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오늘(11일) 올해 첫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결정합니다.
현재 기준금리는 연 3.5%로, 금통위는 지난해 2월과 4월, 5월, 7월, 8월, 10월, 11월까지 7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했습니다.
금융시장에서는 현재 연 3.5%인 기준금리를 동결할 거라는 전망이 우세합니다.
금융투자협회가 채권 관련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보면, 응답자 100명 가운데 98명이 '동결'을 예측했습니다.
먼저 미국 기준금리가 빠르게 내릴 거란 기대가 식은 게 시장 전망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달 초 공개된 미 연준의 지난달 FOMC 회의록을 보면, 연준 위원들은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여전히 내비쳤습니다.
국내 물가 상승세가 잡히긴 했지만, 목표인 2%대보다 여전히 높다는 점도 금리 동결에 무게가 실리는 이유입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2%를 기록했습니다.
국내총생산(GDP)의 2배가 넘는 가계부채 규모 역시 기준금리 인하 결정을 어렵게 하는 원인입니다.
단, 태영건설이 워크아웃을 신청하는 등 부동산 PF 발 위기감이 커지는 점은 고금리 장기화에 부담 요소입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 3일 범금융 신년인사회에서 "일부 위험신호가 감지되고 있는 부동산 PF의 경우, 질서 있는 정리 과정에서 한은도 금융안정을 달성하는 데 힘을 보태겠다"고 말했습니다.
한은은 오늘 수정 경제전망도 발표합니다.
지난해 11월 한은은 올해 경제성장률을 2.1%로, 물가상승률을 2.6%로 내다봤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63307