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한 중인 줄리 터너 미 국무부 북한인권특사가 “지금이야말로 북한 주민이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힘써 도와야 한다”며 북한으로의 자유로운 정보 유통이 중요하다고 밝혔습니다.
터너 특사는 오늘(19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미주 한인 단체 ‘원코리아네트워크’와 한미동맹USA재단이 주최한 제1회 서울프리덤포럼 영상 축사에서 “유엔 북한 인권보고서가 발간된 지 10년이 넘었지만 북한 인권상황은 아직 세계 최악”이라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또한 해당 보고서 권고는 반드시 이행돼야 한다며 “특히 강제송환금지(non-refoulment) 원칙을 중국을 포함한 모든 유엔 회원국이 준수할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터너 특사는 이어 “미국은 북한 정부가 주민 권리를 존중하도록 압박을 지속할 것”이라며 “김정은과 북한 정부가 주민들에게 이동의 자유와 표현, 집회, 결사, 종교와 신념의 자유를 허용할 것을 계속 촉구하겠다”고 발언했습니다.
아울러 올해 유엔 인권이사회와 안전보장이사회 등에서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한 공개 토론 기회를 모색하겠다며 “미국은 계속해 (북한 인권침해) 생존자와 탈북자 목소리를 지지하고 증폭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북한을 향해서는 “인권에 대해 열린 대화를 할 준비가 돼 있다”며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 보고서에 제시된 권고사항 이행을 위해 함께 협력할 방법을 논의하자”고 제안했습니다.
2014년 유엔의 첫 북한 인권보고서 발간 10주년을 기념해 열린 오늘 행사에는 탈북 인권운동가 등이 참석해 북한 내 인권 침해 상황을 증언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통일부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출처: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93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