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요즘 넷플릭스나 유튜브 같은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여러 개를 동시에 보시는 분들 많으시죠.
하지만 최근 요금 인상이 이어지면서 이용자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른바 '디지털 이민자'까지 생기고 있다는데요.
신지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넷플릭스 등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6개를 이용하고 있는 구독자입니다.
유튜브를 제외한 한 달 요금만 5만 원 정도 됩니다.
요금 부담이 커지면서 지인들과 계정을 공유해 매월 2만 7천 원 정도를 아낍니다.
최근에는 유튜브 요금 부담을 덜기 위해 이른바 '디지털 이민'까지 떠났습니다.
가상 사설망을 통해, 우리나라보다 요금이 싼 다른 나라의 이용자인 척 우회 가입하는 겁니다.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구독자/음성변조 : "다른 나라는 이렇게 싼 가격에 가족 공유까지 돼서…(우리나라 요금제는) 좀 많이 불합리하지 않나 생각이 들어서 우회를 해가지고 다른 나라 계정을 사용해서."]
최근 동영상 프리미엄 서비스 요금이 잇따라 오르고 있는 상황.
넷플릭스는 광고 없는 요금제 가운데 가장 싼 월 9,500원 요금제의 신규 가입을 중단했습니다.
광고 없이 보려면 4천 원을 더 내야 하는 요금제에 가입해야 합니다.
디즈니 플러스도 사실상 월 4천 원을 인상했고, 유튜브는 프리미엄 요금제 가격을 43% 올렸습니다.
국민의 72%가 OTT를 보고, 평균 2.7개를 구독하는 상황에서, 가계 부담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스트리밍과 인플레이션의 합성어인 이른바 '스트림플레이션' 우려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김용희/경희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 대학원 겸임교수 : "재무적인 위협 그런 부담도 많고 그것들을 해소하기 위한 어떤 여러 가지 방편을 마련해야 되는데 가장 손쉬운 방법으로 가격 인상을 아마 선택한 것은 아닌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종호 장관은 글로벌 OTT들의 요금 인상에 대해 "소비자 부담이 되지 않도록 빅테크 기업이 고민을 좀 더 해주길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신지수입니다.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45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