 사용하는 모습이 언론을 통해 공개되면서 비밀 투표를 보장하지 못하는 엉터리 선거라는 비판이 나왔다.

자동 집계 장치가 달린 투표함

자동 집계 장치가 달린 투표함

(모스크바=연합뉴스) 러시아 대통령 선거 투표함. 뚜껑에 자동 투표수 집계 장치가 달려 있다. [문준일 원광대 교수 제공] 2024.3.19 abbie@yna.co.kr

그런데 러시아 투표함은 투명할 뿐 아니라 모양도 제각각이었다. 구형·신형 등 제작 시기가 다르기도 하고 봉인 방식과 뚜껑 모양도 달랐다. 자세히 보면 투표함의 투명도도 조금씩 달랐다.

유권자가 투표용지를 넣는 방법도 다양했다. 기표한 용지를 접어서 넣는 사람도 있지만 펼쳐서 넣는 사람이 더 많았다. 팩스처럼 투표용지를 밀어 넣으면 자동으로 투표수 집계까지 되는 전자 투표함을 사용하는 곳도 있었다.

기표 방식도 자유로웠다. 한국과 달리 러시아는 투표용지에 도장이 아닌 볼펜으로 기표하는데, 다른 후보 칸만 침범하지 않는다면 동그라미(○), 엑스(X), 브이(V), 십자가(+), 삼각형(△) 등 다양한 표시를 모두 인정한다고 했다.

서방은 허술해 보이는 러시아 대선을 두고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정권 연장을 위한 조작과 부정선거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지만, 러시아 내부에서는 이렇게 제각각인 투표 환경을 문제시하는 목소리는 드물다.

러 대선 투명 기표함

러 대선 투명 기표함

(모스크바=연합뉴스) 러시아 대통령 선거 투표함.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제작돼 내부가 훤히 보인다. [문준일 원광대 교수 제공] 2024.3.19 abbie@yna.co.kr

문 교수는 "한국의 엄격한 투표 환경을 생각하면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지만, 러시아인들은 크게 신경 쓰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고 말했다.

그는 "이러한 모습은 기본적인 규칙만 지켜지면 세세한 부분은 크게 신경 쓰지 않는 러시아인들의 의식 구조와도 연결되는 것 같다"며 "광활한 공간이 생활의 기본조건이 되었던 그들에게는 그 공간을 만드는 들판·숲·강 같이 가장 큼직한 요소들이 중요하지, 그 속의 미세한 부분까지 신경 쓸 여유가 없었던 것 같다"고 분석했다.

문 교수는 전날 러 대선 국제 참관인 기자회견에 참석해 "새가 한쪽 날개로만 날 수 없듯이 세상은 하나의 논리로 존재할 수 없고 서로 다른 논리의 조화 속에서 존재해야 한다"며 "이번 대선이 서로의 다름을 존중하는 세상을 위한 길을 열어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abbie@yna.co.kr

출처:https://www.yna.co.kr/view/AKR20240319004200080?section=international/all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47 유엔 北인권보고관 "北 반인도범죄 ICC 기소 노력 지속해야" Vyvy 2024.03.19 343
2246 "30년전 애덤스 뉴욕시장에 성범죄 피해" 주장 여성, 소장 공개 Vyvy 2024.03.19 1086
» 러 대선 참관 한국인 "투표함·기표 방법 모두 제각각" Vyvy 2024.03.19 39
2244 美, '발암물질' 석면 사용 전면 금지…35년 만에 최종 퇴출 Vyvy 2024.03.19 44
2243 美의원, 상무부에 전기차·배터리 수입의 안보위협 조사 요청 Vyvy 2024.03.19 55
2242 테슬라, 북미·유럽서 주력 모델 가격 인상에 주가 6% 상승 Vyvy 2024.03.19 1675
2241 트럼프 '피바다' 발언 여진…바이든은 부채질·트럼프는 진화 Vyvy 2024.03.19 36
2240 멕시코 '에너지 국영기업 우선 기조' 지속될 가능성 커져 Vyvy 2024.03.19 46
2239 美텍사스주 '불법이민자 체포법', 대법원에 제동…"무기한 보류" Vyvy 2024.03.19 47
2238 EU, 팔 주민 공격한 요르단강 서안 정착민 제재에 합의 Vyvy 2024.03.19 93
2237 열받은 바다…해수온도 역대최고 행진에 기후재앙 공포 Vyvy 2024.03.19 932
2236 러 연해주 마린스키 예술단 방북…평양서 발레 공연 예정 Vyvy 2024.03.19 1306
2235 미 "이스라엘, 하마스 군사조직 부사령관 공습 살해" Vyvy 2024.03.19 617
2234 러시아 매체들 "찰스 3세 영국왕 사망" 가짜뉴스 퍼트려 Vyvy 2024.03.19 55
2233 BIS 사무총장 "너무 이른 인플레 승리 선언 안 돼" 경고 Vyvy 2024.03.19 21
2232 뉴질랜드, 오커스 가입 반대하는 中에 "각 나라의 권리" 맞서 Vyvy 2024.03.19 337
2231 '지금은 하이브리드가 대세'…올해 미국 판매량 50% 증가 Vyvy 2024.03.19 91
2230 EU, '中범용반도체 의존' 위험성 조사 가능성…"美와 공동보조" Vyvy 2024.03.19 773
2229 탁신, 훈센가와 친분과시…'집권당 대표' 막내딸, 캄보디아 방문 Vyvy 2024.03.19 1471
2228 "日정부, AI 개발자 규제 도입 검토…허위정보 유포 등에 대응" Vyvy 2024.03.19 13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153 Next
/ 15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