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獨총리, 오르반 총리에 "잠깐 나가 있어라"…재석한 26개국끼리 합의

프레스룸 찾은 EU 상임의장

프레스룸 찾은 EU 상임의장

(브뤼셀 EPA=연합뉴스) 샤를 미셸 EU 정상회의 상임의장이 15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을 찾아 회의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2023.12.15 photo@yna.co.kr

(브뤼셀=연합뉴스) 정빛나 특파원 = "EU 이사회(정상회의)는 우크라이나와 몰도바에 대한 가입 협상을 개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지난 14일(현지시간) 오후 6시 25분께 벨기에 브뤼셀 유럽연합(EU) 본부 프레스룸.

샤를 미셸 EU 정상회의 상임의장이 회의 도중 올린 SNS 게시물을 확인한 취재진 수백 명이 술렁이기 시작했다.

EU 대변인에게는 즉각 '헝가리 총리가 반대를 철회한 것이냐', '만장일치가 맞느냐' 등 질문이 쏟아졌다.

그도 그럴 것이, 예상을 깬 깜짝 발표였다.

회의를 앞두고 막판까지 이어진 EU의 총력 설득에도 오르반 빅토르 헝가리 총리가 거부권을 행사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해 합의 도출이 이튿날 오전에나 발표되거나, 아예 무산될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페테리 오르포 핀란드 총리 등 일부 정상은 애초 1박2일로 예정된 회의가 주말까지 이어질 가능성에 대비해 "셔츠를 여러 벌 챙겨왔다"고 말했을 정도다.

EU는 뜻밖의 '묘안'을 냈다.

오르반 총리를 끝까지 설득하는 대신 그를 '우회'하는 방법을 택했다.

EU 외교소식통은 미셸 상임의장 발표 직후 기자들에게 "오르반 총리가 사전 동의하고 건설적인 방식(pre-agreed and constructive manner)으로 (투표 당시) 잠시 회의장을 비웠다"고 설명했다.

오르반 총리가 잠깐 퇴장한 사이 재석한 나머지 26개국의 '만장일치 찬성'이 성사됐다는 것이다.

이 아이디어를 낸 사람은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라고 폴리티코는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숄츠 총리가 회의 교착 상태가 계속되자 오르반 총리에게 잠시 자리를 비울 것을 제안했고 나머지 회원국 동의하에 26개국 합의를 끌어냈다는 후문이다.

EU는 이번 결정으로 우크라이나에 대한 최소한의 '연대' 의지를 재확인시켜줬고, 오르반은 끝까지 찬성하지 않았다는 명분을 얻었으니 나름 '윈윈'한 셈이다.

우크라 EU 가입 재차 반대한 헝가리 총리

우크라 EU 가입 재차 반대한 헝가리 총리

(부다페스트 로이터=연합뉴스) 오르반 빅토르 헝가리 총리가 지난 13일(현지시간) 부다페스트에 있는 의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오르반 총리는 유럽연합(EU) 정상회의를 하루 앞둔 이날 의회에 출석해 우크라이나의 EU 가입과 EU의 우크라이나 추가 지원에 모두 반대한다고 밝혔다. 2023.12.14 besthope@yna.co.kr

이런 '눈 가리고 아웅' 식의 만장일치 결정 방식에 문제는 없을까.

외신도 이전에도 회원국 일부가 부재한 상태에서 만장일치 결론을 내린 적이 있는지에 대해선 EU 당국자 그 누구도 명확한 답변을 내놓지 못했다고 짚었다.

EU 이사회 홈페이지에 따르면 EU법은 '민감하다고 간주되는 정책 영역'은 만장일치 합의가 필요한 사안으로 규정한다. EU 회원국 가입도 만장일치가 필요한 사안으로 분류된다.

다만 이사회는 '만장일치 투표제에서는 기권이 결정을 막는 방해요소가 되지 않는다'고 단서를 달아놨다. 특정 국가 정상이 불가피하게 자리를 비운 경우 등에 대비한 것으로 보인다.

이런 설명을 종합하면 일단 절차상 결함은 없는 셈이지만 '짜인 각본'으로 얻어낸 형식적 만장일치가 본래 취지를 퇴색시켰다는 지적은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이와 관련 네덜란드 출신 언론인 얀 베르츠는 EU 대변인실이 운영하는 출입기자단 단체채팅방에 "나는 EU 정상회의가 개최되기 시작한 1975년부터 회의를 취재했으며 관련 책도 세 권이나 썼다"며 "지난 50년간 이런 식의 의사결정은 절대로, 단 한 번도 일어난 적이 없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EU 정상회의 프레스룸

EU 정상회의 프레스룸

(브뤼셀=연합뉴스) 정빛나 특파원 = EU 정상회의 첫날인 14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 EU 본부에 마련된 프레스룸. 2023.12.15 shine@yna.co.kr

shine@yna.co.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7 인질 사살 후폭풍에도 이스라엘, 가자 공세 지속…“100여 명 사망” HươngLy 2023.12.18 45
286 5천 원 주고 산 중고 유리병, 경매서 1억3천여만 원에 낙찰 HươngLy 2023.12.18 526
285 호주 북동부 사이클론 강타…마을고립·공항폐쇄 등 피해 속출 HươngLy 2023.12.18 47
284 [특보] 미국 “안보리 결의 위반” 강력 비난 HươngLy 2023.12.18 46
283 [속보] 북, 장거리 탄도미사일 발사…“고각 발사 뒤 1,000km 비행” HươngLy 2023.12.18 1160
282 캄보디아에 제2 해외 군사기지 만든 중국, 남중국해 제해권 노린다 관리자 2023.12.17 99
» 獨총리, 오르반 총리에 "잠깐 나가 있어라"…재석한 26개국끼리 합의 : 우크라이나와 몰도바에 대한 가입 협상을 개시 관리자 2023.12.17 709
280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 캄보디아·라오스에 버스 기부 관리자 2023.12.16 65
279 캄보디아에 제2 해외 군사기지 만든 중국, 남중국해 제해권 노린다 관리자 2023.12.16 40
278 2023년 캄보디아 주간(12.2-12.8) 정치 동향 관리자 2023.12.16 64
277 베이징 폭설 속 퇴근길 지하철 추돌…500여 명 병원행 HươngLy 2023.12.16 41
276 중국, 타이완에 경제 보복 시사…타이완 “총통 선거 개입” HươngLy 2023.12.16 50
275 모스크바에 150년 만의 폭설…“하루 49cm 쌓여” HươngLy 2023.12.16 48
274 이스라엘군 “인질 3명 오인 사살”…구호품 추가 통행로 열려 HươngLy 2023.12.16 44
273 42년 수감 끝에 무죄…“로스쿨 갈 것” HươngLy 2023.12.16 49
272 미국 “홍해 선박 보호할 다국적 함대 조만간 발표” HươngLy 2023.12.16 63
271 [이슈&한반도] 미 대선 지지율 역전…트럼프 2기? HươngLy 2023.12.16 35
270 [요즘 북한은] 아슬아슬 보덕암…‘고구려 유산’ 강조 외 HươngLy 2023.12.16 53
269 [클로즈업 북한] 딸 주애 잦은 등장…“4대 세습 준비?” HươngLy 2023.12.16 42
268 북한 내 국군 대규모 매장지도 증언…국방부 장관 “유엔·미국과 유해발굴 논의” HươngLy 2023.12.16 4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 153 Next
/ 15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