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아라비아가 인공지능(AI) 분야에 투자하기 위해 약 400억 달러(약 53조5,800억원)의 기금을 조성할 계획이라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현지시각 19일 미국 일간 뉴욕타임즈에 따르면, 사우디 실권자인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가 이끄는 국부펀드(PIF)가 최근 미국 실리콘밸리의 대표적인 벤처캐피탈(VC) 회사 중 하나로 꼽히는 앤드리슨 호로위츠와 파트너십을 체결하는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전세계적으로 AI 기술 분야에 투자가 쇄도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 계획이 성사되면 사우디는 AI 분야에서 세계 최대의 투자자가 됩니다.
뉴욕타임즈는 경제를 다변화하고, 지정학적으로 영향력을 키우려는 사우디의 최근 노력과 맞닿아 있는 이번 행보는 막대한 자금력을 앞세워 국제 비즈니스의 강자로 자리매김하려는 중동 맹주의 야망을 잘 보여주는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사우디 정부는 총자산이 무려 9천억 달러(약 1,205조원)인 국부펀드를 운용하고 있습니다.
사우디 국부펀드 관계자들은 최근 논의에서 400억 달러의 AI 펀드가 어떻게 운용될지와 이미 AI 분야의 적극적 투자사인 앤드리슨 호로위츠가 펀드에서 어떤 역할을 할 것인지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사우디가 설정한 400억 달러라는 액수는 미국 VC 업체들이 조성하는 일반적인 규모를 넘어서는 것으로, 이 정도 금액을 투자한 회사는 오랜 기간 세계 최대의 스타트업 투자사 역할을 해온 일본의 소프트뱅크 정도에 불과하다고 뉴욕타임즈는 설명했습니다.
이어 사우디 측은 반도체 제조업체와 데이터센터를 포함한 AI 관련 스타트업 다수를 지원하는 방안은 물론 자체적인 AI 업체를 설립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으며, 이러한 새로운 AI 투자는 올 6월 이후 하반기에 착수될 예정이라고 전했습니다.
계획대로 400억 달러의 자금이 투입되면 사우디와 앤드리슨 호로위츠는 AI 경쟁에서 다른 사업체들을 제치고 핵심 플레이어로 떠오를 것이라고 뉴욕타임즈는 전망했습니다.
하지만 사우디가 2016년 차량공유업체 우버에 35억 달러(약 4조7천억원)를 투자하고, 소프트뱅크가 조성한 1천억달러 규모 ‘비전 펀드’에 450억 달러(약 60조)의 자금을 댔지만 별다른 재미를 보지 못하는 등 그동안 기술 투자에서 전반적으로 고전해왔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9182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