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서울=연합뉴스) 서미숙 기자 = 지난해 30대의 전국 아파트 매입 비중이 2019년 조사 이래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50대의 매입 비중도 조사 이래 가장 높아 고금리 상황에서도 특례보금자리론 등 정책 대출의 효과를 30대와 50대가 상대적으로 가장 크게 누린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연합뉴스가 한국부동산원이 최근 공개한 연령대별 아파트 매입 비중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1∼11월 전국 아파트를 가장 많이 산 연령대는 30대로 전체의 26.7%를 차지했다.

이는 전국 기준 부동의 1위였던 40대(25.9%)를 연간 기준 처음 추월한 것이며, 역대 30대 매입 비중으로도 가장 높은 수치다.

 

역대 1∼11월 동기간과 비교해도 역시 최초로 30대가 40대 비중을 넘어서면서 서울에 이어 전국적으로도 30대가 주택시장의 큰손으로 떠올랐음을 보여줬다.

 

[그래픽] 연령별 전국·서울 아파트 매입 비중

[그래픽] 연령별 전국·서울 아파트 매입 비중

(서울=연합뉴스) 김영은 기자 = 0eun@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서울 아파트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 아파트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현재 30대 주택 수요자는 '에코세대'라고 불린다. 1차 베이비붐(1955∼1963년) 세대의 자녀 세대로 고학력 전문직 종사자가 많고, 아파트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특징을 갖고 있다.

 

지난해 주택시장은 고금리 장기화 속에 정부의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에 대한 대출 확대, 특례보금자리론 공급 등으로 저리의 정책대출 수요가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지난해 2020년과 2021년에 나타났던 2030세대의 '패닉바잉'(공황구매)이나 무자본 갭투자 현상은 줄었지만, 일부 '영끌족'과 상대적으로 낮은 금리의 정책 대출을 받아 아파트를 매입하려는 30대 수요는 여전히 많았던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30대는 최근 사회 현상이 된 빌라 전세사기의 최대 피해자이면서 가점제 위주의 새 아파트 청약에서도 불리해 기존 아파트 매입선호가 두드러진 모습이다.

부산(27.2%), 대구(28.5%), 인천(26.9%), 세종(31.9%) 등에서는 지난해 30대의 매입 비중이 역대 최대를 기록하며 40대 비중을 넘어섰다.

 

서울은 2019년 조사 이래부터 30대의 매입 비중이 전 연령대를 통틀어 가장 높은 지역이다.

 

다만 지난해(1∼11월) 30대의 매입 비중은 33.1%로 '거래 절벽' 수준이던 2022년(28.2%)보다는 높아졌지만, 2021년(35.4%)과 2020년(33.4%)에 비해서는 비중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서울은 지난해 40대 매입 비중이 역대 최대 수준인 28.7%를 기록하며 매매 시장에서 약진한 모습이다.

 

지난해는 30대와 함께 경제력이 있는 50대의 매입 비중도 상대적으로 높아져 눈길을 끌었다.

 

지난해 전국 아파트 50대 매입 비중은 21.5%로 2019년 조사 이래 최대였다.

 

이에 비해 2021년과 2022년에 6%가 넘었던 20대 이하의 매입 비중은 지난해 4.5%로 눈에 띄게 줄었다.

 

2∼3년 전 무리한 대출로 집을 산 20대 '영끌족'들이 고금리와 집값 하락으로 피해를 본 뒤 주택 매수에 신중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sms@yna.co.kr

출처: https://www.yna.co.kr/view/AKR20240107040100003?section=economy/all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60 복지부, 3월까지 '60세 이상 고령자 친화기업' 1차 공모 tranghoan 2024.01.08 33
1759 안덕근 산업장관 "초격차 역량 확보 필수…지원 아끼지 않을것" tranghoan 2024.01.08 9
1758 한컴, AI 스타트업 포티투마루에 40억원 투자 tranghoan 2024.01.08 21
1757 40년 된 낡고 협소한 횡성 둔내우체국 올해 안에 신축·이전 tranghoan 2024.01.08 13
1756 미국 라디오 대기업 오디시 파산신청…"부채 80% 감축 합의" tranghoan 2024.01.08 8
1755 아산시, 올해 외국인 계절근로자 2배 이상 늘린다 tranghoan 2024.01.08 437
1754 올해 외국인 환영 캠페인 표어에 '나는 당신의 K-여행메이트' tranghoan 2024.01.08 109
1753 금융투자업계 CEO들, CES 출장길…자본시장 신성장동력 모색 tranghoan 2024.01.08 9
1752 작년 11월 서울 아파트 분양가 3.3㎡당 3천400만원 넘어 tranghoan 2024.01.08 18
1751 유진투자 "현대차, 실적 부진에 당분간 주가 약세…목표가↓" tranghoan 2024.01.08 45
1750 이마트24, 용 골드바·청룡 코인 등 5종 판매 tranghoan 2024.01.08 19
1749 아시아나항공-고대안암병원, 의료 관광객 유치에 '맞손' tranghoan 2024.01.08 25
1748 불황에도 여행소비는 '활활'…"팬데믹 이전의 90% 넘게 회복" tranghoan 2024.01.08 95
1747 고가주택 동네, 저가주택 동네보다 병원 70%·의사 2배 더 많다 tranghoan 2024.01.08 39
1746 "지난해 상장사 영업이익 16% 감소 전망…반도체 회복 지연 탓" tranghoan 2024.01.08 20
1745 한국 자영업자 등 비임금근로자 비중 23.5%…OECD 7위 tranghoan 2024.01.08 9
» 작년 전국 아파트 시장도 30대가 '큰 손'…매입비중 역대 최대 tranghoan 2024.01.08 24
1743 국내기업들이 뽑은 올해 글로벌 키워드는 '공급망 문제 심화' tranghoan 2024.01.08 20
1742 '중동붐'에 작년 플랜트 수주 302억달러로 25%↑…8년만에 최대 tranghoan 2024.01.08 23
1741 우주항공청, 과기부 소속으로…항우연·천문연 편입 확정 tranghoan 2024.01.08 2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 246 Next
/ 246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