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中에 대한 美의 '전략경쟁자 인식' 지적…"어려움 근원"

지난해에도 '중국의 발전' 역설…패권 경쟁의 속성 반영 평가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 겸 외교부장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 겸 외교부장

[중국 외교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이우탁 기자 = "중국과 미국이 함께 글로벌 도전에 맞서고, 더 안정적이고 건강하며 지속가능한 관계를 수립해야 한다고 본다."

중국 외교 사령탑인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 겸 외교부장이 26일 베이징에서 미국 하버드 대학의 그레이엄 앨리슨 교수를 만난 자리에서 한 말이다.

그는 특히 "학술계가 중국과 미국의 올바른 공존의 길과 인류 운명 공동체 이념 등을 더 연구해 전통적 관계 이론을 뛰어넘는 건설적 사고를 내놓기를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왕 주임이 왜 이런 발언을 했는지를 이해하려면 앨리슨 교수의 경력을 살펴봐야 한다.

앨리슨 교수는 미중 관계가 새로운 단계로 접어든 2010년대 미국 내에서 이른바 '패권경쟁론'에 불을 지핀 학자다. 그는 2017년 펴낸 저서 '예정된 전쟁'(Destined for War)에서 미중 관계를 패권 경쟁의 틀로 설명했다.

2012 서울 핵안보 심포지엄

2012 서울 핵안보 심포지엄

(서울=연합뉴스) 한종찬 기자 = 23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홍은동 그랜드힐튼 호텔에서 열린 '2012 서울 핵안보 심포지엄'에서 그레이엄 엘리슨 美 하버드대 벨퍼 과학·국제 관계 연구소 소장이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2012.3.23
belltolls@yna.co.kr [2023.07.11 송고]

엘리슨 교수는 미국과 중국이 이른바 '투키디데스의 함정'에 빠져있다고 진단했다. 투키디데스의 함정은 기존 패권국가와 빠르게 부상하는 신흥 강대국이 결국 부딪칠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말한다.

그리스의 역사가 투키디데스는 펠로폰네소스 전쟁사(기원전 431∼404)를 통해 아테네와 스파르타 전쟁 상황을 기술했다. 기존 맹주인 스파르타가 신흥강국 아테네에 불안을 느껴 결국 전쟁을 벌이게 됐다는 것인데, 이런 투키디데스의 함정이 역사를 통해 반복됐다고 그는 서술했다.

엘리슨 교수는 지난 500년간 지구 상에서 발생한 초강대국과 도전세력의 충돌사례를 살펴봤는데, 그 결과 16번의 투키디데스 함정 사례에서 12차례 전면전으로 이어졌음을 강조했다.

그의 저서 발간 이후 미국 내에서는 패권도전국으로 중국을 겨냥하는 담론이 본격화됐다. 마침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이즈음 공산당 대회 등을 통해 '중화민국의 중국몽'을 강조하면서 미국 내 중국 경계론이 더욱 강화됐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등장했던 2018년 중국의 국내총생산(GDP)은 14조달러를 넘어 20조달러의 미국 GDP의 66%에 달할 정도로 성장하기도 했다. 이렇게 되자 결국 중국이 미국에 맞서게 될 것이며, 이는 양국 사이 전쟁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학계 흐름이 주류로 자리잡았다.

이렇게 보면 미국과 중국이 패권전쟁을 벌일 것이라는 엘리슨 교수를 앞에 두고 왕 주임은 미중 관계의 새로운 길을 제시한 셈이다.

[그래픽] 미·중 무역 현황 [2023.08.29 송고]

[그래픽] 미·중 무역 현황 [2023.08.29 송고]

(서울=연합뉴스) 김영은 기자 = 0eun@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2023.08.29 송고]

그가 "중국과 미국은 역사·문화적으로 완전히 다른 국가로, 자기 기준으로 상대방을 판단해서는 안 된다"며 "중국 철학에는 화이부동(和而不同·조화를 이루되 같아지지 않는다) 사상이 있는데, 이는 미국 일부 인사가 이분법적 대립 사고를 하는 것과는 본질적으로 다르다"고 강조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 읽힌다.

