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국민연금은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50%' '12%-40%' 등 2개안 압축

'의무가입 상한연령 만 64세·수급개시 만 65세' 단일 대안으로 마련

브리핑 하는 김상균 연금개혁 공론화위 위원장

브리핑 하는 김상균 연금개혁 공론화위 위원장

(서울=연합뉴스) 이정훈 기자 = 김상균 연금개혁 공론화위원회 위원장이 12일 국회 소통관에서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공론화위원회 의제숙의단 워크숍 주요 결과를 브리핑하고 있다. 2024.3.12 uwg806@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유미 기자 =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가 기초연금 개혁과 관련, '수급 범위를 현행대로 유지하는 안'과 '수급 범위를 점진적으로 축소하고 차등급여를 하는 방안' 등 2가지 안을 의제에 포함하기로 했다.

향후 500인 시민대표단의 토론을 거쳐 이 중 하나의 안을 결론으로 도출하고, 국회 특위 논의 등을 거쳐 입법화 여부가 결정될 전망이다.

공론화위는 12일 국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의제숙의단 논의 결과를 발표했다.

김상균 공론화위원장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의 관계에 대해 총 2개의 대안이 선정됐다"고 밝혔다

1안은 '국민연금의 재분배 기능과 기초연금의 수급 범위를 현행대로 유지하고, 급여 수준을 강화한다'는 내용이고, 2안은 '국민연금 급여 구조는 현행 유지하며, 기초연금은 수급 범위를 점진적으로 축소하고 차등 급여로 하위소득자에 대한 보호를 강화한다'는 안이다.

기초연금은 '소득 하위 70%'를 대상으로 월 30만원 지급되는 것이 원칙으로, 여기에 소득·재산 수준,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해 매년 실제 수급액이 결정된다.

앞서 보건복지부 장관 자문위도 기초연금 수급 대상을 줄이되 받는 액수는 10만원 증액하는 내용의 기초연금 개혁안 보고서를 낸 바 있다.

의제숙의단은 국민연금의 소득대체율 및 보험료율과 관련해서는 '보험료율을 현행 9%에서 13%로 점진적으로 인상하고 소득대체율은 40%에서 50%로 늘리는 안'과 '보험료율을 10년 이내에 점진적으로 12%까지 올리고 소득대체율은 40%로 유지하는 안' 등 2가지를 마련했다.

공론화위는 "1안과 2안의 순서는 단순히 의제숙의단 참여자가 대안을 발표한 순서"라고 설명했다.

국민연금 의무가입 및 수급개시 연령의 경우 '의무가입 상한 연령을 만 64세로 상향하고, 수급개시 연령은 만 65세를 유지'하는 내용의 단일 대안을 선정했다.

이 밖에 국민연금과 직역연금 형평성 제고 방안, 국민연금 사각지대 해소 방안 등은 공론화위의 추가 논의를 거쳐 대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애초 검토했던 퇴직연금제도 개선방안은 공론화 의제에서 제외하기로 했다.

공론화위는 "퇴직연금제도 개선 방안은 제한된 기간 내에 충분히 성숙한 대안을 제시하기 어렵고, 별도의 이해관계자 중심의 논의가 필요하다"고 제외 이유를 설명했다.

공론화위원인 김연명 중앙대 교수는 이번에 제시된 국민연금 모수개혁안이 연금 기금 고갈 시점을 7∼8년 늦출 뿐이라는 지적에 대해 2007년 국민연금 개혁 사례를 들어 반박했다.

김 교수는 "당시 노무현 정부에서 국민연금 소득대체율을 60%에서 40%로 삭감하는 엄청난 개혁을 해서 기금 고갈 시점이 2047년에서 2060년으로 13년 연장됐지만 이후에 저출산·고령화로 고갈 시점이 2055년으로 앞당겨졌다. 결국 기금 고갈 시점이 8년 연장된 것"이라며 "맹탕이라는 판단은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공론화위는 이달 중 500인 시민대표단 모집을 마치고, 이들이 약 20일간 국민연금 주요 의제를 학습하도록 자료집, 동영상 강의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후 시민대표단은 4월 13, 14, 20, 21일 나흘간 숙의토론회에 참여한다. 시민대표단 선발 직후, 숙의토론회 직전과 직후 등 총 3차례 설문조사가 실시되며, 공론화위가 최종 결과를 정리해 연금특위에 보고할 예정이다.

 

출처:https://www.yna.co.kr/view/AKR20240312134000001?section=politics/all

yumi@yna.co.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20 민주, 서초갑 후보 김한나 변호사로 교체 Vyvy 2024.03.12 20
3819 이종섭, 호주대사관 홈페이지에 인사말…"北비핵화·국방협력" Vyvy 2024.03.12 6
» 공론화위, 기초연금 '현행 유지'·'수급범위 축소' 2개안 마련 Vyvy 2024.03.12 9
3817 광복회, 여야 비례대표 선정 때 독립유공자 후손 배려 요청 Vyvy 2024.03.12 20
3816 마트노조, 윤창현 후보에 '의무휴업 평일 전환' 공약 철회 촉구 Vyvy 2024.03.12 6
3815 與 컷오프 민경욱 탈당…가칭 '공명선거당' 추진 Vyvy 2024.03.12 14
3814 민주당 광주시당 "5·18 왜곡 도태우 후보 자격 박탈하라" Vyvy 2024.03.12 38
3813 나경원 "수도권선거 정말 고민…민주당 잘못 반사이익으론 안돼" Vyvy 2024.03.12 31
3812 김영주 손잡은 한동훈 "욕만 쏟아낸 이재명, 영등포 개선 못해" Vyvy 2024.03.12 13
3811 이재명, 서울 동작·인천 돌며 게릴라 지원…"4·10 심판의 날" Vyvy 2024.03.12 11
3810 국민의힘 경남도당, 지방의원 재보선 3개 선거구 후보 결정 Vyvy 2024.03.12 7
3809 “서울대 등 전국 14개 의대 교수, 오늘 사직 등 의견 모을 것” Vyvy 2024.03.12 82
3808 ‘선거개입’ 강신명 전 경찰청장 징역형 집행유예 확정 Vyvy 2024.03.12 11
3807 사회 전국 의대 교수들 “전공의·학생들 피해 발생하면 정부에 책임 묻겠다” Vyvy 2024.03.12 17
3806 의협 간부 3명 경찰 출석…“전공의 사직, 선동 결과 아냐” Vyvy 2024.03.12 12
3805 대낮 주택가에서 헬멧 쓰고 길 가던 여성 추행한 10대 체포 Vyvy 2024.03.12 4
3804 [속보] 중대본 “복지부 장관, 어제 전공의와 비공개 만남” Vyvy 2024.03.12 23
3803 경기도, 평택·화성 수질오염사고 사후환경영향조사 착수 Vyvy 2024.03.12 5
3802 서울시, ‘아리수’ 무료 수질검사 18만 가구 대상 진행 Vyvy 2024.03.12 5
3801 서울시, 어려운 소상공인 돕는 ‘위기 소상공인 프로젝트’ 추진 Vyvy 2024.03.12 8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246 Next
/ 246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