왕 주임은 지난해 9월 몰타에서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을 만난 자리에서도 "중국의 발전은 강대한 내생적 동력을 갖고 있으며 필연적인 역사 논리를 따르는 만큼 저지할 수 없다"면서 "중국 인민의 정당한 발전 권리를 박탈하는 것을 용납할 수 없다"고 말한 적이 있다.

과연 미국과 중국이 '예정된 전쟁'의 길로 나아갈 것인지, 왕 주임이 강조한 것처럼 '화이부동'의 길로 향할 것인지를 놓고 전문가들의 의견도 엇갈리고 있다.

중요한 것은 미국이 중국을 '가장 중요한 전략적 경쟁 상대'로 인식하고, 중국도 미국의 패권을 넘어서려는 야심을 버리지 않는 한 미중 관계의 어려움은 앞으로 상당 기간 지속될 것이란 게 학계의 대체적 시각이다.

lwt@yna.co.kr

출처:https://www.yna.co.kr/view/AKR20240327047600009?section=international/all


  1. 트럼프 따라하기? "印, 미얀마 난민 막으려 1,600㎞ 국경에 장벽"

    Date2024.03.28 ByVyvy Views270
    Read More
  2. 美여야 의원단, 대만 총통에 "美-대만 파트너십이 中위협 억제"

    Date2024.03.28 ByVyvy Views36
    Read More
  3. [2보] 한미약품그룹 오너가 경영권 분쟁, 형제측 승리로 일단락

    Date2024.03.28 ByVyvy Views727
    Read More
  4. 노벨경제학상 수상한 '행동경제학 창시자' 대니얼 카너먼 별세

    Date2024.03.28 ByVyvy Views800
    Read More
  5. 1분기 100억달러 넘는 대형 M&A 급증…작년 5건→올해 11건

    Date2024.03.28 ByVyvy Views854
    Read More
  6. '트루스소셜' 공식거래 첫날 16%↑…트럼프 6조원대 '돈방석'(종합)

    Date2024.03.27 ByVyvy Views127
    Read More
  7. 다리 붕괴로 폐쇄된 볼티모어항은 美 최대 자동차 수출입 관문(종합)

    Date2024.03.27 ByVyvy Views82
    Read More
  8. "마두로는 안돼" 베네수 野연합, 곡절 끝 대선후보 대체 등록(종합)

    Date2024.03.27 ByVyvy Views53
    Read More
  9. 삼성전자, 'AI 시대' 이끌 메모리 설루션 CXL·HBM 공개

    Date2024.03.27 ByVyvy Views1025
    Read More
  10. 日, 국산 여객기 개발 재추진…"44조원 투자해 2035년 양산"

    Date2024.03.27 ByVyvy Views121
    Read More
  11. 테슬라 판매 둔화에…머스크 "美서 자율주행기능 한달 무료 이용"

    Date2024.03.27 ByVyvy Views60
    Read More
  12. "미국 기대지 말자"…이스라엘 내 안보전략 개편론 대두

    Date2024.03.27 ByVyvy Views50
    Read More
  13. 패권경쟁론' 앨리슨 교수 만나 '미중관계의 길' 강조한 中왕이

    Date2024.03.27 ByVyvy Views43
    Read More
  14. 日, 박사 인재 2040년에 3배로 늘린다…기업엔 채용확대 요청

    Date2024.03.27 ByVyvy Views1200
    Read More
  15. 쪼들리는 트럼프, 성경 판촉까지…'갓 블레스 USA' 8만원입니다

    Date2024.03.27 ByVyvy Views143
    Read More
  16. 볼티모어 교량 붕괴, 물류 혼란 불구 경제 타격은 지역 한정

    Date2024.03.27 ByVyvy Views75
    Read More
  17. 日법원, '해산명령' 통일교에 과태료…"질문권 답변 거부 부당"

    Date2024.03.27 ByVyvy Views44
    Read More
  18. "볼티모어 다리 충돌 선박, 작년 검사서 시스템 결함 발견"

    Date2024.03.27 ByVyvy Views81
    Read More
  19. "시진핑-마잉주 내달 초 만날듯"…대만 친중 야당만 상대하는 中

    Date2024.03.27 ByVyvy Views58
    Read More
  20. 젤렌스키, 총사령관 교체 한달여만에…이번엔 안보수장 경질

    Date2024.03.27 ByVyvy Views554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153 Next
/ 15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